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


온라인 법첩

서예의 五書

  • 전서(篆書)
    춘추전국시대 이전에는 도량형은 물론이고 문자도 서로 통일되지 않았다고 한다. 이 때의 문자를 대전大篆이라고 한다고 한다. 이 대전을 묶어 하나로 정리한 이가 바로 진나라의 진시황 그리고 초대 재상이었던 이사. 이렇게 정리된 문자를 소전小篆이라고 했고, 이 글씨를 쓰는 법을 전서라고 부른다고 한다. 물론 그렇다고 해도 전서의 폭은 워낙 넓어 한정하기 어렵기는 하다. 상형에 가까운 갑골문자들이 거의 그림이나 기하학적 기호처럼 표현된 글씨가 전서라고 보면 된다. 실용적인 언어에 쓰이기보다는 의식용으로 많이 쓰인 듯하다.
  • 예서(隸書)
    전서가 하나하나 그리는 데에 시간이 너무 오래걸렸기 때문에 이를 간소화한 서법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이 때 예서가 등장했다고 한다. 현재 식으로 따지자면 '옛체'에서의 한자서체와 비슷한 형태. 전서보다 약간 옆으로 퍼져서 정사각형에 가까운 서체.
  • 해서(楷書)
    아마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반듯한 서체. 통상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궁서체'의 글씨가 해서와 비슷하다. 표준이라는 의미에서 '진서眞書'나 '정서正書'라고도 부른다고 한다. 당나라의 안진경이 이 해서의 달인이었다고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는 안평대군이 해서에 대단히 능했다고 한다. 몽유도원도에 안평대군이 발문한 글씨가 해서의 표본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 행서(行書)
    이름도 비슷-_-하기도 하고 해서를 약간 흘려쓴 것 같은 느낌인데다 밑에 나올 초서보다는 또렷해서 해서와 초서 사이에 등장한 서법으로 오해할 수 있는데, 생겨난 시기는 오히려 초서보다도 뒤. '해서를 흘려쓴' 것이라기 보다는 '초서를 똑바로 쓴' 글씨에 가깝다. 서예를 하지 않아 잘은 모르지만 서법 자체가 해서보다는 행서에 기초한다고 한다. 해서는 너무 범생이같고 초서는 알아볼 수가 없어서 일종의 절충안인 이 행서가 큰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후기의 대표적인 명필 김정희가 행서의 대가였다고.
  • 초서(草書)
    영어의 필기체라고 보면 된다. 나같은 문외한이 알아보기는 거의 불가능할 정도지만 하나의 그림으로서의 심미성은 뛰어나다. '언어로서의 글씨書'라기보다는 '회화예술藝'로서의 기능에 충실한 느낌. 동진시대 유명한 서예가 왕희지의 초서가 가장 유명하다. 우리나라에서는 한호, 김정희와 더불어 조선시대 3대 명필로 이름을 알린 양사언이 초서에 능하다고 한다. (큰 글씨에도 능했던 양사언의 글씨는 금강산 만폭동바위에 아직까지 남아있다고 한다)

붓글씨


기본

서예는 어떤한 단계를 거쳐야 하는가?

글씨를 배우려면 다른 것들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방법과 단계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전쟁을 함에 있어 만약 세부적인 계획이 없다면 승리할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이 문제는 초학자에게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것이다.

글씨를 배울 때는 어떻게 시작하여 어떤 경로를 거쳐야 하느냐에 대한 정확한 개념이 있어야만 한다. 만일 이러한 개념이 없다면 힘만 들고 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헛수고를 면할 수 없다.

글씨를 배울 때의 첫 단계는 붓을 움직이기 전에 준비 작업이 있어야 한다. 먼저 글씨를 쓰는 목적을 분명히 한 다음 서예에 관한 기초적인 책들을 읽어야 한다. 그런다음 비첩(碑帖)을 써야 하며, 어떤 글자들을 익혀야 하며, 어떤 붓을 써야 하며, 붓은 어떻게 잡아야 하며, 올바른 자세와 글씨는 어떤 것인가에 대한 문제들을 알아야 한다. 붓을 움직이기 전에 이러한 문제들을 먼저 알아야만 헛수고를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로는 곧 붓을 움직이는 초급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글씨를 배울 때 먼저 글씨체를 받아서 쓰면서 알맞은 비첩을 선택하여 임모(臨摹)를 하여야만 직접적으로 초학자들의 모방실력을 배양할 수 있다. 만약 시작하기가 좀 곤란하다면 먼저 기본필획에서 시작할 수 있다.예컨데 점. 횡획. 별.날(捺) .수. 구(鉤) 등등을 익혀서 어떻게 붓을 대어 진행시켜 나가며 어떻게 붓을 거두는 가를 체득한다.

그러면 어떠한 서체에서부터 시작하여야만 옳은 길인가? 이 문제에 대해서 서예계에서는 아직까지 이설이 분분하다.전서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이도 있으나 아무래도 해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고 수월하다고 생각된다.그리고 해서를 시작할 때 당해(唐楷)나 위비(魏碑)를 선택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개인의 상황에 근거를 두어 결정하는 것이 좋다.

세 번째 단계로는 해서의 기초가 비교적 착실하다고 느껴졌을 때 행서로 들어가는 과정을 말한다. 주의할 점은 처음 해서를 배운 사람의 것을 쓰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안진경의 해서를 썼으면 행서도 그의 것을 쓰는 것이 좋다는 말이다. 만일 글씨의 조화를 이루려면 가장 좋은 방법으로 처음 배운 비첩과 같은 계열의 것을 쓰는 것이다. 현격하게 다른 것을 쓴다면 그 만큼 글씨의 진보에도 영향을 줄 것이다. 행서는 일반적으로 왕희지(王羲之)의 성교서(聖敎序)나 난정서(蘭亭序) 혹은 이북해(李北海)의 이사훈비(李思訓碑)라든지 안진경(顔眞卿) 미불(米불) 황정견(黃庭堅)의 행서를 쓸 수 있다.

네 번째 단계는 행서가 이미 숙달된 상태에서 예서(隸書)나 전서(篆書)를 쓰는 과정이다. 예서는 한나라의 비를 쓰는 것이 좋은데, 예를 든다면 사신비 ,장천비,예기비,을영비, 조전비, 등이 있다. 전서를 배우려면 먼저 소전을 배운뒤에 대전을 배우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소전의 가로획이 가지런하고 세로획은 곧바르고, 둥근 획과 꺾어지는 획들이 손에 어우러지고, 짜임새를 쉽게 익힐수 있고, 붓을 자유스럽게 움직일수 있기 때문이다. 소전은 이사(李斯.이양빙(李陽氷) 등석여(鄧石如) 등의 서가의 전서를 공부한 뒤에 석고(石鼓) 갑골(甲骨) 등으로 들어갈 수 있다.

다섯 번째의 단계는 이상의 여러 체를 골고루 습득한 후에 초서(草書)로 들어가는 과정을 말한다. 초서는 반드시 장초(章草)를 먼저 써야 한다.왜냐하면 장초는 용필이 응련침웅(凝煉沈雄)하고 초법(草法)도 비교적 규범적이어서 초서의 필법과 초결(草訣)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상을 종합하여 말하면 글씨를 배우는 단계가 바로 초학자의 열쇠이며, 좋은 글시를 쓰느냐 못쓰느냐의 관건인 것이니 절대로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만일 이것을 무시한다면 성공의 길로 가기에는 무척 어려움이 따를 것이다.

  • 초림 김미자의 서예이론강의에서 옮겨온 글입니다.^^

관리법


서예가

  • Mò Yǒu Zhī (莫友芝, 막우지), 1811 - 1871, 청(淸)나라 말기
  • Huáng Tíng Jiān (黄庭坚, 황정견), 1045 - 1105, 송代
  • Zhào Bǐng Wén (赵秉文, 조병문), 1159 - 1232, 금代
  • Mengfu Zhao (趙孟頫, 조맹부), 1254 - 1322, 원代
  • 董其昌 (동기창)
  • Xǔ Shèn (許愼, 허신), 30 - 124, 東漢代
  • 米芾 (미비)
  • 王铎 (왕탁)
  • 清人 (청인)
  • 歐陽詢/欧阳询 (구양순), 해서, 행서
  • 敬世江 (경세강)
  • 何绍基 (하소기)
  • 丰熙 (봉희)
  • 王羲之(왕희지), 307 ~ 365, 초서
  • 蘇軾(소식), 1036 ~ 1101
  • 智果(지과)
  • 薛曜(설요), 698 ~ 700
  • 孫過庭(손과정), 648 ~ 703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