弦歌酒讌 接杯擧觴

천자문 | Previous 晝眠夕寐 藍筍象床 | Next 矯手頓足 悅豫且康


[注 1]歌酒讌[注 2]하고 接杯[注 3][注 4][注 5]이라 (絃歌酒◯讌◑하고 接●杯擧◯觴◎이라)

()絃樂器로 노래하며 술로 잔치하고, 술잔을 받고 잔을 든다.

絃歌迭奏는 所以侑酒也요
杯觴交錯은 所以飾歡也라

현악기와 노래를 번갈아 연주함은 술을 권하는 것이고,
술잔을 왔다 갔다 함은 기쁨을 치장하는 것이다.

弦歌酒讌

弦歌酒讌

(韓) 거문고를 타며 술과 노래로 잔치하니.

(簡) 거문고를 타며 술과 노래로 잔치를 베풀고

이야기할 연(讌),(잔치 연(연)과 宴 은 같이 쓰인다. 거문고를 타며 술과 노래로 잔치한다. 1. 악기를 울리며 3. 술도 마시고 2. 노래도 부르며 4. 잔치한다. 악기 줄 현(絃). 현가(絃歌) 하면 현악기와 어울려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 현악기 하면 거문고를 뜻 한다, 노래 가(歌), 술 주(酒). 주연(酒)하면 酒宴로 같이 쓰이기도 한다, 잔치 연(宴)

한자 유래

주연(酒宴)을 베푸는 자리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예법(禮法)을 주례(酒禮)라 하는데, 한 잔의 술을 주고받을 때에도 주인과 손님은 절을 하면서 예의(禮儀)와 품위(品位)를 잃지 않고 마신다. 또한 하루종일 술을 마셔도 결코 취(醉)하지 않고, 사람이 지켜야 할 예의를 잃지 않는다. 즉 술로 인해 일어나는 재앙(災殃)과 비극(悲劇)을 예방하는 효과(效果)를 말한다. 그들에게 술이란 서로 기쁨(喜)과 즐거움(㦡)을 얻는 것이고, 음악이란 덕(德)을 밝히는 것이며, 예의는 음란(淫亂)함을 막는 것이다.

줄 현(絃)자의 구성(構成)은 실이 나란히 두개인 사(糸, 玄)가 들어 있는 형성글자(形聲字)다. 현(玄)자는 부수 글자로 본디 끊어진 실타래 꼴로 '작을 요(幺)'자와 뿌리가 같은 글자인데, 후에 '머리(亠)'가 추가되어 지금의 현(玄)자가 되었다. 그러니 현(玄)자는 마치 머리(亠)끝에 작은(糸) 실오라기가 잘 보이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검다(玄)'라는 뜻이 되었다. 이는 산꼭대기에 작은 물체가 움직이지만 너무 멀어서 가물가물하게 보일 듯 말 듯 희미(稀微)하게 움직임을 연상(聯想)하면 된다. 현(玄)자는 흑색(黑色)처럼 특정의 색이 아니라 아득하게(玄) 먼 유원(幽遠)의 상태(狀態)에서 심오(深奧)하거나(玄) 오묘(奧妙)하고(玄) 미묘(微妙)하여 (玄) '검붉은(玄)' 느낌을 이른다. 현악기(絃樂器)는 '줄(絃)을 타거나 켜서 노래하는(樂) 도구(器)'이고, 관현악(管絃樂)은 '관(管)악기와 현(絃)악기로 연주하는 음악(樂)'이다.

노래 가(歌)는 노래 가(哥)와 하품 흠(欠)으로 구성(構成)되었다. 가(哥)는 두 개의 ‘옳을 가(可)’로 이루어졌는데, 가(可)에 대한 해석은 두 개로 나뉜다. ‘ㄱ’자 모양(模樣)의 농기구(農器具)로 땅을 일구면서 입(口)으로 노래를 부른다는 것과 누군가 뭔가를 요청(要請)했을 때 잠시(暫時)의 주저(躊躇)함도 없이(ㄱ) 입(口)에서 나오는 소리는 곧 ‘옳다’거나 ‘허락(許諾)’한다는 뜻을 의미(意味)한다고 보는 견해(見解)이다. 중요(重要)한 것은 가(可)의 의미요소(意味要素)는 입을 상형(象形)한 구(口)에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可(가)를 겹쳐 쓴 가(哥)는 목소리를 길게 늘어 뽑아 노래함을 뜻하고는 있지만 보다 그 의미(意味)를 확실(確實)하게 나타내기 위해 크게 입을 벌린 모양(模樣)을 본뜬 흠(欠)자를 더하여 ‘노래 歌(가)’를 만들었다.

술 주(酒)자의 구성(構成)은 물 수(氵)와 닭 유(酉)로 짜여 있다. 여기서 유(酉)는 닭을 의미(意味)한다기 보다는 술병을 상징(象徵)하는 상형글자이다. 따라서 술병(酉)에 가득 담긴 물(氵), 즉 잘 우러난 술을 뜻한다. 항간(巷間)에서는 주도(酒道)를 말하면서 술 마실 때는 실수를 줄이기 위해서 닭(酉)처럼 한 모금 한 모금 물(氵)을 쪼아 먹듯 해야 한다고 풀어 말하기도 하는데, 때에 따라 교훈(敎訓)적 의미(意味)를 담아 해석(解釋)하는 것 같다.

이야기할 연(讌)의 구성(構成)은 뜻을 나타내는 말씀 언(言) 부(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제비 연(燕)이 합(合)하여 이루어진 형성문자(形聲字)이다. 또한 제비 연(燕)자는 양 날개를 활짝 펴고 있는 제비의 모습(模襲)을 본떠 만든 글자다. 글자 맨 위에 머리, 중앙(口)에 몸통, 양쪽(北)으로 날개, 맨 아래(灬)에 꼬리가 있는 모습이다. 연행가(燕行歌)는 '연경(燕)을 다녀온(行) 내용을 담은 노래(歌)'로, 조선 고종 때 홍순학이 사신으로 청나라 연경(燕京)을 갔다 와서 만든 총 3,924구의 장편 가사이다. 연경(燕京)은 '연(燕)나라의 서울(京)'이란 뜻으로, 지금의 북경(北京)이다. 연(燕)나라는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있었던 나라로, 전국칠웅(全國七雄) 가운데 하나다. 기원전 222년에 진(秦)에 멸망되었다. 흥부전에 나오는 흥부의 이름이 연흥부인데, 연흥부(燕興夫)는 '제비(燕) 다리를 고쳐주고 흥한(興) 사내(夫)'라는 뜻이다. 여기서 연(讌)과 연(燕)은 같은 글자이다. 즉 술과 음식으로 빈객을 접대하다는 뜻이다. 잔치 연(宴)자는 '집(宀)에서 잔치를 하다'는 뜻이다. 편안할, 늦을 안(妟)자는 '여자(女)가 해(日)가 중천에 오를 때까지 자고 늦게 일어나니 편하다'는 뜻으로 추측된다. 연례악(宴禮樂)은 '잔치(宴)에서 예절(禮)을 갖추기 위해 연주하는 음악(樂)'으로, 조선 시대 궁중의 조회(朝會) 및 연회(宴會) 때 연주되던 음악이다.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은 '용궁(龍宮)의 잔치(宴)에 간(赴) 기록(記錄)'으로 조선시대 김시습이 지은 한국 최초의 한문소설집인 금오신화(金鰲新話)에 수록된 5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연(讌)은 말씀 언(言) 변(邊)에 연나라 연(燕)을 한 문자이다.

接杯擧觴

接杯擧觴

(韓) 작고 큰 술잔을 서로 주고받으며 즐기는 모습이다.

(簡) 서로, 서로 술잔을 권하고, 마시고

작고 큰 술잔을 서로 주고받으며 즐기는 모습이다. 1. 대접을 위해 3. 들고 있는 2. 잔은 서로 주고받는 4.술잔이다. 접대할 접(接), 잔 배(杯). 접배(接杯). 잔을 주기도하고 받기도 한다는 뜻, 들 거(擧), 거상(擧觴). 擧는 들어 올리는 것. 觴은 술잔을 뜻한다,술잔 상(觴) 學習考 : 본 절은 연회음주의 즐거움에 대해 서술한 글이다. 예나 지금이나 손님을 맞는 초인사로 (대객초인사;對客初人事)담배를 권하고 술상을 나오게 한다. 상류의 가정에서는 의래 거문고를 잡히고 이에 어울려 노래하면서 계속하여 술잔을 주고받는다. <<논어>>양화편(陽貨篇)에 보면 [공자께서도 무성에 가셨을 때 거문고에 맞춰서 부르는 노랫소리를 듣 으 셨다(子之武城 聞絃歌之聲)라는 句節이 있다. 거문고를 탄다는 것은 당시 상류층의 교양의 일부였음을 알 수 있다.음주(飮酒) 가무(歌舞) 담론(談論) 등은 고대에는 물론 현대에 이르러서도 문화인들은 즐겨 하는 행사들이다.

한자 유래

현가주연(絃歌酒讌)하고 접배거상(接杯擧觴)함은, 거문고 타고 노래하며 술 마시는 연회석(宴會席)에서는 점잖게 잔을 쥐고 두 손으로 들어 올려 권함을 뜻한다. '현(絃)'은 줄로 만든 악기로 거문고(玄鶴琴), 가야금(伽倻琴), 비파(琵琶) 같은 것이고, '가(歌)'는 시(詩), 시조(詩調), 노래(歌)를 말한다. '접배거상(接杯擧觴)'은 잔치판에서 개인이 튀는 것을 막기 위한 하나의 제도(制度)이다. "예기(禮記)" '악기(樂記)'편에 보면 '한 잔을 올리는 예(禮)에도 손(客)과 주인(主)이 마주 절하여 종일 술을 마셔도 취하지 않는다'고 하였으니, 이른바 '주도(酒道)'를 말하는 것이다. 현악기(玄樂器)와 노래를 차례로 연주(演奏)함은 술을 권하는 것이요, 술잔을 교착(交着)함은 기쁨을 꾸미는 것이다.

접할 접(接)은 사람 손의 모양(模樣)을 상형한 손 수(手)의 간략형인 수(扌)와 첩 첩(妾)으로 이루어졌다. 고대시대의 악습(惡習)이 담겨 있는 첩(妾)자는 죄인(罪人)과 붙잡혀 온 노예(奴隸)의 이마나 팔뚝에 먹물로 죄명(罪名)을 새겨 넣던 문신의 도구(道具)를 상형한 매울 신(辛)과 다소곳이 앉아 있는 여자의 모습(模襲)을 본뜬 여자 여(女)로 구성(構成)되었다. 그 뜻은 전쟁(戰爭) 등을 통해 붙잡아 온 여인(女)들의 이마에 먹물로 문신 새겨(辛) ‘첩’이나 ‘여자종’임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접(接)의 의미(意味)는 첩이나 여자종(妾)을 가까이 두고 수발(扌)을 들게 하였다는 데서 ‘접대(接待)하다’ ‘접하다’는 뜻이 생겨났다.

술잔 배(杯)자는 형부인 나무(木)와 성부인 '아닐 부(否, 不)'자가 '배'로 전음(轉音) 된 형성자(形聲字)이다. 배(杯)자는 나무(木)가 씨방 모양의 불(不)자 꼴로 된 기물(器物)인 '잔(杯)'을 뜻한다. 성부인 부(否)자는 '잔 배(杯)'자의 본의(本義)를 담고 있다. 부(否)자는 형부인 말(口)과 화려(華麗)한 꽃이 떨어지고 씨방만 남아서 잎사귀가 밑으로 쳐진 모습(模襲)을 나타내는 성부인 '아니 불(不)'자가 '부'로 전음(轉音) 된 형성자(形聲字)이다. 그러니 부(否)자는 말(口)이 아니다(不)라는 의미(意味)에서 '말이 아니다, 말이 안 된다, 부정(否定)하다'라는 뜻으로 발전(發展)된다. 결국 부(否) 자는 '아니다, 부정하다, 막히다(否)'라는 뜻을 지닌다. 따라서 놓인 위치를 스스로 부정하여 제 기능을 하는 나무 기물을 나타내는 배(杯)자는 나무(木)가 옳게 놓였다가 부정(否, 不)하여 내용물(內容物)을 따라내는 '잔(杯)'을 뜻한다. 나무(木)가 씨방(不) 모양(模樣)으로 된 잔(杯)에는 자신을 부정하는 각고(刻苦)의 노력(努力)이 스며있다. 우리는 보통 경기에서 우승배(優勝杯)를 받거나, 축배(祝杯)를 드는 그 순간의 영광에 의미를 둔다. 그러나 당사자는 그 순간을 위해 쓰디쓴 즙이 담긴 고배(苦杯)의 쓰디쓴 경험을 바탕으로 가능했던 것이다. 예전부터 나무(木)가 씨방(不) 모양으로 된 잔(杯)은 부치는 사람의 정을 봐서 기수(寄數)인 3·5 식으로 마시지 뜻하지 않게 인형처럼 마시지 말라는 의미에서 우수(偶數)인 2·4와 같이 마시지 않는 주불쌍배(酒不雙杯)의 관습(慣習)이 있다. 그리고 술자리에 늦게 온 사람을 먼저 권하는 후래선배(後來先杯), 늦게 온 사람을 먼저 권하는 후래삼배(後來三杯)의 관습도 있다. 이는 늦게 왔다는 벌로 먼저 주거나 그것도 세 잔을 준다는 의미(意味)보다는 공감대(共感帶)를 형성(形成)하려는 기존 사람들의 포용력(包容力)이랄 수 있다. 술잔 속의 뱀 그림자인 배중사영(杯中蛇影)처럼 아무 것도 아닌 일에 스스로 의심(疑心)하고 지나치게 근심하던 일들은 물론이고, 술잔으로 원한을 푸는 배주해원(杯酒解怨) 등은 술잔이 몇 순배(巡杯) 돌면서 건배(乾杯)를 하면서 그 동안의 쓴 경험(經驗)을 씻어내는 힘이 있다.

들 거(擧)는 마주들 여(舁)와 더불어 여(与) 그리고 손 수(手)로 구성(構成)되었다. 여(舁)는 자형상부는 두 손을 마주하는 모양(模樣)이며 하부는 두 손으로 뭔가를 받드는 형태(型態), 즉 두 손으로 받들 '공(廾)'으로 짜여 있다. 여(与)는 짚이나 나무껍질 등으로 꼬아 만든 새끼줄을 본뜬 상형글자이다. 또한 手(수)는 다섯 손가락과 손목 부위의 모양(模樣)을 그대로 본뜬 상형글자이다. 따라서 거(擧)의 전체적인 의미(意味)는 우리의 민속놀이에서 볼 수 있는 거대(巨大)하게 꼰 새끼줄(与)을 두 사람이 마주들(舁) 뿐만 아니라 또 다른 많은 사람들이 함께 참여(參與)해 손(手)을 써서 ‘들어 올린다’는 뜻이 담겨 있다.

잔 상(觴)은 뿔 각(角)과 상할 상(傷)이 간략형으로 구성(構成)된 형성문자(形聲字)이다. 기본의미(基本意味)는 뿔(角)을 깎아(傷) 만든 잔인데, 술잔을 나타낸다. 즉 뿔잔이란 뜻으로 잔을 냄을 일컫는 말이다. 상(觴)은 동물의 뿔(角)로 만든 ‘잔’의 의미(意味)다. 주로 ‘술잔’으로 사용(使用)된다. 잔, 술잔, 우상(羽觴), 상배(觴杯) 등이 있다. 한자(漢字)의 조상(祖上)이라 할 수 있는 갑골문(甲骨文)을 보면 각(角)은 영락없는 뿔이다. 그 뒤 여러 단계(段階)를 거쳐 현재(現在)의 글자체인 해서(楷書)로 정착(定着)되었으므로 달라지게 되었다. 쇠뿔이나 물소뿔은 속이 텅 비어 있다. 그래서 가끔 술잔으로도 이용(利用)했는데, 이 때문에 각(角)이라면 '술잔'의 뜻도 있다. 물론 끝이 뾰족했으므로 '모퉁이'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해(解),촉(觸),상(觴) 등은 모두 '뿔(角)'과 관계(關係)있는 글자들이다.

  1. 絃 : 弦(줄 현)과 같다.(≪註解≫)
  2. 讌 : 燕(잔치할 연)ㆍ宴(잔치할 연)과 같다.(≪註解≫)
  3. 杯 : 盃(잔 배)와 같다.(≪註解≫)
  4. 擧 : 舉와 같다.(≪中≫)
  5. 絃歌酒讌 接杯擧觴 : 絃은 실을 맨 악기이니, 琴과 瑟의 부류이다. 歌는 노래함이니, ≪論語≫ 〈陽貨〉에 말하기를 “현악기 노랫소리를 들었다.” 하였다. ≪戰國策≫ 〈魏策 2〉에 말하기를 “帝의 딸 儀狄*이 술을 만들었다.”고 하였다. 讌은 술을 차려 손님을 모음이다. 接은 받는다는 뜻이다. 杯와 觴은 모두 술그릇이다. 擧는 움직인다는 뜻이다.(≪釋義≫)
    • 儀狄 : 夏나라 시대에 처음으로 술을 만든 사람이다.(≪中≫)
    儀狄은 帝女라는 설과 非帝女라는 설이 있는바 “옛날에 帝의 딸이 의적을 시켜서[帝女令儀狄] 술을 만들어 맛이 좋았는데 이를 禹王에게 올렸다. 우왕은 마시고서 감미로워하고 마침내 의적을 멀리하며 맛있는 술을 끊고 말하였다. “후세에 반드시 술로 그 나라를 망칠 자가 있겠다.”(≪戰國策≫ 卷23 〈魏策 2〉)하였는데, 髙誘의 주석에 “어느 책에는 ‘令’자가 없다.” 하였다. ‘帝女令儀狄’에 의하면 帝女와 儀狄은 두 사람이고, ‘令’이 없는 ‘帝女儀狄’에 의하면 儀狄이 帝의 딸로 되어 한 사람이다. 그리고 帝女는 鮑彪의 주석에 ‘堯舜女’라고 하여 堯의 딸, 또는 舜의 딸이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