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 Difference between revisions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Line 142: Line 142:
<li>[[矩步引領 俯仰廊廟#矩步引領|矩步引領]] (구보인령) 걸음을 바르게 걷고 따라서 얼굴도 바르니 위의가 엄숙하다.<br/>[[矩步引領 俯仰廊廟#俯仰廊廟|俯仰廊廟]] (부앙낭묘) 항상 난묘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머리숙여 예의를 지켜라.</li>
<li>[[矩步引領 俯仰廊廟#矩步引領|矩步引領]] (구보인령) 걸음을 바르게 걷고 따라서 얼굴도 바르니 위의가 엄숙하다.<br/>[[矩步引領 俯仰廊廟#俯仰廊廟|俯仰廊廟]] (부앙낭묘) 항상 난묘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머리숙여 예의를 지켜라.</li>
<li>[[束帶矜莊 徘徊瞻眺#束帶矜莊|束帶矜莊]] (속대긍장) 의복을 단정케 함으로써 긍지를 갖는다.<br/>[[束帶矜莊 徘徊瞻眺#徘徊瞻眺|徘徊瞻眺]] (배회첨조) 같은 장소를 배회하며 두루보는 모양이다.</li>
<li>[[束帶矜莊 徘徊瞻眺#束帶矜莊|束帶矜莊]] (속대긍장) 의복을 단정케 함으로써 긍지를 갖는다.<br/>[[束帶矜莊 徘徊瞻眺#徘徊瞻眺|徘徊瞻眺]] (배회첨조) 같은 장소를 배회하며 두루보는 모양이다.</li>
<li>[[孤陋寡聞 愚蒙等誚#孤陋寡聞|孤陋寡聞]] (고루과문) 배운 것이 고루하고 들은 것이 작다<br/>[[孤陋寡聞 愚蒙等誚#愚蒙等誚|愚蒙等誚]] (천자문 저자, 자신을 겸손하게 말한 것) (우몽등초) 적고 어리석어 몽매함을 면치 못한다는 것을 말함.</li>
<li>[[孤陋寡聞 愚蒙等誚#孤陋寡聞|孤陋寡聞]] (고루과문) 배운 것이 고루하고 들은 것이 작다 (천자문 저자, 자신을 겸손하게 말한 것)<br/>[[孤陋寡聞 愚蒙等誚#愚蒙等誚|愚蒙等誚]] (우몽등초) 적고 어리석어 몽매함을 면치 못한다는 것을 말함.</li>
</ol>
</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