塞翁之馬

From Han Wiki
Revision as of 15:45, 15 March 2018 by Mhan (talk | contribs) (同義語, 類義語)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塞翁之馬

새옹지마

簡體: 塞翁之马 (sàiwēng zhī mǎ)

日語: 塞翁が馬 (さいおうがうま)

解說

글자 그대로는 '변방(邊方) 늙은이의 말'이라는 말인데, 한 노인미 키우던 말(馬)로 말미암아 화(禍)와 복(福)이 엎치락뒤치락했다는 일에서 유래된 말이다. 곧 사람의 길휴화복(吉凶禍福)의 변화는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원말은 '인간만사 새옹지마(人間萬事 塞翁之馬)'이다. 새옹마(塞翁馬), 북옹마(北翁馬)라고도 하며, 새옹득실(塞翁得失), 새옹화복(塞翁禍福)이라고 하면 새옹지마 격으로 득실이나 화복이 예측 불가능하게 변한다는 말이다. 《회남자》 '인생훈(人生訓)'편에 나온다.

古談

옛날 중국 북방의 요새 근처에 점을 잘 치는 늙은이가 살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 날 이 노오(老翁)의 말(馬)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났다. 마을 사람들이 이를 위로하자 노옹은 전혀 애석한 기색 없이 태연하게 이렇게 말했다.

"혹시 이 일이 복이 될지 누가 알겠소?"

과연 몇달이 지나자 달아났던 말이 오랑캐의 준마(駿馬)를 데리고 돌아왔다. 마을 사람들이 달려가 이를 축하하자 노옹은 이번에도 태연하게 말했다.

"이 일이 화가 될지 누가 아오?"

그런데 어느 날 말 타기를 좋아하는 노옹의 아들이 그 오랑캐의 말을 타다가 떨어져 다리가 부러졌다. 마을 사람들이 또 달려가 이를 위로하자 노옹은 역시 태연하게 말했다.

"이 일이 복이 될지 누가 알겠소?"

그로부터 1년여가 지난 어느 날, 오랑캐가 침입해 왔다. 마을 장정들은 모두 나가 싸우다 대개 죽고 말았다. 그러나 노옹의 아들만은 낙마(落馬)의 후유증으로 절름발이가 되어 싸움터에 끌려나가지 않아 무사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세상 사람들은 길흉화복은 일정한 것도 아니며, 그 변화는 예측할 수도 없는 것이기 때문에 재앙도 복도 슬퍼하고 기뻐할 것이 못 된다고 말하게 되었다. 이 글은 도가의 사상을 담았다고 알려져 있는 《회남자》 (淮南子)에 실려 있는 것으로서, 인간사에 초연할 것을 강조하는 도가사상을 읽일 수 있다.

同義語

  • 人生之事塞翁之馬
  • 人間万事塞翁之馬
  • 塞翁失馬 - "노옹이 잃은 말" 중국에서 흔히 사용되는 표현

類義語

  • 凡事各有其時、天下諸務、咸有厥期 (傳道書 3:1)

出典

  • 淮南子 <人間訓>

參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