指薪修祐 永綏吉劭

Revision as of 05:57, 14 August 2017 by Mhan (talk | contribs) (iwu)
(diff) ← Older revision | Latest revision (diff) | Newer revision → (diff)

천자문 | Previous 璇璣懸斡 晦魄環照 | Next 矩步引領 俯仰廊廟


指薪[注 1][注 2][注 3]하면 永綏[注 4]吉卲[注 5]라 (指◯薪修祐◑하면 永◯綏吉●卲◉라)

()손가락으로 섶나무를 밀어 넣어 불씨가 영원하듯, 생명의 영원함을 깨우쳐 행복을 강구하면, 길이길이 편안하고 吉祥이 높아진다.

積善修福은 可以指薪爲喩니 如薪盡火傳하여 永久不滅也라
如是면 則永以爲綏而吉祥自卲也라

善을 쌓아 福을 닦음은 〈다 타 없어지는 섶에〉 손가락을 써서 섶나무를 밀어 넣는 것으로 비유할 수 있으니, 섶나무는 소진하여도 불씨는 전해져 영구히 없어지지 않음과 같은 것이다.
이와 같으면 영원히 편안하게 되어 吉祥이 스스로 높아질 것이다.

[節旨] 이 節은 善行을 부지런히 해야 하는 것 또한 처신하는 방도라고 말한 것이다.(≪釋義≫)
[節解] 이 節은 “사람은 마땅히 善行을 하는 데에 힘써서 오직 날이 부족할까 해야 한다. 세월이 가서 물시계 바늘이 늘 재촉하고 璇璣(천체 관측 기구)가 운동하는 것이 밤낮으로 서로 재촉하는데 낮은 햇빛이 밝게 비추고 밤은 달의 검은 부분이 순환하여 날과 달이 가서 늙음이 장차 이르려 할 것이니, 수련하지 않을 수 없다. ≪莊子≫ 〈養生主〉의 指薪의 비유를 인용하여, 섶은 비록 다해도 불은 전해지니 오직 힘써 수련하여 복을 얻으면 그 몸이 오래 편안하여 해와 함께 같이 소멸되지 않음을 말하였다. 그 吉祥의 일을 스스로 권면하는 것이 좋겠다.”라고 말한 것이다.(≪釋義≫)

指薪修祐

指薪修祐

(韓) 불타는 나무와 같이 정열로 도리를 닦으면 복을 얻는다.

(簡) 좋은 것은 영원히 아름답고, 편안한 것이며

불타는 나무와 같이 熱로 도리를 닦으면 복을 얻는다. 1. 指意 3. 修身을 2. 불타는 나무와 같이 하면 4. 복을 받는다. 요약해서 말하면 1. 指가리켜 3. 修수양을 2. 薪정열로 다하면 4. 祐복받는다. (바꾸어 말 하면 현인적 처신을 하면 복 받는다) 귀취야(歸趣也)는 귀착(歸着)이요 마치 외항선이 항구에 도착하여 머무르듯 돌아와 닿음. returning, 의논 . 意見등 여러 경로를 거쳐 어떤 결말에 다다름. 사람들의 소망을 행복으로 歸着케 한다. 指意 修身; 가리켜 악을 물리치고 선을 북돋우어 마음과 行身을 바르게 닦아 수양함. (moral training) 땔나무는 정열적으로 불에 타는 것이 기본이다. 손가락 지(指), 곤두설 지(指), 가리킬 지(指). 지도(指導), 歸趣也에 뜻 지(指). 지의(指意), 나무 신(薪), 땔나무 신(薪). 섶 연료로 하는 초목. 신수薪水; 땔나무와 마실 물), 닦을 수(修). 수우(修祐; 몸을 닦으면 하늘의 俸祿을 받아 행복을 누린다는 뜻)수학(修學; 학업을 닦음), 다스릴 수(修). 수리(修理; 사물을 잘 다듬음), 어진 이 수(修). 옛날의 현인. 수(脩)와 통용, 도울 우(祐), 복 우(祐).행복.俸祿.

한자 유래

"장자(莊子)" 양생주(養生主)에 ‘섶은 궁진(窮盡)하지만 산에서 취하여 보충(補充)하면 불꽃은 나무에 붙어서 계속 타서 그 끝나는 것을 알지 못한다는 구절에 이 말이 나온다. 이 말은 불꽃이 계속 이어지듯 인간이 닦아 놓은 복(福)은 무궁(無窮)함을 비유한 것이다. 고대 중국인들은 자신이 쌓은 선행(善行)이 후손들에게 그 복(福)이 돌아갈 것이라고 여겼고, 악행(惡行)이 후손들에게 그 화(禍)가 미칠 것이라고 굳게 믿었다.

가리킬 지(指)의 구성(構成)은 사람의 손을 뜻하는 수(手)를 쓰기 간편하게 생략한 손 수(扌)와 맛 지(旨)로 짜여 있다. 지(旨)는 비수 비(匕)와 그릇의 모양(模樣)을 나타낸 ‘日’모양으로 구성(構成)되었다. 즉 그릇(日)에 담긴 음식물(飮食物)을 수저나 국자(匕)를 이용해 맛을 본다는 데서 ‘맛’ ‘맛있는 음식(飮食)’을 본뜻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 손 수(扌)를 더한 指(지)는 ‘음식(飮食) 맛을 보는 손’을 본뜻으로 하였지만 그 손 중에서도 식지(食指)로 주로 맛을 보기 때문에 ‘손가락’이란 의미(意味)도 파생(派生)되었으며, 아울러 특정한 사물(事物)을 가리킬 때는 다섯 손가락 중에서도 두 번째 손가락인 식지(食指)만을 펴 가리키기 때문에 ‘가리키다’는 뜻도 지니게 되었다.

섶나무 신(薪)은 풀 초(艹)와 새로울 신(新)으로 구성(構成)되었다. 신(新)의 구성(構成)은 메울 신(辛)의 생략형인 설 입(立)과 나무 목(木) 그리고 도끼 근(斤)으로 짜여 있다. 소리요소이기도 한 신(辛)은 죄인(罪人)의 이마나 팔뚝에 먹물(墨)로 죄명(罪名)을 새겨 넣던 문신(文身)의 도구(道具)를 상형(象形)한 것으로 본래 ‘죄’를 뜻하였으나 묵형(墨刑)을 당할 때의 고초(苦楚)가 몹시도 매서웠기 때문에 ‘맵다’와 ‘살상’의 뜻으로까지 확대(擴大) 되었다. 목(木)은 나무의 모양(模樣)을 본뜬 상형글자(象形字)로 자형상부(字形上部)는 나뭇가지를, 하부는 땅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모양(模樣)을 본뜬 것이다. 또한 도끼의 모양(模樣)을 본뜬 근(斤)의 자형(字形)에서 가로획(一)은 도끼의 머리와 날을, 세로획(丨)은 자루를 본뜬 것이며 좌변(厂)은 도끼날을 받는 나무와 같은 대상물(對象物)을 본뜬 상형글자(象形字)다. 따라서 신(新)의 전체적인 의미(意味)는 나무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보통 나무(木)에 생채기(辛)를 내거나 도끼(斤)로 자르게 되면 새롭게 새싹이 돋아난다는 점에서 ‘새롭다’는 뜻을 부여(附與)받게 되었다. 그러나 본뜻은 도끼 등으로 잘라낸 ‘땔나무’였는데, ‘새롭다’는 의미(意味)로 쓰이자 풀 초(艹)를 더하여 ‘섶나무 薪(신)’을 별도로 제작(制作)하게 되었다.

닦을 수(修)의 구성(構成)은 바 유(攸)와 터럭 삼(彡)으로 짜여 있다. 유(攸)는 사람 인(亻)과 땀 흘리는 모양(模樣)을 형상화 한 곤(丨) 그리고 칠 복(攵)으로 구성되었다. 그 뜻은 스승이 손에 회초리를 들고(攵=攴)서 제자(亻)가 땀을 흘리며(丨) 열심히 몸을 단련하도록 독려(督勵)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특히 금문(金文)에 새겨진 세 개의 점(氵=丨)을 핏방울(血)로 해석(解釋)하기도 하는데, 이는 몽둥이(攵)이로 때린다는 의미(意味)에서 그렇게 보는 것 같다. 삼(彡)은 가지런하게 난 짐승의 윤기 있는 털을 본뜬 것인데, 다른 자형에 더해져 ‘빛나다’는 뜻을 지니게 한다. 따라서 수(修)의 전체적인 의미는 어떤 사람(亻)이 땀 흘려(丨) 열심히 몸을 단련(鍛鍊)하도록 회초리를 들고(攵)서 독려하여 결국엔 빛이 나도록(彡)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즉 유(攸)에 담긴 뜻이 신체(身體)를 통한 닦음이라면, 삼(彡)은 몸 안의 내면 즉 마음수양(修養)을 뜻하고 있다.

도울 우(祐)의 구성(構成)은 뜻을 나타내는 보일 시(示) 부(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돕다'의 뜻(佑)을 가지는 우(右)로 이루어진 형성문자(形聲字)로 신(神)의 도움의 뜻이다. 즉 우(祐)는 바칠 시(示) 변에 오른 우(右)를 한 문자로 귀신이 도와주다(神助), 다행하다(幸) 등의 뜻이 있으며 우(右)는 입 구(口) 위에 한 일(一)에 비침 별(丿)로 왼 좌(左)의 본자(本字)를 한 문자이다. 즉 우(祐)는 입(口)의 그릇(左)됨을 바로 잡아 바르게(右) 되면 귀신(示)도 도와준다는 의미(意味)를 그렸다. 우(右)자는 본디 오른손(又→扌)을 그렸으나 왼손과 오른손의 그림이 혼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又→)은 공통적으로 그리고 오른손에는 밥 먹는데 쓰는 손이라는 뜻으로 입(口)을 더하고, 왼손은 연장(工)을 쥐는 손으로 각기 구분하여 오른쪽(右)과 왼쪽(左)을 구분하였다. 이러한 구분(區分)은 장구한 기간이 지났음에도 아직까지 동반(同伴)과 상생의 개념보다는 상대적인 개념(槪念)으로 그 맥이 이어지고 있다. 공자가(子) 말했다. 돕는다는(祐) 것은 도와(助)주는 것이다.

永綏吉劭

永綏吉劭

(韓) 그리고 영구히 편안하고 길함이 높으리라.

(簡) 그리고 영구히 편안하고 길함이 높으리라.

그리고 영구히 편안하고 길함이 높으리라. 1. 영구히 3. 길하고 2. 편안함과 4.이름 높은 것이라. 길 영(永), 편안할 유(綏).安也에 수 또는 유로 쓰임, 길할 길(吉). 길사(吉事). 길흉(吉凶). 길안(吉安). 길조(吉鳥), 높을 소(邵),고을 이름 소(邵).

한자 유래

지신수우(指薪修祐)하면 영수길소(永綏吉邵)한다. 복을 닦는 것은 손가락으로 장작을 지피는 것과 같고, 오래도록 편안(便安)하여 상서(祥瑞)로움이 높아간다. 사람이 이 세상을 살아간다는 것은 장작을 태우듯 몸뚱이를 태워 가는 일이다. 착(善)한 일을 많이 해서 아름다운 덕(德)을 쌓고 보면, 그 복(福)이 장작의 불씨처럼 자손(子孫)들 한테로 이어질 것이라는 말이다. 섶나무처럼 자신을 불태워 자신의 덕을 닦으면 자손 대대로 그 복을 누리게 되니 영구(永久)토록 편안하면서 길하고 세상이 우러러 보게 됨을 말하고 있다.

길 영(永)은 상형글자로서 물줄기의 근원(根源)이랄 수 있는 샘(丶)과 그곳으로부터 비롯된 여러 갈래의 물줄기(水)가 합쳐지고 갈라지며 멀리 바다에 이르기 까지 흘러가는 모양(模樣)을 본뜬 것이다. 그 물줄기(水)가 한없이 길면 자형상부의 가로획(一)처럼 구부림으로서 그 의미(意味)를 압축(壓縮)하여 그려 넣었다. 붓글씨를 쓸 때 이 영(永)자를 기본으로 연습(練習)을 하는데, 이는 한나라 때 채옹(蔡邕)이 고안(考案)한 영자팔법(永字八法)이다. 이 영(永)자 한 글자로써 모든 글자에 공통(共通)되는 여덟 가지의 쓰기 법(法)인데, 측(側)은 맨 위에 놓인 점, 늑(勒)은 자형상부의 가로 획, 노(努)는 가운데 내리는 획, 적(趯)은 아래 갈고리모양의 구부림, 책(策)은 왼쪽의 짧은 가로 획, 약(掠)은 왼쪽의 바깥쪽 아래로 삐침, 탁(啄)은 왼쪽 위의 안쪽으로의 삐침, 책(磔)은 오른쪽 아래의 파임을 말한다.

편안할 수(綏)의 구성(構成)은 뜻을 나타내는 실 사(糸) 부(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온당할 타(妥)가 합(合)하여 이루어진 형성문자(形聲字)이다. 즉 수(綏)는 실 사(糸) 변에 편안할 타(妥)를 한 문자로 편안하다(安), 수레고삐, 여우모양(狐貌) 등의 뜻이 있고, 유(綏)로 읽을 때는 깃발 늘어지다(旗旄下垂) 등의 뜻이 있으며, 타(妥)는 여자 녀(女) 위에 손톱 조(爪)를 한 문자이다. 여기서 수(綏)는 간단한 옥편에는 "편안할 수(綏)" 한 가지만 나오지만 좀더 자세한 옥편을 보면 "수(綏), 유(綏), 타(綏)" 세 가지의 독음(讀音)이 있다. 이 중 어느 음(音)으로 읽어야 하는 지는 순전히 관련 한자의 연관성(聯關性)을 따를 수 밖에 없다. 흔히 "수(綏)"음만 있는 간단한 옥편만 보고서는 왜 "수(綏)"자를 "유(綏)"로 읽느냐고 묻는데, 이는 잘못된 질문(質問)이다.

길할 길(吉)자의 구성(構成)은 선비 사(士)와 입 구(口)로 짜여 있다. 사(士)는 한 일(一)과 열 십(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뜻은 하나에서 열까지 거의 모든 일에 통달(通達)한 이를 가리키는 말로 훌륭하고 뛰어난 사람을 지칭(指稱)하였다. 따라서 그렇게 세상사에 달통(達通)한 사람(士)이 들려주는 말씀(口)을 귀담아 마음에 잘 새겨두면 좋은 일만 생긴다는 의미(意味)를 담고 있다. 여기서 길(吉)자의 위는 병기(士)이고 아래는 병기를 보관하는 그릇(口)으로 병기를 보관하는 그릇이 튼튼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좋은 것, 길상(吉祥)’이란 뜻으로 확장(擴張)되었다는 설이다. 또한 길(吉)자의 위는 도끼(士)이고 아래는 도끼를 받치는 받침대(口)라는 설이다. 그리고 길(吉)자의 위와 아래 모두 의미 부분(部分)으로 ‘좋다’라는 뜻이다. 따라서 길(吉)자의 위는 시간을 재는 토규(土圭)이고 아래는 토규를 올려놓는 신단(神壇)이다. 나아가 길(吉)자의 위는 사내아이의 성기로 차(且)자의 축소형(縮小形)이다. 이들 길(吉)자의 의미를 해석(解釋)하는 소재인 병기, 도끼, 토규, 사내아이의 성기 등은 종족(種族)을 길(吉)하게 보존(保存)하는데 좋은 것들임에는 분명(分明)하다.

땅이름 소(邵)의 구성(構成)은 뜻을 나타내는 우부방(阝) 부(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소(召)가 합(合)하여 이루어진 형성문자(形聲字)이다. 즉 소(邵)는 고을 읍(阝) 변에 부를 소(召), 또는 대추 조(召)를 한 문자이며, 소(召)는 입 구(口) 위에 칼 도(刀)를 한 문자이다. 부를 소(召)자는 '입(口)으로 사람을 부르다'는 뜻이다. 칼 도(刀)자가 소리로 사용되었다. 국민소환제(國民召還制)는 '잘못하는 정치인을 국민(國民)들이 불러서(召) 돌아오게(還) 하는 제도(制)'로, 선거로 선출된 정치인이 잘못된 정치를 하는 경우 임기가 끝나기 전에 국민 투표에 의하여 파면시키는 제도다. 소환장(召喚狀)은 '부르고(召) 부르는(喚) 문서(狀)'라는 뜻으로, 재판에서 당사자나 관계자에게 날짜를 알려 출석을 명령하는 뜻을 기재한 서류이다. 고을 읍(邑/阝)자가 들어가는 성 소(邵)자는 원래 중국의 땅 이름이었으나, 성씨로 사용된다. 원래 중국의 성씨로 주(周)나라 소공(召公)의 후예로 알려져 있다. 관련 한자인 소옹(邵翁)은 송(宋) 나라 때의 유학자 소옹(邵雍)을 말한다. 주역(周易)의 수리(數理)를 좋아하여 태극(太極)을 우주의 본체로 보았는데 상수(象數)의 학문을 중시하였다. 낙양(洛陽)에 거의 30년이나 살면서 거처하는 곳을 안락와(安樂窩)로 명명하고 스스로 안락선생(安樂先生)이라고 불렀다. 저서로는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이천격양집(伊川擊壤集) 등이 있다. <宋史 卷 427 邵雍傳>

  1. 指薪修祐 永綏吉卲 : 指는 보인다[示]는 뜻이고, 薪은 섶나무이니, ≪莊子≫ 〈養生主〉에 이르기를 “〈타 없어지는 섶에〉 손가락으로 섶나무를 밀어 넣으면 불씨가 전해져서 그 다하는 것을 알지 못한다.[指窮於爲薪 火傳也 不知其盡也]”* 하였다. 修는 다스린다는 뜻이니, 스스로 그 몸을 닦음이다. 祐는 복이다. 永은 오래이다. 綏는 편안하다는 뜻이다. 吉은 상서롭다는 뜻이다. 卲(劭)는 권면한다는 뜻이다.(≪釋義≫)
    • 指窮於爲薪 火傳也 不知其盡也 : 窮은 극진히 함이고, 爲薪은 섶나무를 밀어 넣는 것과 같다. 손가락으로 섶나무를 밀어 넣으면 손가락이 섶나무를 밀어 넣는 이치를 극진히 하게 되므로 불이 전해져 끊어지지 않는다. 마음에 숨을 받아들여 양생하는 中道를 터득하므로 생명이 이어져 끊어지지 않으니, 養生은 바로 생명이 살게 되는 것임을 밝힌 것이다.(≪莊子≫ 〈養生主〉 郭象 注)
  2. 修 : 脩(닦을 수)와 같다.(≪註解≫)
  3. 祐 : ≪釋義≫에는 祜(복 호)로 되어 있다. 祐는 祜의 오자이다. 祐로 하면 仄韻脚 卲가 去聲이고 出句脚 祐가 거성이어서 上下句 尾字가 同聲調인 上尾가 된다. 祜는 上聲 麌韻이어서, 祜로 하면 祐(去)ㆍ卲(去)의 同聲調에서 祜(上)ㆍ卲(去)의 異聲調가 되어 상미를 피할 수 있다. 祜는 祐와 字形이 유사한 同義異字이기 때문에 혼용된 것으로 보인다. ≪千字文≫에서 측운각일 때 출구각이 동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祐ㆍ卲 한 곳뿐이므로, 祜ㆍ卲가 되면 상미는 자취를 감추게 된다. 그리고 卲(去聲 笑韻)가 劭(去聲 笑韻)로 쓰여도 同韻이기 때문에 운각과 출구각의 성조 관계는 변동이 없다.(해제 참조)
  4. 綏 : ≪新字典≫에 “유 旗旄下垂 긔 드림, 슈 安也 편안할”이라고 하여 ‘기 드림 유’와 ‘편안할 수’로 구분하였다.
  5. 卲 : ≪釋義≫에는 劭(힘쓸 소)로 되어 있다. 卲는 혹은 邵(높을 소)ㆍ劭(높을 소)로도 쓴다.(≪中≫) ≪註解≫의 卲는 ‘높다’ ‘아름답다’로 풀이되고, ≪釋義≫의 劭는 ‘힘쓰다’로 풀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