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자경: Difference between revisions
m →三字經 |
m →三字經 |
||
Line 16: | Line 16: | ||
<li><span class="haeseo" style="font-size: 2em">[[養不敎|養不敎 父之過]]</span> (양불교 부지과) 기르되 가르치지 않으면 아버지의 과오이며<br/> | <li><span class="haeseo" style="font-size: 2em">[[養不敎|養不敎 父之過]]</span> (양불교 부지과) 기르되 가르치지 않으면 아버지의 과오이며<br/> | ||
<span class="haeseo" style="font-size: 2em">[[養不敎|敎不嚴 師之惰]]</span> (교불엄 사지타) 가르치되 엄하게 가르치지 않음은 스승의 소홀함이다</li> | <span class="haeseo" style="font-size: 2em">[[養不敎|敎不嚴 師之惰]]</span> (교불엄 사지타) 가르치되 엄하게 가르치지 않음은 스승의 소홀함이다</li> | ||
<li><span class="haeseo" style="font-size: 2em">[[子不學|子不學 非所宜]]</span> (자불학 비소의) 자식이 배우지 않으면 마땅한 것이 아니다<br/> | |||
<span class="haeseo" style="font-size: 2em">[[子不學|幼不學 老何為]]</span> (유불학 노하위) 어렸을 때 배우지 않으면 늙어서 무엇을 할까?</li> | |||
<li><span class="haeseo" style="font-size: 2em">[[玉不琢|玉不琢 不成器]]</span> (옥불탁 불성기) 옥을 쪼지 않으면 그릇을 이르지 못한다<br/> | <li><span class="haeseo" style="font-size: 2em">[[玉不琢|玉不琢 不成器]]</span> (옥불탁 불성기) 옥을 쪼지 않으면 그릇을 이르지 못한다<br/> |
Revision as of 16:00, 27 February 2024
三字經(삼자경)은 百家姓(백가성)과 千字文(천자문)과 함께 아동들에게 文字를 가르치고 쉽게 외울수 있게 三字로 句를 만들어 유교적 관점의 도덕, 역사, 학문 등 상식으로 여겨졌던 것들을 가르치기 위해 만들어졌던 것이다. 宋의 王應麟(왕응린)이 편찬한 것이다. 삼자경은 조선 말기까지 사용된 사례가 있으나 천자문에 비해 보급이 덜했던 것 같아 보인다.
三字經
- 人之初 性本善 (인지초 성본선) 사람의 본성은 처음부터는 선량하며
性相近 習相遠 (성상근 습상원) 성품은 서로 비슷하나 어떤 습관을 들이는가에 따라 서로 멀어진다 - 苟不敎 性乃遷 (구불교 성내천) 가르치지 아니하면 성품은 바뀌어지며
敎之道 貴以專 (교지도 귀이전) 교육의 방법에 있어서는 전심으로 매진하는 것이 제일 귀한 것이다 - 㫺孟母 擇鄰處 (석맹모 택린처) 옛날에 맹자의 어머니는 이웃을 가려 집을 정했고
子不学 斷機杼 (자불학 단기저) 아들이 학문에 전념하지 않자 베틀의 북을 끊어버렸다 - 竇㷼山 有義方 (두연산 유의방) 두연산은 바른 방법으로
敎五子 名俱揚 (교오자 명구양) 다섯 아들을 가르쳐 명성을 널리 알렸다 - 養不敎 父之過 (양불교 부지과) 기르되 가르치지 않으면 아버지의 과오이며
敎不嚴 師之惰 (교불엄 사지타) 가르치되 엄하게 가르치지 않음은 스승의 소홀함이다 - 子不學 非所宜 (자불학 비소의) 자식이 배우지 않으면 마땅한 것이 아니다
幼不學 老何為 (유불학 노하위) 어렸을 때 배우지 않으면 늙어서 무엇을 할까? - 玉不琢 不成器 (옥불탁 불성기) 옥을 쪼지 않으면 그릇을 이르지 못한다
人不學 不知義 (인불학 부지의) 사람은 배우지 않으면 의(義)를 알지 못한다
三字經 全
人之初,性本善。性相近,習相遠。
苟不敎,性乃遷。敎之道,貴以專。
昔孟母,擇鄰處。子不學,斷機杼。
竇燕山,有義方。敎五子,名俱揚。
養不敎,父之過。敎不嚴,師之惰。
子不學,非所宜。幼不學,老何為。
玉不琢,不成器。人不學,不知義。
為人子,方少時。親師友,習禮儀。
香九齡,能溫席。孝於親,所當執。
融四歲,能讓梨。弟于長,宜先知。
首孝弟,次見聞。知某數,識某文。
一而十,十而百。百而千,千而萬。
三才者,天地人。三光者,日月星。
三綱者,君臣義。父子親,夫婦順。
曰春夏,曰秋冬。此四時,運不窮。
曰南北,曰西東。此四方,應乎中。
曰水火,木金土。此五行,本乎數。
曰仁義,禮智信。此五常,不容紊。
稻粱菽,麥黍稷。此六穀,人所食。
馬牛羊,雞犬豕。此六畜,人所飼。
曰喜怒,曰哀懼。愛惡欲,七情具。
匏土革,木石金。與絲竹,乃八音。
高曾祖,父而身。身而子,子而孫。
自子孫,至元曾。乃九族,而之倫。
父子恩,夫婦從。兄則友,弟則恭。
長幼序,友與朋。君則敬,臣則忠。
此十義,人所同。
凡訓蒙,須講究。詳訓詁,名句讀。
為學者,必有初。小學終,至四書。
論語者,二十篇。群弟子,記善言。
孟子者,七篇止。講道德,說仁義。
作中庸,子思筆。中不偏,庸不易。
作大學,乃曾子。自修齊,至平治。
孝經通,四書熟。如六經,始可讀。
詩書易,禮春秋。號六經,當講求。
有連山,有歸藏。有周易,三易詳。
有典謨,有訓誥。有誓命,書之奧。
我周公,作周禮。著六官,存治體。
大小戴,注禮記。述聖言,禮樂備。
曰國風,曰雅頌。號四詩,當諷詠。
詩既亡,春秋作。寓褒貶,別善惡。
三傳者,有公羊。有左氏,有彀梁。
經既明,方讀子。撮其要,記其事。
五子者,有荀楊。文中子,及老莊。
經子通,讀諸史。考世系,知終始。
自羲農,至黃帝。號三皇,居上世。
唐有虞,號二帝。相揖遜,稱盛世。
夏有禹,商有湯。周文王,稱三王。
夏傳子,家天下。四百載,遷夏社。
湯伐夏,國號商。六百載,至紂亡。
周武王,始誅紂。八百載,最長久。
周轍東,王綱墮。逞干戈,尚遊說。
始春秋,終戰國。五霸強,七雄出。
嬴秦氏,始兼併。傳二世,楚漢爭。
高祖興,漢業建。至孝平,王莽篡。
光武興,為東漢。四百年,終於獻。
魏蜀吳,爭漢鼎。號三國,迄兩晉。
宋齊繼,梁陳承。為南朝,都金陵。
北元魏,分東西。宇文周,興高齊。
迨至隋,一土宇。不再傳,失統緒。
唐高祖,起義師。除隋亂,創國基。
二十傳,三百載。梁義之,國乃改。
梁唐晋,及汉周。称五代,皆有由。
炎宋興,受周禪。十八傳,南北混。
遼于金,皆稱帝。元灭金,绝宋世。
舆图广,超前代。九十年,国祚废。
太祖興,國大明。號洪武,都金陵。
迨成祖,遷燕京。十六世,至崇禎。
閹亂後,寇內訌。闖逆變,神器終。
清順治,據神京。至十傳,宣統遜。
舉總統,共和成。複漢土,民國興。
廿二史,全在茲。載治亂,知興衰。
讀史書,考實錄。通古今,若親目。
口而誦,心而惟。朝于斯,夕於斯。
昔仲尼,師項橐。古聖賢,尚勤學。
趙中令,讀魯論。彼既仕,學且勤。
披蒲編,削竹簡。彼無書,且知勉。
頭懸樑,錐刺股。彼不敎,自勤苦。
如囊螢,如映雪。家雖貧,學不綴。
如負薪,如掛角。身雖勞,猶苦卓。
蘇老泉,二十七。始發憤,讀書籍。
彼既老,猶悔遲。爾小生,宜早思。
若梁灏,八十二。對大廷,魁多士。
彼既成,眾稱異。爾小生,宜立志。
瑩八歲,能詠詩。泌七歲,能賦棋。
彼穎悟,人稱奇。爾幼學,當效之。
蔡文姬,能辨琴。謝道韫,能詠吟。
彼女子,且聰敏。爾男子,當自警。
唐劉晏,方七歲。舉神童,作正字。
彼雖幼,身己仕。爾幼學,勉而致。
有為者,亦若是。
犬守夜,雞司晨。苟不學,曷為人。
蠶吐絲,蜂釀蜜。人不學,不如物。
幼而學,壯而行。上致君,下澤民。
揚名聲,顯父母。光于前,裕於後。
人遺子,金滿嬴。我敎子,惟一經。
勤有功,戲無益。戒之哉,宜勉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