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優登仕 攝職從政: Difference between revisions

m
no edit summary
iwu
 
mNo edit summary
 
Line 8: Line 8:


子夏曰 學而優則仕라하니 蓋學有餘力而仕면 則驗其學者益廣也라<br>
子夏曰 學而優則仕라하니 蓋學有餘力而仕면 則驗其學者益廣也라<br>
學優則可以攝官守之職하여 從國家之政이니 如子路<ref group="注">子路 : 공자의 제자. 성은 仲, 이름은 由. 공자는 “중유는 과감[果]하니, 정무에 종사하는 데에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하였다.(≪論語≫ 〈雍也〉)</ref>之果와 子貢<ref group="注">子貢 : 공자의 제자. 성은 端木, 이름은 賜. 字는 子貢. 공자는 “단목사는 통달[達]하였으니, 정무에 종사하는 데에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하였다.(≪論語≫ 〈雍也〉)</ref>之達과 冉有<ref group="注">冉有 : 공자의 제자. 이름은 求, 字는 子有이다. 공자는 “염구는 재주[藝]가 있으니, 정무에 종사하는 데에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하였다.(≪論語≫ 〈雍也〉)</ref>之藝를 夫子皆許從政也하시니라<br>
學優則可以攝官守之職하여 從國家之政이니 如子路<ref group="注">子路 : 공자의 제자. 성은 仲, 이름은 由. 공자는 “중유는 과감[果]하니, 정무에 종사하는 데에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하였다.(≪論語≫ 〈雍也〉)</ref>之果와 子貢<ref group="注">子貢 : 공자의 제자. 성은 端木, 이름은 賜. 字는 子貢. 공자는 “단목사는 통달[達]하였으니, 정무에 종사하는 데에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하였다.(≪論語≫ 〈雍也〉)</ref>之達과 冉有<ref group="注">冉有 : 공자의 제자. 이름은 求, 字는 子有이다. 공자는 “염구는 재주[藝]가 있으니, 정무에 종사하는 데에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하였다.(≪論語≫ 〈雍也〉)</ref>之藝를 夫子皆許從政也하시니라
 
≪論語≫ 〈子張〉편에서 子夏가 말하기를 “배우고서 여유가 있으면 벼슬한다.” 하였으니, 배우고서 餘力(여가)이 있어 벼슬하면 그 배운 것을 징험함이 더욱 넓을 것이다.<br>
≪論語≫ 〈子張〉편에서 子夏가 말하기를 “배우고서 여유가 있으면 벼슬한다.” 하였으니, 배우고서 餘力(여가)이 있어 벼슬하면 그 배운 것을 징험함이 더욱 넓을 것이다.<br>
배우고서 여유가 있으면 官守(맡은 관직)의 직무를 다루어 국가의 정사에 종사할 수 있으니, 예컨대 子路의 과단성, 子貢의 통달함, 冉有의 재주를 夫子(孔子)께서 모두 정사에 종사할 수 있다고 인정[許與]하신 것과 같다.
배우고서 여유가 있으면 官守(맡은 관직)의 직무를 다루어 국가의 정사에 종사할 수 있으니, 예컨대 子路의 과단성, 子貢의 통달함, 冉有의 재주를 夫子(孔子)께서 모두 정사에 종사할 수 있다고 인정[許與]하신 것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