天地玄黃 宇宙洪荒: Difference between revisions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add photo of 1-1
add headers for better readability
Line 20: Line 20:
[節解] 이는 天地가 열린 처음 그때에는 昏蒙했음을 말한 것이다. 이 한 節은 아래 12節의 강령이다.(≪釋義≫)
[節解] 이는 天地가 열린 처음 그때에는 昏蒙했음을 말한 것이다. 이 한 節은 아래 12節의 강령이다.(≪釋義≫)


----
== 天地玄黃 ==


[[File:tc-1-1.png]]
[[File:Tc-1-1.png|left]]


<div class="blockhanja">天地玄黃</div>
<div class="blockhanja">天地玄黃</div>
Line 32: Line 32:
1.하늘은 위에 있어 그 빛이 3.검고 2.땅은 아래 있는 고로 그 빛이 4.누르다. 하늘 천(天), 땅 지(地) ,검을 현(玄), 누를 황(黃), 黑字는 主句요 赤字는 客句이다, 색깔별로 속성이 같다. 이하 250구 모두를 이와 같은 방식으로 뜻을 풀이 한다.
1.하늘은 위에 있어 그 빛이 3.검고 2.땅은 아래 있는 고로 그 빛이 4.누르다. 하늘 천(天), 땅 지(地) ,검을 현(玄), 누를 황(黃), 黑字는 主句요 赤字는 客句이다, 색깔별로 속성이 같다. 이하 250구 모두를 이와 같은 방식으로 뜻을 풀이 한다.


----
=== 한자 해석 ===


천지현황(天地玄黃)에서는 하늘 천(天)과 검을 현(玄) 땅 지(地) 와 누를 황(黃)이 대응된다. 사실 천자문(天字文)은 모두 1번째 3번째, 2번째 4번째 단어가 대응(對應)되는 형식(形式)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가끔 왜 하늘이 파랗지 않고 검냐고 묻는 아해들이 있다. 밤에 하늘 찬히 봐라. 꼭 검다.
천지현황(天地玄黃)에서는 하늘 천(天)과 검을 현(玄) 땅 지(地) 와 누를 황(黃)이 대응된다. 사실 천자문(天字文)은 모두 1번째 3번째, 2번째 4번째 단어가 대응(對應)되는 형식(形式)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가끔 왜 하늘이 파랗지 않고 검냐고 묻는 아해들이 있다. 밤에 하늘 찬히 봐라. 꼭 검다.
Line 44: Line 44:
누를 黃(황)은 갑골문(甲骨文)에도 보이는데, 자원해석(字源解釋)에 대한 의견(意見)이 분분하다. 허신(許愼)은 "설문(說文)"에서 “황(黃)은 땅의 색깔이다. 전(田)으로 구성(構成)되었으며 광(炗)이 소리요소다. 광(炗)은 광(光)의 옛글자이다.”고 하였다. 이에 따르면 대륙의 밭(田)은 대부분 그 빛깔(炗)이 누르스름한데서 ‘누렇다’는 뜻을 지닌 것으로 파악(把握)하였다. 또한 일부에서는 ‘화살 시(矢)의 변형(變形)으로 보는가 하면, 사람이 허리에 환옥(還玉)으로 된 노리개를 두른 모양(模樣)으로 보는 경우(境遇)도 있다. 우리나라에서 출토(出土)되는 옥(玉)은 비취색(翡翠色)인데 중국에서 나는 옥(玉)은 대개가 황옥(黃玉)인 점을 감안(堪案)하면 후자의 의견(意見)이 타당(妥當)할 것도 같다.
누를 黃(황)은 갑골문(甲骨文)에도 보이는데, 자원해석(字源解釋)에 대한 의견(意見)이 분분하다. 허신(許愼)은 "설문(說文)"에서 “황(黃)은 땅의 색깔이다. 전(田)으로 구성(構成)되었으며 광(炗)이 소리요소다. 광(炗)은 광(光)의 옛글자이다.”고 하였다. 이에 따르면 대륙의 밭(田)은 대부분 그 빛깔(炗)이 누르스름한데서 ‘누렇다’는 뜻을 지닌 것으로 파악(把握)하였다. 또한 일부에서는 ‘화살 시(矢)의 변형(變形)으로 보는가 하면, 사람이 허리에 환옥(還玉)으로 된 노리개를 두른 모양(模樣)으로 보는 경우(境遇)도 있다. 우리나라에서 출토(出土)되는 옥(玉)은 비취색(翡翠色)인데 중국에서 나는 옥(玉)은 대개가 황옥(黃玉)인 점을 감안(堪案)하면 후자의 의견(意見)이 타당(妥當)할 것도 같다.


----
 
 
== 宇宙洪荒 ==
 
[[File:Tc-1-2.png|left]]


<div class="blockhanja">宇宙洪荒</div>
<div class="blockhanja">宇宙洪荒</div>
Line 57: Line 61:
우주홍황(宇宙洪荒)의 우(宇)는 사람을 위시하여 동식물들과 물건을 수용하는 집으로서 빗물이 흐르도록 해주는 물받이 역할을 하고 거소(居所) 의미를 갖는 집.집 주(宙)는 천지지간(天地之間) 크고 넓은 공간 내에 존재하는 다물적(多物的) 만물(滿物)들, 태양계나 은하계와 같은 거대한 것들을 수용하는 천(天)에 하나 밖에 없는 큰 집이요, 한량(限量)이나 한도(限度) 한정(限定)이 없는 무한(無限)한 거대함이요 한시(限時,무한대(無限帶:infinity)의 뜻으로 풀이를 하며 거칠고 잡다(雜多)한 것, 모든 것을 허용과 수용 그리고 포용을 하는 엄연한 존재이다.
우주홍황(宇宙洪荒)의 우(宇)는 사람을 위시하여 동식물들과 물건을 수용하는 집으로서 빗물이 흐르도록 해주는 물받이 역할을 하고 거소(居所) 의미를 갖는 집.집 주(宙)는 천지지간(天地之間) 크고 넓은 공간 내에 존재하는 다물적(多物的) 만물(滿物)들, 태양계나 은하계와 같은 거대한 것들을 수용하는 천(天)에 하나 밖에 없는 큰 집이요, 한량(限量)이나 한도(限度) 한정(限定)이 없는 무한(無限)한 거대함이요 한시(限時,무한대(無限帶:infinity)의 뜻으로 풀이를 하며 거칠고 잡다(雜多)한 것, 모든 것을 허용과 수용 그리고 포용을 하는 엄연한 존재이다.


----
=== 한자 유래 ===


우주홍황(宇宙洪荒)은 좀 깊은 뜻이 담겨져 있다. 집 우(宇) 집 주(宙) 넓을 홍(洪) 거칠 황(荒) 의 네 글자를 그대로 보고 집이 넓고 집이 거칠다고 생각하면 안된다. 보통 집 우(宇) 집 주(宙)가 같은 집이라는 의미(意味)인 것으로 착각(錯覺)하는데 똑같은 '집'이지만 '우(宇)'는 상하사방(上下四方)이다. 즉, 공간(空間)을 뜻하고, '주(宙)'는 지나간 시간(時間)과 지금의 시간(時間) 그리고 다가오는 시간(時間)을 뜻한다. 거칠 황(荒)은 '거칠다'는 의미(意味) 말고도 '멀리 떨어져 있다'는 의미(意味)도 있다. 다시 말해 공간(空間)도 넓고 시간(時間)도 넓다(끝이 없다)라는 의미(意味)다.
우주홍황(宇宙洪荒)은 좀 깊은 뜻이 담겨져 있다. 집 우(宇) 집 주(宙) 넓을 홍(洪) 거칠 황(荒) 의 네 글자를 그대로 보고 집이 넓고 집이 거칠다고 생각하면 안된다. 보통 집 우(宇) 집 주(宙)가 같은 집이라는 의미(意味)인 것으로 착각(錯覺)하는데 똑같은 '집'이지만 '우(宇)'는 상하사방(上下四方)이다. 즉, 공간(空間)을 뜻하고, '주(宙)'는 지나간 시간(時間)과 지금의 시간(時間) 그리고 다가오는 시간(時間)을 뜻한다. 거칠 황(荒)은 '거칠다'는 의미(意味) 말고도 '멀리 떨어져 있다'는 의미(意味)도 있다. 다시 말해 공간(空間)도 넓고 시간(時間)도 넓다(끝이 없다)라는 의미(意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