閏餘成歲 律呂調陽: Difference between revisions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m
no edit summary
relegate notes down to the Notes section
mNo edit summary
 
(7 intermediate revisions by the same user not shown)
Line 1: Line 1:
[[천자문]] | Previous [[寒來暑往 秋收冬藏]] | Next [[雲騰致雨 露結爲霜]]
[[천자문]] | Previous [[寒來暑往 秋收冬藏]] | Next [[雲騰致雨 露結爲霜]]      [https://papago.naver.net/website?locale=en&source=ko&target=ja&url=https://wiki.michaelhan.net/%E9%96%8F%E9%A4%98%E6%88%90%E6%AD%B2_%E5%BE%8B%E5%91%82%E8%AA%BF%E9%99%BD 日本語で翻訳]


----
----
Line 54: Line 54:
六律爲陽이요 六呂爲陰이라 先王이 考音樂하여 定律呂하니 則陰陽調하여 而萬物理矣니 擧陽則陰在中이라
六律爲陽이요 六呂爲陰이라 先王이 考音樂하여 定律呂하니 則陰陽調하여 而萬物理矣니 擧陽則陰在中이라


1년은 12개월에 24절기이니, 氣盈과 朔虛가 32개월이 쌓이면 29일이 남는다. 이것을 가지고 윤달을 두어 四時를 정하고 1년을 이룬다.
1년은 12개월에 24절기이니, 氣盈과 朔虛가 32개월이 쌓이면 29일이 남는다. 이것을 가지고 윤달을 두어 四時를 정하고 1년을 이룬다.<br>
六律은 陽이고 六呂는 陰이다. 先王이 音樂을 상고하여 律呂를 정하였으니, 陰陽이 調和되어 萬物이 다스려졌다. 陽을 들면 陰은 그 속에 있다.
六律은 陽이고 六呂는 陰이다. 先王이 音樂을 상고하여 律呂를 정하였으니, 陰陽이 調和되어 萬物이 다스려졌다. 陽을 들면 陰은 그 속에 있다.


Line 61: Line 61:
== 閏餘成歲 ==
== 閏餘成歲 ==


[[File:Tc-4-1.png|left]]
[[File:Tc-4-1.png|left]][[File:ClipCapIt-190531-134336.PNG|left]]


<div class="blockhanja">閏<ref group="注"> 閏 : 閏率.* 1년의 해의 운행 시간과 달의 운행 시간의 차이 비율을 가리키는 말로, 즉 10 827/940일이 차이가 나는바, 氣盈*(5 1/4일)과 朔虛*(5 592/940일)를 합한 시간이다. 해와 달의 1년 운행 시간의 중간 숫자 360일을 기준으로 놓고, 기영은 해가 더 운행한 시간인 5 1/4일을 말하고, 삭허는 달이 덜 운행한 시간인 5 592/940일을 말한다.
<div class="blockhanja-haeseo">閏餘成歲</div>
 
閏<ref group="注"> 閏 : 閏率.* 1년의 해의 운행 시간과 달의 운행 시간의 차이 비율을 가리키는 말로, 즉 10 827/940일이 차이가 나는바, 氣盈*(5 1/4일)과 朔虛*(5 592/940일)를 합한 시간이다. 해와 달의 1년 운행 시간의 중간 숫자 360일을 기준으로 놓고, 기영은 해가 더 운행한 시간인 5 1/4일을 말하고, 삭허는 달이 덜 운행한 시간인 5 592/940일을 말한다.
閏의 자형 풀이는 王이 門에 있는 ‘윤달’이라는 뜻이다. ≪說文≫에 의하면 “閏은 餘分의 달이다. 5년에 두 번 윤달이 든다. 告朔(곡삭)의 禮는 天子가 宗廟에 있게 되고, 閏月에는 門 안에 있게 된다. 王이 門 안에 있음을 따랐다.” 하여, 告朔의 禮로 天子가 門 안에 있고 宗廟에 있지 않는 달이라는 것이다. 告朔은 ‘매월 초하룻날 종묘에 간직한 그 달의 달력을 꺼내어 사용하려 할 때 종묘에 고하는 일’이다.
閏의 자형 풀이는 王이 門에 있는 ‘윤달’이라는 뜻이다. ≪說文≫에 의하면 “閏은 餘分의 달이다. 5년에 두 번 윤달이 든다. 告朔(곡삭)의 禮는 天子가 宗廟에 있게 되고, 閏月에는 門 안에 있게 된다. 王이 門 안에 있음을 따랐다.” 하여, 告朔의 禮로 天子가 門 안에 있고 宗廟에 있지 않는 달이라는 것이다. 告朔은 ‘매월 초하룻날 종묘에 간직한 그 달의 달력을 꺼내어 사용하려 할 때 종묘에 고하는 일’이다.
*閏率 : ≪書經≫ 〈堯典〉 ‘朞三百’의 集傳에 의거한 것이다. 이 개념은 “1歲의 윤률은 기영과 삭허를 합한 수효이다.”(≪書蔡氏傳旁通≫ 卷1 上)에 나타난다.
*閏率 : ≪書經≫ 〈堯典〉 ‘朞三百’의 集傳에 의거한 것이다. 이 개념은 “1歲의 윤률은 기영과 삭허를 합한 수효이다.”(≪書蔡氏傳旁通≫ 卷1 上)에 나타난다.
*氣盈 : 氣는 24節氣이고 盈은 많다는 뜻으로, 이는 24절기에 의한 날[日]의 수효가 360일보다 많은 것을 말한다. 이 개념은 “기영은 24절기로 계산하여 360일 이외의 많은 것이다.”(≪書蔡氏傳旁通≫ 卷1 上)에 나타난다.
*氣盈 : 氣는 24節氣이고 盈은 많다는 뜻으로, 이는 24절기에 의한 날[日]의 수효가 360일보다 많은 것을 말한다. 이 개념은 “기영은 24절기로 계산하여 360일 이외의 많은 것이다.”(≪書蔡氏傳旁通≫ 卷1 上)에 나타난다.
*朔虛 : 朔은 12個月이고 虛는 적다는 뜻으로, 이는 12개월에 의한 날의 수효가 360일보다 적은 것을 말한다. 이 개념은 “삭허는 12개월로 계산하여 360일 이내의 적은 것이다.”(≪書蔡氏傳旁通≫ 卷1 上)에 나타난다.</ref>餘<ref group="注">餘 : 閏率의 남아 도는 시간을 말한다.</ref>成歲<ref group="注">成歲 : 1년이 이루어짐을 말한다.</ref></div>
*朔虛 : 朔은 12個月이고 虛는 적다는 뜻으로, 이는 12개월에 의한 날의 수효가 360일보다 적은 것을 말한다. 이 개념은 “삭허는 12개월로 계산하여 360일 이내의 적은 것이다.”(≪書蔡氏傳旁通≫ 卷1 上)에 나타난다.</ref>餘<ref group="注">餘 : 閏率의 남아 도는 시간을 말한다.</ref>成歲<ref group="注">成歲 : 1년이 이루어짐을 말한다.</ref>


(韓) 일년 이십사절기 나머지 시각을 모아 윤달로 해를 정했다
(韓) 일년 이십사절기 나머지 시각을 모아 윤달로 해를 정했다
Line 105: Line 107:
== 律呂調陽 ==
== 律呂調陽 ==


[[File:Tc-4-2.png|left]]
[[File:Tc-4-2.png|left]][[File:ClipCapIt-190531-134637.PNG|left]]


<div class="blockhanja">律呂調陽</div>
<div class="blockhanja-haeseo">律呂調陽</div>


(韓) 율과 여는 천지 양기를 고르게 하니 율은 양이고 즉 여는 음이다
(韓) 율과 여는 천지 양기를 고르게 하니 율은 양이고 즉 여는 음이다

Navigation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