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冠陪輦 驅轂振纓

천자문 | Previous 戶封八縣 家給千兵 | Next 世祿侈富 車駕肥輕


高冠陪[注 1][注 2]하고 驅轂振纓[注 3]이라 (高冠陪輦◯하고 驅轂●振◑纓◎이라)

()높은 冠을 쓴 이들이 임금의 輦을 모시고, 수레바퀴를 몰아가면 〈수레와 말의〉 갓끈이 흔들린다.

諸侯出하면 則有高冠大帶之士가 左右陪輦也라
諸侯從者가 驅轂而行하면 振動其車馬之纓旒也라

제후가 외출하면 높은 모자 쓰고 큰 띠 맨 人士들이 좌우에서 輦을 모시었다.
제후의 수행원이 수레바퀴를 몰아서 가면 그 수레와 말의 끈과 술이 흔들린다.

高冠陪輦

高冠陪輦

(韓) 높은 관을 쓰고 연을 모시니 제후의 예로 대접했다.

(簡) 수레에 높이 앉아, 높은관을 써고

높은 관을 쓰고 연을 모시니 제후의 예로 대접 했다 . 손수레를 이용한 행차 높을 고(高), 갓 관(冠), 모실 배(陪), 손수레 연(輦):인력거(人力車), 궁도왈(宮道曰)-도경사왈(道京師曰)-궁중의 길 련(輦)

한자 유래

고관배련(高冠陪輦)은 높은 관을 쓴 관리들이 임금의 수레를 모신다는 뜻이다. 고관(高冠)이란 높은 관을 말하는데, 곧 고관(高官)을 뜻한다. 배(陪)는 귀한 신분의 사람을 모시고 뒤따른다는 뜻이다. 옥련(玉輦)은 천자(天子)가 타는 수레를 말하며 또 봉련(鳳輦)이라고도 부른다. 봉(鳳)은 천자를 상징(象徵)하기에 수레의 장식에 봉황(鳳凰)을 그려 장식(裝飾)했기 때문이다. 이는 천자(天子)가 행차할 때, 천자(天子)의 수레인 옥련(玉輦)을 고관들이 배행(陪行)하는 모습(模襲)을 묘사한 것이다.

높을 고(高)는 성(城)의 망루를 본뜬 상형글자(象形字)다. 즉 고(高)자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출입구(口)를 갖춘 성곽(冂)위에 높이 지어진 망루(자형상부의 亠+口)를 상형한 것으로 높이 치솟은 모양(模樣)에서 ‘높다’ ‘뽐내다’의 뜻을 지니게 되었으며, ‘비싸다’ ‘뛰어나다’ 등은 파생(派生)된 뜻이다. "설문(說文)"에서는 “고(高)는 높다는 뜻이다. 누대(樓臺) 위의 높게 바라보이는 모양(模樣)을 본떴으며, 경(冂)과 위(囗)로 구성(構成)되었다.”고 하였다. 고(高)는 자형 전체가 누각(樓閣)이나 성의 망루(望樓)와 같은 높은 건물 모양(建物模樣)을 그려낸 상형글자(象形字)이다.

갓 관(冠)의 구성(構成)은 덮을 멱(冖)과 으뜸 원(元) 그리고 손을 뜻하는 촌(寸)으로 짜여 있다. 멱(冖)은 천이나 수건 등으로 어떤 물건을 덮은 모양(模樣)을 본뜬 것이다. 원(元)은 사람의 머리를 나타내는 이(二)와 사람의 다리 모양(模樣)을 표현한 인(儿)으로 구성되었는데, 특히 인체의 머리(二)를 강조(强調)하여 ‘머리’ ‘으뜸’ ‘두목’ 등의 뜻을 지니게 되었다. 따라서 관(冠)의 전체적인 의미(意味)는 사람의 머리(元)위에 천으로 만든 모자, 즉 갓을 손(寸)으로 씌워주는(冖) 모양으로 고대의 성년식인 관례(冠禮)를 치르는 모습을 담아 ‘갓’이라는 뜻을 부여(附與) 했다.

모실 배(陪)는 언덕 뜻을 나타내는 좌부변(阝=阜) 부(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침 부(咅)가 합(合)하여 이루어진 형성자(形聲字)이다. 부(咅)는 '배(倍)'와 통(通)하여 '갑절이 되다'의 뜻이다. 이중(二重)의 언덕의 뜻에서 '더하다, 겹치다'의 뜻을 나타낸다. 본 뜻은 '흙을 북돋우다'라는 뜻인데, 나중에 '수반(隨伴) 즉 모시다'의 뜻으로 바뀌었다.

손수레 련(輦)은 뜻을 나타내는 수레 거(車) 부(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함깨 갈 반(㚘)의 합자(合字)이며 회의자(形聲字)이다. 반(㚘)은 손발에 힘을 준 두 사람을 본뜬 것이다. 둘이 나란히 끄는 수레, '손수레'의 뜻을 나타낸다. 연만차야(輦挽車也)라 했으니, 또 '인부(人夫)가 차 앞에서 차를 끌다'라는 뜻이다. 연(輦)은 특히 '천자(天子)가 타는 수레'를 말한다.

驅轂振纓

驅轂振纓

(韓) 수레를 몰며 갓끈이 떨치니 임금출행에 제후의 위엄이 있다.

(簡) 수레를 몰아 근영을 떨친다.

수레를 몰매 갓끈이 떨치고 임금 행차에 제후의 위엄이 있다. 수레와 말(馬)을 이용하는 몰 구(驅), 바퀴 곡(轂), 떨칠 진(振), 갓끈 영(纓)몰 구(驅)字에는 달릴 취(驟), 취야(驟也)분야(奔也)로 마질주(馬疾步)다.여기에 병 질(疾)에 속 야(速也)하면 빠를 질(疾)로 말을 달리게 하다 의 뜻. (말의 速步 이다),여기에는 제1句에 손수레가 등장을 했으니 손수레를 끌고 가는 것은 사람이요, 제2句에서 사람은 말을 몰고, 말이 수레를 끌게 하는 것이다.몰 구(驅)字가 있으니 馬가 출동 했음을 알 수 있다. 손 수레는 모는 것이 아니고 끌고 가는 것이다. 수레를 끌고 가는 말을 사람이 모니 떨치는 것은 바퀴와 갓끈이로다. 말(馬)을 모는 자의 떨침은 갓끈이요 수레의 떨침은 바퀴다. 하였으니 사람이 말을 몰고, 말은 수레를 끌고 이때에 떨치는 것은 바퀴와 갓끈 이로다. 하여 임금 出行에 제후의 위엄이 있다. 라고 풀이 한다. 漢字4字를 1句로 두 개의 句가 쌍으로 된 글귀는 대구(對句) 끊어진 절(節),(구절: 한 토막의 글이나 말). 다시 한 번 언급을 하면 자구(字句)는 글자와 글귀를 뜻함이요 그의 풀이는 4字 壹句인 경우에 漢字 1字式 풀이하는 순서를 1.3.2.4순으로 하지 않을 경우 올바른 풀이가 표기되기 어렵다. 풀이순서의 엄격한 定함이 없는 경우 글 뜻 표현 방법이 구구 각각이 될 수 있다. 위의 제127구(句)의 글 뜻을 다음과 같이 푼다. "높은 관을 쓰고 연을 모시니 제후의 禮로 하다" 여기에서 陪하면 따를 수(隨)의 의미로 좇을 종(從) ,따를 종(從)인바 임금님을 따르는 것이지 손수레를 따르는 것은 아닙니다.

 高          陪              冠         輦
1 3 2 4

"높으신 임금님을 모시기 위해 관을 쓰고 연을 끄는 자가 임금님께 드리는 예의를 다하는 것은 법도다" 높으신 임금님 모시는 법도로 관을 쓰고 손수레를 끄는 자가 정중히 예의를 표하는 행열.(임금님 行列圖에서 볼 수 있다)

한자 유래

구곡진영(驅轂振纓)은 '수레를 몰 때면 갓끈이 휘날린다'는 뜻이다. 구(驅)는 '몬다, 달린다'는 뜻이다. 주마위지치(走馬謂之馳)요, 책마위지구(策馬謂之驅)라는 말이 있다. '말이 달리는 것이 치(馳)'이고, '채찍질 하여 말이 치달리는 것이 구(驅)' 라는 말한다. 즉 고관배련(高冠陪輦) 구곡진영(驅轂振纓)은 천자가 행차(行次)할 때의 모습(模襲)을 그린 것이다. 그 모습은 현대인(現代人)의 상상(想像)을 벗어났을 만큼 장엄(莊嚴)하고 화려(華麗)하며 엄숙(嚴肅)했을 것이다.

몰 구(驅)는 뜻을 나타내는 말 마(馬) 부(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구역 구(區) 합(合)하여 이루어진 형성자(形聲字)다. 구(區)는 '구획, 구분하다'의 뜻이다. 또 구(毆)와 통하여 '치다'의 뜻을 나타낸다. 말[馬]을 구분하기(區) 위하여 채찍으로 때려서 '몰아내다, 몰다'의 뜻을 나타낸다. 몰 구(驅)자는 '말(馬)을 타고 몰다'는 뜻이다. 이후, '몰다, 빨리 달리다, 내쫓다, 몰아내다' 등의 뜻이 생겼다. 구동장치(驅動裝置)는 '동력(動)으로 기계를 빨리 달리게(驅) 하는 장치(裝置)'입니다. 군대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구보(驅步)는 '빨리 달리는(驅) 걸음(步)'이다. 구축함(驅逐艦)은 '어뢰로 적의 배나 잠수함을 몰아내거나(驅) 쫓는(逐) 배(艦)'이다.

바퀴통 곡(轂)은 뜻을 나타내는 수레 거(車) 부(部)와 소리를 나타내는 각각 각, 몯둥이 수(各=殳)를 합(合)해 이루어진 형성자(形聲字)이다. 각(各=殳)은 속이 비어 있다는 뜻이다. 굴대를 싸고 있고 속이 비어 있으며, 바퀴살이 모여 있는 부분, '바퀴통'의 뜻을 나타낸다. 또 '수레'를 뜻한다. 바퀴는 서른개의 바퀴살이 있어, 하나의 바퀴통을 형성(形成)하지만, 바퀴통이 비어 있기 때문에 그 속을 이어 차축(車軸)과 이어 바퀴를 만듦으로서, 수레가 그 구실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떨칠 진(振)은 뜻을 나타내는 손 수(手=扌) 부(部)와 소리를 나타내는 날 신(辰) 합(合)하여 이루어진 형성자(形聲字)이다. 진(辰)은 '떨리는 입술'의 뜻인데, 여기에 수(手)를 더하여, '떨다'의 뜻을 나타낸다. 또, 용기를 떨치게 하여, '격려(激勵)하고 구조(救助)하다'의 뜻도 나타낸다. 본 뜻은 '구하다'인데 나중에 '떨치다'로 바뀌었다. 또한 신(辰)자는 본디 전복 등의 복족류처럼 한쪽이 평평하고 다른 한쪽은 볼록한 껍질과 살을 껍질에 부착시키는 개념을 그렸다. 그 후에 살을 혀처럼 내민 꼴로 변하였다. 그러니 신(辰)자는 조개가 껍데기에서 혀처럼 생긴 발을 내민 모양으로 '조개(辰)'을 뜻한다. 따라서 조개껍질을 가지고 손을 움직이는 동작을 나타내는 진(振)자는 손(扌)이 조개껍질(辰)을 흔들며 움직여 수풀을 잘라 '떨치다·움직이다(振)'라는 뜻이다. 또한진(振)자는 조개껍질이 이삭을 따는 용도로도 쓰였을 것이므로 농작물 등을 수확하는 의미에서 '거두다(振)'라는 뜻이 있다.

갓끈 영(纓)은 뜻을 나타내는 실 사(糸) 부(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영(嬰)이 합(合)쳐 이루어진 형성자(形聲字)이다. 영(嬰)은 '목걸이를 하다'의 뜻인데 여기에 사(糸)를 더하여, '갓을 매는 끈'으로 쓰였습니다. '갓끈'이다. 즉 영(纓)은 실로 만든 갓끈을 말한다. 그래서 잠영(簪纓)은 ‘높은 벼슬아치가 머리에 쓴 꾸밈’인 것으로 봐서 높은 지위(地位)를 이르던 말임을 알 수 있다.

  1. 高冠陪輦 驅轂振纓 : 陪는 모신다는 뜻이다. 輦은 天子의 수레이다. 驅는 달린다는 뜻이다. 轂은 수레바퀴이다. 振은 움직인다는 뜻이다. 纓은 갓끈이다. 驅轂은 위의 陪輦을 이어서 말하였고, 振纓은 위의 高冠을 이어서 말하였다.(≪釋義≫) ≪釋義≫에 의하면 ‘陪輦高冠 驅轂振纓’이 정치법이겠으나, 出句末字 輦(仄)과 압운 纓이 仄․平의 대응을 위해 도치형으로 나타났다. 冠은 ‘모자’인 경우 平聲이므로 冠․纓은 平․平이어서 仄․平의 대응을 이루지 못한다.(해제 참조)
  2. 輦 : 두 남자가 나란히 끌어 가는[㚘] 수레[車]로 字形이 설명되어, 本義가 ‘사람 손으로 끄는 수레’인데, 秦ㆍ漢 이후로는 帝王ㆍ后妃의 수레만을 뜻하게 되었다. 輦은 끄는 수레이다. 車(수레 거)ㆍ㚘(두 남자가 나란히 갈 반)을 따랐다. 㚘은 수레 앞에서 끄는 것이다.(≪說文≫) 사람이 끌어서 가는 수레를 말한다.(≪説文≫ 段注) 㚘은 나란히 간다는 뜻이다. 두 개의 夫(사나이 부)를 따랐다.(≪説文≫) 輦은 秦ㆍ漢 이후로는 오로지 帝王ㆍ后妃만 타는 수레를 가리킨다.(≪漢≫)
  3. 纓 : ≪註解≫에서는 수레․말의 끈과 술로, ≪釋義≫에서는 갓끈으로 풀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