矯手頓足 悅豫且康

천자문 | Previous 弦歌酒讌 接杯擧觴 | Next 嫡後嗣續 祭祀蒸嘗


矯手頓足하니 悅豫[注 1]且康[注 2]이라 (矯◯手◯頓◑足●하니 悅●豫◑且◯康◎이라)

()손을 들고 발을 굴러 춤추니, 기쁘고 또 편안하다.

矯頓은 手舞足蹈之貌라
絃觴歌舞는 所以悅豫而康樂也라

矯와 頓은 손으로 춤추고 발로 뛰는 모양이다.
현악기를 타며 술잔을 올리고 노래하며 춤추는 것은 기뻐하여 편안하게 즐기는 것이다.

[節旨] 이는 宴會의 즐거움을 말한 것이다.(≪釋義≫)
[節解] 풍악을 일으켜 술을 차려서 賓客에게 잔치하고, 술잔을 드는 이는 그 손을 높이 들고, 현악기 노래를 듣는 이는 발로 땅을 굴러 가락을 맞추어서 그 마음이 즐겁고 편안하다고 말한 것이다.(≪釋義≫)

矯手頓足

矯手頓足

(韓) 손을 들고 발을 두드리며 춤을 춘다.

(簡) 손을 잡고, 발을 굴리며 춤을 춘다.

손을 들고 발을 두드리며 춤을 춘다. 1. 바로잡고 3. 조아리며 2. 손과 4. 발을 올렸다 내렸다 하며 춤을 춘다. 바로잡을 교(矯). 굽은 것을 바로잡음, 들 교(矯). 높이 들어 올림. 교탈(矯奪; 속여 빼앗음). 교조(矯詔; 군 명이라고 속임), 손 수(手), 상지(上肢). 손목. 손잡이(把手), 잡을 수(手), 조아릴 돈(頓). 상대방을 존경하는 뜻을 표하거나 애원하느라고 머리를 자꾸 숙이다, 꺾일 돈(頓). 돈족(頓足, 발을 올렸다 내렸다 하는 동작인데 뛰고 춤추는 것의 형용사 이기도 하다). 돈좌(頓挫). 가세가 갑자기 꺾임. stand still . 좌절함, 발 족(足).하지(下肢)는 복사뼈에서부터 아래쪽. 器物의 발같이 생긴 것. 정족(鼎足:솥의 발인데 서로 의지하여 보좌함), 산기슭 족(足). 산록(山麓;산 기슭), 족할 조(足). 충분함. 표준에 참,

한자 유래

고대 중국인들은 예(禮)란 백성의 마음을 조절(調節)하여 평화롭게 하는 것이고, 악(樂)은 백성의 소리를 조화(調和)롭게 하는 것이라고 여겼다. 그래서 예악(禮樂)을 표현(表現)하는 방법(方法)과 수단(手段)을 특별히 중요(重要)하게 생각했다. 공자 역시 예악(禮樂)이 바로서야 천하가 바로 선다고 강조(强調)했다. 이때 예악(禮樂)을 표현하는 방법이자 수단이 되었던 것이 바로 춤(舞)이다. 몸을 굽히고 펴며 굽어보고 우러러보는 것, 멈춰 서고 움직이며 돌고 몸을 느리게 하거나 빠르게 하는 것들을 통해 예절(禮節)와 음악(音樂)을 표현한 것이다.

바로잡을 교(矯)의 구성(構成)은 뜻을 나타내는 화살 시(矢) 부(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높을 교(喬)로 이루어진 형성문자(形聲字)이다. 화살을 끼워서 바로잡는 나무, 전(轉)하여 바로잡다는 뜻으로 쓰인다. 따라서 높을 교(喬)자는 높을 고(高)자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높을 고(高)자와 마찬가지로 높이 서 있는 건물(建物)이나 누각(樓閣)을 본떠 만든 글자다. 지붕 꼭대기에는 깃발이 나부끼고 있다. 높을 교(喬)자가 다른 글자와 만나 소리 역할(役割)을 할 때 '높다'라는 의미(意味)도 함께 가진다. 높이 솟아 있는 다리 교(橋)자, 지위(地位)가 높아 교만(驕慢)할 교(驕)자, 미모(美貌)가 높아 아리따울 교(嬌)자 등이 그런 예다. 교목(喬木)은 '줄기가 곧고 굵으며, 높이(喬) 자라는 나무(木)'를 말한다. 반대로, 나무의 키가 작고 밑동에서 가지를 많이 치는 나무를 관목(灌木)이라고 한다. 바로잡을 교(矯) 자는 '휘어진 화살(矢)을 바로잡는다'는 뜻이다. 교정(矯正)은 '바로잡아(矯) 바르게(正)하다'는 뜻이다. 교각살우(矯角殺牛)는 '뿔(角)을 바로잡으려다(矯) 소(牛)를 죽이다(牛)'는 뜻으로 작은 일에 힘쓰다가 큰 일을 망치는 것을 말한다.

손 수(手)는 다섯 손가락과 손목 부위의 모양(模樣)을 그대로 본뜬 상형글자이다. "설문(說文)"에서는 “수(手)는 주먹 쥔 것을 뜻하며 상형글자다.”고 하였다. 갑골문(甲骨文)에 나타난 모양(模樣)은 오른손 우(又)나 왼손 좌(屮)와 같이 그려져 있고, 금문(金文)에 이르러서야 현재의 자형과 같은 모양으로 확립(確立)되었다. 다른 부수에 더해질 때는 보통 좌변에 놓이며 간략형(簡略形)인 수(扌)가 쓰인다.

조아릴 돈(頓)은 진 칠 둔(屯)과 머리 혈(頁)로 구성(構成)되었다. 둔(屯)은 풀 철(屮)과 삐침 별(丿)로 짜여 있다. 그 뜻은 초목(屮)이 싹을 틔워 가지나 잎이 어느 정도(程度) 자라고 있는데 칼이나 낫으로 베어(丿)버려 더 이상 자라지 않음을 그려내고 있다. 또한 군사들이 진을 치기위해 풀을 베어 내거나 임시 막사를 치면 그 밑에 있는 풀은 더 이상 자라지 못하기 때문에 진 칠 屯(둔)이라고도 하였다. 혈(頁)은 상형글자로 자형상부는 이마(一)를 나타내고 중간은 얼굴 전체(自=코의 古字)를, 그리고 하부는 수염(八)을 그려내 사람의 ‘머리’를 뜻한다. 따라서 전체적인 의미(意味)는 집안 뜰에 난 잡초(雜草)를 뽑거나 베기(屯) 위해서는 머리(頁)를 조아릴 수밖에 없음을 그려내고 있다.

발 족(足)은 사람의 다리를 본뜬 상형글자다. 족(足)에 대해 "설문(說文)"에서는 “족(足)은 사람의 발을 뜻하며 몸의 아래쪽에 위치(位置)해 있다. 구(口)와 지(止)로 짜여 있다”라고 하였다. 발모양을 본뜬 지(止)의 갑골문(甲骨文)을 보면 자형 우측의 옆으로 뻗는 모양(-)은 앞으로 향한 엄지발가락이며 중앙의 세로(丨)와 좌측의 작은 세로(丨)는 각각 발등과 나머지 발가락을, 자형 하부의 가로(一)는 발뒤꿈치를 나타내며 앞으로 향한 좌측 발의 모습(模襲)을 그려내고 있다. 대부분 자형상부의 구(口)를 허벅지라고 규정(規定)하고 있으나 "설문(說文)"에서는 몸 전체를 비유(比喩)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悅豫且康

悅豫且康

(韓) 이상과 같이 마음 편히 즐기고 살면 단란한 가정이다.

(簡) 기쁜 일을 미리 예상하면 좋은 일이고

이상과 같이 마음편이 즐기고 살면 달란 한 가정이다. 1. 기쁜 3. 차에 2. 놀며 4. 편안하니 달란 한 가정이다. 기쁠 열(悅). 희열(喜悅; 기쁘고 기쁘다). 아주 기쁘다, 기뻐할 열(悅).열락(悅樂; 기뻐함). 아심칙열(我心則悅). 기뻐하며 복종함, 미리 예(豫), 기뻐할 예(豫).희열(喜悅), 놀 예(豫), 싫어할 예(豫), 예괘 예(豫). 예괘(豫卦;욕심사괘의 하나),또 차(且). 차득(且得; 그것은 그렇다 치더라도), 버금 차(且), 편할 강(康).안강(安康; 몸 또는 마음이 편안하다), 즐거울 강(康). 강락(康樂). 學習考: 여기에서 前句는 현대감각에서 보면 춤을 추며, 漢字의 속뜻이 아래사람이 윗사람과 사교를 하는 춤을 추는 자리이기도하고, 유유(類類) 끼리 즐기며 춤을 추는 분위기를 형용한 것 같기도 하는 양면적 사교범절이 고려된 글句 이기도 하다. 後句에서는 사교라 하기보다 가정의 안락과 평온함을 뿜기는 역시 손위사람과 아래사람이 즐겁게 범절을 차리며 예의를 가춘 분위기를 잘 형용이 된 글句이다. 아심칙열(我心則悅)의 뜻 하며, <<후한서>>의 하창전(何敞傳)을 참고하면 "임금의 은택(恩宅)이 아래로 퍼져 모든 백성들이 즐거워 한다. 은택하사 서려열예[恩宅下賜 庶黎悅豫]등을 읽을 수 있다.

한자 유래

교수돈족(矯手頓足)하니 열예차강(悅豫且康)이라, 손을 굽혔다 펴고 발을 구르니, 기쁘고 즐거우며 걱정 없기 그지없다. 잔치 마당에서 흥(興)이 난 사람들이 덩실덩실 춤(舞)추는 것을 그려 보인 것으로, 술 마시고 춤추며 노래하고 노니 기쁘고 즐거워서 근심걱정을 잊게 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교(矯)와 돈(頓)은 손(手)으로 춤추고 발(足)로 뛰는 모양(模樣)이다. 현악기(玄樂器)를 타고 술잔을 올리며 가무(歌舞)하는 것은 기뻐하고 편안(便安)하게 하는 것이다. 음주가무(飮酒歌舞)의 즐거움을 설명(說明)한 구절(句節)이다.

기쁠 열(悅)의 구성(構成)은 사람의 마음이 담겨 있다고 믿은 심장을 상형한 마음 심(心)의 간략형인 심(忄)과 빛날 태(兌)로 이루어졌다. 태(兌)는 여덟 팔(八)과 형 형(兄)로 구성되었다. 입(口)을 강조한 사람(儿)인 형은 아우를 말로써 타이르거나 또는 형제(兄弟)를 대표해 조상신(示)에게 축문(祝文)을 아뢰는 사람(兄)이다(祝). 그런데 여기서 태(兌)는 사람(儿)이 누군가에게 말하며 웃을 때 입(口)가에 지는 주름(八)을 나타낸 것으로, 특히 신(神)에게 간절(懇切)히 소원한 기도(祈禱)가 통했을 때 기뻐하는 모습(模襲)이 담겨 있다. 따라서 悅(열)의 전체적인 의미는 마음(忄)으로 간절히 소망했던 기도가 이루어졌을 때 입가에 주름을 지으며 환하게 웃는(兌) 데서 ‘기쁘다’ ‘즐거워하다’의 뜻이 생겨났다. 기쁠 열(悅)자에 들어가는 기뻐할 열(兌) 자는 입을 강조한 사람(兄)에 웃을 때 생기는 입가의 주름(八)을 추가하여 '기쁘다'는 뜻을 만들었다. 나중에 원래의 뜻을 강조(强調)하기 위해 마음 심(忄)자가 추가(追加)되었다.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는 '남자(男)와 여자(女)가 서로(相) 기뻐함(悅)을 읊은 노래(詞)'로, 남녀 간의 뜨거운 사랑을 노래하는 가사를 지칭합니다. 고려가요 중 '서경별곡(西京別曲)', '쌍화점(雙花店)', '이상곡(履霜曲)' 등이 대표적인 노래다.

미리 예(豫)는 소전체에서 의미부인 코끼리 상(象)과 소리부인 여(予)가 결합해, 큰 코끼리를 뜻했다. 코끼리는 의심(疑心)이 많은 동물(動物)이어서 행동(行動) 전에 반드시 먼저 생각을 해 본다고 한다. 이러한 특성(特性) 때문에 예상(豫想)하다는 뜻이 생겼다. 코끼리는 또 몸집이 큰 동물(動物)이지만 다른 동물(動物)을 해치지 않는다. 그래서 관대(寬大)하고 여유(餘裕)롭다는 뜻도 나왔다. 일예(逸豫, 편안함)가 그런 뜻이다. 예언(豫言), 예감(豫感), 예상(豫想), 예산(豫算) 등에 사용되는 예(豫)자는 '미리'라는 뜻이다. 하지만 집행유예(執行猶豫), 기소유예(起訴猶豫) 등에 사용되는 유예(猶豫)는'머뭇거리고(猶) 머뭇거린다(豫)'는 뜻으로, '망설이며 실행(實行)하지 않고 시일을 늦추다'는 뜻이다.

버금 차(且)는 일부(一部) 글자로 남자의 성기(性器)를 본뜬 글자이다. 차(且)자는 일(一)자처럼 생긴 단단한 남성의 성기에 기인(起因)한 생식력(生殖力)을 바탕으로 장차 또 자손(子孫)을 낳아 차곡차곡 쌓여 간다는 의미(意味)에서 '또·장차(且)'라는 뜻이다. 즉 차(且)자는 어떤 현상(現象)이 굳건하게 계속 이어져 지속되거나 쌓여 가는 의미(意味)가 스며있다. "설문(說文)"에서는 “차(且)는 제물(祭物)을 바칠 때 사용(使用)하는 것이다. 궤(几)로 구성(構成)되었으며 다리에는 두 칸으로 만든 가로대가 있고 일(一)은 그 아래의 땅이다.”고 하였다. 갑골문(甲骨文)을 살펴보면 발기(勃起)한 남성의 성기모양으로 그려져 있는데, 특히 귀두부(龜頭部)가 강조(强調)되어 있다. 이는 곧 남아선호사상(男兒選好思想)을 반영(反映)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비석(碑石)과 함께 무덤 양편에 조형(造形)된 망주석(望柱石)의 모양 역시 이와 무관(無關)하지 않을 것이다.

편안할 강(康)의 구성(構成)은 곡식 경(庚)의 생략형(省略形)과 쌀 미(米)의 변형(變形)으로 이루어져 있다. 경(庚)에 대한 갑골문(甲骨文)이나 금문(金文)을 보아도 곡식(穀食)의 수확(收穫)과 관련한 글자임을 알 수 있다. 현재의 자형이 고문(古文)과는 많이 달라지기는 했어도 그 뜻에 있어서는 보다 명확(明確)히 하고 있다. 즉 열매나 알곡을 수확(彐)하여 창고(广)에 들여놓은(入) 모양(模樣)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곡식’이란 뜻과 함께 ‘가을’이란 뜻도 공유(共有)하고 있다. 일곱째 천간을 뜻하는 것은 가차(假借)된 것이다. 미(米)에 대해 허신(許愼)은 "설문(說文)"에서 “미(米)는 곡식의 알맹이라는 뜻이다. 벼와 기장의 알맹이 모양(模樣)을 본떴다.”고 하였다. 갑골문(甲骨文)에도 보이며 가로획(一)을 중심으로 상하에 각각 세 점이 곡식의 낟알을 표시(表示)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강(康)의 전체적인 의미(意味)는 가을 맞아 창고(倉庫)에 가득 곡식을 수확(庚)하였을 뿐만 아니라 주식인 쌀(米)도 쌓아 두었으니 ‘풍년(豊年)들다’의 뜻으로 쓰였으며, ‘편안(便安)하다’ ‘즐겁다’의 뜻은 이로부터 파생(派生)된 것이다.

  1. 豫 : 預(기뻐할 예)와 같다.(≪註解≫)
  2. 矯手頓足 悅豫且康 : 矯는 높이 드는 모양이다. 발을 땅에 대는 것을 頓이라 한다. 悅ㆍ豫는 모두 기쁘다는 뜻이다. 且는 어조사이다. 康은 안락하다는 뜻이다.(≪釋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