圖寫禽獸 畵采仙靈

From Han Wiki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천자문 | Previous 宮殿盤鬱 樓觀飛驚 | Next 丙舍傍啓 甲帳對楹


圖寫禽獸하고 畫[注 1][注 2][注 3][注 4]이라 (圖寫◯禽獸◑하고 畫◑綵◯仙靈◎이라)

()〈宮殿과 樓觀에〉 새와 짐승을 그렸으며, 신선과 신령을 그려 채색하였다.

宮殿樓觀에 必圖寫龍虎麟鳳之狀하여 以爲美觀也라
亦以五采로 畫神仙靈怪之物也라

궁전과 높은 집에 반드시 용ㆍ범ㆍ기린ㆍ봉황의 모습을 그려 아름다운 景觀으로 삼았다.
또한 다섯 가지 채색으로 신선과 신령스러우며 기괴한 물건을 그렸다.

圖寫禽獸

圖寫禽獸

(韓) 궁전 내부에는 유명한 화가들이 그린 그림 조각 등으로 장식되어 있다.

(簡) 금수로 그림이 그려져 있고

궁전내부에는 유명한 화가들이 글인 그림, 조각 등으로 장식되어있다. 그림 도(圖), 베낄 사(寫), 날짐승 금(禽), 짐승 수(獸)

한자 유래

도사금수(圖寫禽獸)는 누각에 진귀하고 상서로운 새와 짐승을 그려 놓았다는 뜻이다. 도사(圖寫)는 '그림을 그리다'라는 뜻이고, 금수(禽獸)는 '새와 짐승' 즉 '날짐승과 길짐승'을 뜻한다. 고대의 중국인들은 용(龍), 기린(麒麟), 봉황(鳳凰), 거북(龜)을 신성(神聖)시하고, 이를 사령(四靈)이라 하여 상서로움의 상징으로 삼았다. 성인(聖人)이 출세(出世)하면 이런 동물이 나타난다는 믿음을 갖고 있다. 그래서 이런 사령(四靈)을 전각 등에 그려서 상서(祥瑞)로움이 깃들기를 기원했던 것이다. 여기서 금수(禽獸)는 이처럼 진귀하고 상서로운 동물을 말한다.

그림 도(圖)의 구성(構成)은 에워쌀 위(囗)와 마을 비(啚, 인색할 비)로 짜여 있다. 위(囗)자는 사방을 에워싼 모양(模樣)을 나타낸 자형으로 ‘둘레 위(圍)’의 본 글자이며, 또한 일정한 경계(警戒)안의 지역을 뜻하는 ‘나라 국(國)’의 옛 글자이기도 하다. 비(啚)은 에워쌀 위(囗)와 곳집 름(㐭)으로 구성되었는데, 룸(㐭)은 수확(收穫)한 곡식을 넣어두는 창고의 모양(模樣)을 상형한 것으로 곳간이나 창고의 뜻을 지닌 ‘곳집 름(廩)’의 옛글자다. 이에 따라 창고(㐭)를 에워싸고(囗) 있는 모양(模樣)을 나타내 사람이 거주(居住)하는 ‘마을’을 나타내기도 했으며, 곡식을 저장한 창고(㐭)를 또 에워싸(囗) 잘 내주지 않는다는 데서 ‘인색(吝嗇)하다’는 뜻도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圖(도)의 전체적인 의미(意味)는 사람이 거주하는 마을(啚)은 물론 그 경계(囗)까지 그려놓은 ‘지도’를 뜻할 뿐 아니라 그러한 지도를 그린다는 데서 ‘그림’이란 뜻도 지니게 되었다.

베낄 사(寫)는 텃새인 까치 석, 작(舃)가 다른 둥지를 모방(模倣)하여 집(집 면: 宀)을 짓는다는 데서 ‘베끼다’는 뜻을 지니게 되었다. 집(宀) 안에 까치(舄)가 있는 베낄 자는 원래 '까치(舄)가 먹이를 물어와 집(宀)에 옮겨 놓다'는 뜻이다. 이후 '옮겨 놓다, 이쪽에서 저쪽으로 옮기다, 본뜨다, 베끼다' 등의 뜻이 생겼다. 사생대회(寫生大會)는 '실물이나 경치를 있는 그대로 생생하게(生) 베끼는(寫) 큰(大) 모임(會)'이다. 손으로 일일이 써서 만든 책을 말하는 필사본(筆寫本)은 '붓(筆)으로 베껴(寫) 쓴 책(本)'이며, 판각본(板刻本, 版刻本)은 반대로 인쇄한 것을 말한다.

날짐승 금(禽)의 구성은 자형상부를 이루는 부수(人+文+凵)와 발자국 유(禸)로 짜여 있다.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긴 자루나무 끝에 그물을 맨 그림이다가 한나라의 소전으로 오면서 현재의 자형과 비슷한 유형을 지니게 되었다. 그래서 대부분 자형상부를 今(금)으로 보면서 소리요소로 파악하는데, 필자의 생각은 좀 다르다. 문자라는 것은 인문학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철학적 의미가 결부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글자 역시 사유체계의 발달과 함께 사물을 본뜬 상형(象形)의 회화적인 단순함에서 벗어나 보다 세부적인 요소를 가미하며 인문적 지식을 담게 된다. 禽(금)자에는 이러한 글자의 발달과정이 잘 담겨 있다. 즉 자형상부를 이루는 부수들을 보면, ‘人’은 새장의 지붕을, 무늬를 뜻하는 ‘文’은 아름다운 무늬를 띤 새를, ‘凵’은 새장을 뜻한다. 여기에 짐승 발자국을 뜻하는 禸(유)를 더해 사람이 아닌 짐승임을 강조했다. 따라서 禽(금)의 전체적인 의미는 지붕(人)을 씌워 새(文)가 도망가지 못하도록 새장(凵)에 가두어(禸) 두었으니, 이는 곧 날짐승을 대표하는 글자로 규정되었다. 떠날 離(리)를 살펴보면 이러한 뜻이 보다 명확해 진다. 날짐승을 뜻하는 禽(금)자의 상부를 이루는 지붕(人)이 없어지게 되면 새(隹)는 새장을 벗어나 멀리 날아가 버린다는 의미가 離(리)자에 담겨 있기 때문이다.

짐승 수(獸)는 가축 축(嘼)과 개 견(犬)으로 구성되었다. 嘼(축)은 자형의 상부는 單(단)자와 그 유래가 비슷한데, 짐승의 목을 단숨에 제압할 수 있는 막대의 끝이 V자 모양으로 이루어진 사냥도구를 본뜬 상형글자이다. 그러나 소전으로 오면서 자형하부에 우리를 뜻하는 ‘口’모양이 첨가 되었다. 犬(견)은 개의 옆모습을 본뜬 상형글자인데, 개의 가장 큰 특징인 혀를 내민 입모양을 ‘丶’으로 표현하였다. 다른 부수에 더해져 자형의 좌변에 놓일 때는 주로 犭(견)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獸(수)의 전체적인 의미는 사냥 개(犬)와 V자 모양의 사냥도구(嘼)를 이용하여 길짐승을 잡는다는 뜻을 담아 본래는 ‘사냥’이라는 의미였으나 사냥의 대상인 ‘길짐승’의 뜻으로까지 확장되었다.

주역

[풀이] 궁전과 누각의 내부에 신령한 용·봉황·백호·거북·기린 등 상상속의 영물과 장생(長生)을 상징하는 학이나 사슴 등의 비주금수(飛走禽獸: 나는 새와 달리는 짐승)를 묵화(墨畵)로 묘사(描寫)하여 베껴놓았음을 설명한 문구이다.

[字義] 圖는 눛(큰 입 구)와 (인색할 비). 본래는 어려운 나라살림을 가리킨다. '도모(圖謀)'와 '지도(地圖)'의 용례에 보이듯이 ① 국가경영을 잘 '꾀하다' ② 나라를 다스리고자 땅의 경계를 지어 '그리다'는 뜻으로 주로 쓰인다. 는 口(입 구)와 (곳집 름).

곳간()의 한 톨 곡식도 새나가지 않도록 밖을 둘러싼(口) 형태이므로 인색(吝嗇)함을 나타낸다. 관련글자로 인근 이웃 간에 인심이 메마름()을 가리키는 鄙(더러울 비), 쌀을 내어주거나 곡식을 줄 때 어른에게 여쭘을 이르는 稟(줄 품, 여쭐 품), 주지는 않고 거두려만 하는 심보 또는 보릿고개의 어려운 광 인심을 일컫는 嗇(아낄 색), 꽉 차서 늠름(凜凜)함을 뜻하는 凜(찰 름) 등이 있다. 寫는 눞(집 면)과 (본 글자는 → 신 석, 까치 작·석).

주물(鑄物)을 만드는 거푸집을 나타낸 글자로 '부어 만들다' 나아가 베껴 그리다'는 뜻으로 쓰인다. ()은 바닥을 여러 겹으로 붙인 신발을 가리키므로, 발자국을 그대로 재현하여 '옮기다(베끼다)'는 뜻이 나온다. 禽은 人(사람 인→ 날개모양)과 (산신 리→ 짐승의 머리와 발자국). 즉, 날개달린 짐승(새)을 뜻한다. 獸는 (가축 축·휴)과 犬(개 견). 본래는 개와 같이 집에서 기르는 짐승을 가리키다가 뒤에 모든 들짐승을 뜻하게 되었다. 는 사람들의 함성(一+口)에 쫓겨 들판으로(田) 달아나며 울부짖는(口口 : 부르짖을 현) 짐승에 대한 뜻으로도 본다.

[참조] 복희씨 당시 황하(黃河)에 나타난 신비한 용마(龍馬) 등에는 1에서 10에 이르는 선모(旋毛) 형태의 수 무늬가 있었는데, '황하에서 발견된 그림'이라는 뜻에서 이를 '하도(河圖)'라고 한다. 河圖는 천체의 운행 즉 은하(銀河)가 선회(旋回)하는 그림이라는 뜻도 담겨 있는데, 圖에 또한 천체가 회전운동(回)을 하면서 생성하는 시간과 공간의 집() 즉 우주(宇宙)에 대한 뜻이 숨어있다.

畵采仙靈

畵采仙靈

(韓) 신선과 신령의 그림도 화려하게 채색되어 있다.

(簡) 산수 신령이 그려져 있다.

신선과 신령의 그림도 화려하게 채색되어 있다. 그림 화(畵), 채색 채(彩), 신선 선(仙), 신령 령(靈) 여기에서 도사금수(圖寫禽獸)라는 글귀에는 궁전이란 찾아볼 수 없는데 왜 궁전내부 풀이를 했을까? 전문(前文)에서 궁전반울(宮殿盤鬱)에 관한 웅비한 외모와 높게 솟아오른 궁궐의 운치를 표현 한 것에 이어 이번은 宮의 내부에 장식된 금수와 仙靈을 도사화한 것을 표현 했다. 글자의 뜻 풀이를 하면 도사(圖寫)는 그림을 그리거나, 도(圖)는 계획의 뜻 즉 의도(意圖)함이요, 사서(寫書)글을 베끼다 의 뜻으로 변하였다. 금수(禽獸)새와 짐승을 칭함이요 <<백호통의>>에 금자하 조수지총명(禽者何 鳥獸之總名) 이라는 구절에 적기를 새란 새 짐승을 莫羅한 것이라는 의미이다. <<이아석고>>에는 이족이우위지금 사족이모위지수(二足二羽謂之禽 四足而毛謂之獸)이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것은 두 다리에 두 날개가 있는 것은 새라 하고, 발이 넷이며 털이 있는 것은 짐승이라 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사람을 금수에 다를 바 없다 할 때는 인륜을 벗어난 불륜한 자로 뜻한다. 화채(畵彩)는 채색으로 그린다는 뜻이요, 선령(神靈)은 신선(神仙)과 영위(靈位)를 말한다.

한자 유래

화채선령(畵彩仙靈)은 궁전엔 신선(神仙)과 신령스러운 모습을 그려서 아름답게 채색하였다는 뜻이다. 화채(畵彩)는 그림의 채색, 또는 그림의 빛깔을 말한다. 또 그려서 채색(彩色)했다는 뜻도 나타낸다. 여기서는 후자를 뜻한다. 선령(仙靈)은 신선(神仙)과 신령(神靈)을 말하는데, 이는 신선(神仙)과 신령(神靈)스러운 것을 뜻한다 할 것이다. 또, 고대의 성현(聖賢)을 그리고 채색하여 궁전(宮殿)을 아름답게 장식(裝飾)했는데, 이와 같은 그림을 그리는 것은 임금이 그림을 보고 스스로 마음을 다스리고 그 덕을 본받아 덕(德)으로써 나라를 나라를 태평(太平)하게 할 것을 염원(念願)하도록 한 것이다.

그림 화(畵)의 구성(構成)은 붓 율(聿)과 밭 전(田), 그리고 ‘凵’모양이 더해진 회의글자(會意字)다. 율(聿)은 붓 대(丨)를 손으로 잡고(彐)있는 모양(模樣)과 함께 동물의 가는 털을 모아 만든 붓(二)의 형태를 그대로 본떠 만든 상형글자(象形字)다. 전(田)은 초기 글자인 갑골문()도 현재와 비슷하다. 田(전)은 또한 ‘사냥하다’는 뜻도 있는데, 고대 사람들은 밭과 같은 일정한 크기의 구획 안에서 사냥경기를 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畵(화)의 전체적인 의미는 붓(聿)을 이용하여 도면에 밭(田)의 경계(凵 혹은 一)를 그린다는 뜻이 확장되어 그림을 그린다(畵화)거나 계획이나 설계를 한다(畵획)는 뜻을 지니게 되었다. 畵(화)는 畫(화)의 속자로 같은 뜻을 지녔다.

비단 채(綵)의 구성(構成)은 뜻을 나타내는 실 사(糸) 부(部)와 음(音)을 나태내는 캘 채(采)가 합(合)하여 이루어진 형성문자(形聲字)이다. 즉 실 끈, 베 사(糸)와 캐다, 선택(選擇)하다 채(采)로 이루어졌다. 캘 채(采)는 나무에서 열매나 싹을 따는 모습(模襲)인데, 실을 따는 것이므로 '비단'을 의미(意味)한다. 기본의미는 색실(糸)을 선택해(采) 수놓은 베(糸), 비단을 뜻한다. 뽕나무(木)의 뽕잎을 따서 '딸 조(爪)' 누에를 길러 얻은 실(糸)로 짠 천을 말한다. 비단이란 증(繒), 백(帛), 견(絹)과 같은 견직물(絹織物)의 총칭(總稱)을 말하는데 고치에서 거듭해 끝(會)까지 실(糸)이 나온다고 해서 증(繒)이라 했으며, 하얀(白) 필륙(巾)을 만든다고 해서 백(帛)이라고 했다. 그리고 작은 벌레의 입(口)에서 달빛(月) 같은 고운 실(糸)을 만들어 낸다고 해서 견(絹)이라고 했다. 오늘날 생산(生産)되는 비단은 양단(洋緞), 숙고사(熟庫紗), 갑사(甲紗), 생고사(生庫紗), 항라(亢羅), 유동 등이며, 비단을 주단(綢緞)이라고 해, 비단(緋緞)을 파는 곳을 비단가게, 주단가게라고도 부른다.

신선 선(仙)의 구성(構成)은 서있는 사람을 상형(象形)한 사람 인(亻)과 뫼 산(山)으로 이루어졌다. 산(山)은 세 개의 산봉우리를 본뜬 상형글자(象形字)이다. 셋은 단지 새 개만을 의미(意味)하는 게 아니라 많은 수를 함축(含蓄), 집약(集約)한 것이다. 특히 여기에서는 세속의 사람들이 사는 곳이 아닌 심심산중을 의미(意味)한다. 고대시대, 동서양(東西洋) 사람들이 섬기는 신은 모두가 산에 살았다. 따라서 선(仙)의 전체적인 의미(意味)는 인적이 드문 깊은 산(山) 속에서 장생불사(長生不死)의 도를 이룬 사람(亻)인 ‘신선(神仙)’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신령 령(靈)의 구성(構成)은 비 우(雨) 아래 시끄러울 령(口+吅)과 무당 무(巫)로 이루어진 형성문자(形聲字)이다. 즉 령(霝)은 입 구(口) 변(邊)에 부르짖을 훤(吅)을 한 문자이며, 무(巫)는 장인 공(工) 변에 두 개의 사람 인(人)을 한 문자이다. 따라서 령(靈)은 무당(巫)이 비(雨)가 내리는 날 시끄럽게(口+吅) 해서 내림을 그렸다. 또한 신령(神靈), 혼백(魂魄), 고이다(寵), 착하다(善) 등의 뜻이 있다. 전체적의 의미로 령(靈)은 무형(無形)으로 볼 수가 없으므로 무당(巫)이 비(雨)가 내리는 날 신(神)이 내리도록 시끄럽게(口+吅) 구는 모습을 상형한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해석으로서의 령(靈)은 전문(篆文)에 옥(王)과 령(霝)의 형성자(形聲字)로, '령(霝)'은 기도(祈禱)하는 말을 늘어 놓아 비 내리기를 빌다의 뜻이며, '옥(王)은 '옥(玉)'의 뜻이다. 이는 신(神)을 섬길 때 옥을 쓰므로 덧붙인 것이다. 또 별체(別體)는 '무(巫)'를 곁들여 기우제(祈雨祭)를 올리는 사람, '무당'의 뜻을 나타내고, 파생(派生)하여 '넋, 신령(神靈)하다'의 뜻을 나타낸다.

주역

[풀이] 옛 궁전의 전각들에 곱게 오색으로 단청(丹靑)을 하는 한편 사대문에는 각 방위를 수호하는 신령한 사신(四神), 즉 동방의 청룡(靑龍) 서방의 백호(白虎) 남방의 주작(朱雀) 북방의 현무(玄武)를 그려 넣고, 담벽에는 도가(道家)의 십장생(十長生)에 해당하는 해, 산, 물, 돌, 구름, 솔, 불로초, 거북, 학, 사슴 등을 비롯하여 화려한 각종 문양을 그려 넣은 모습을 표현한 문구이다. 도서(圖書)와 서화(書畵)를 일컫듯이, 도사(圖寫)와 화채(畵采) 즉 모양을 떠서 그대로 그린 다음에 이를 붓으로 옮기고 마지막으로 채색을 가미하는 것이다.

[字義] 畵(=)는 聿(붓 율)과 田(밭 전)과 一(한 일). 도면에다 붓(聿)으로 밭(田)의 경계(一)를 가르듯이, 붓으로 선을 그어 '그림 그리다'는 뜻을 나타낸다. 나아가 구획을 나누는 뜻인 '劃(가를 획)' 대신으로 많이 쓴다. 采는 눳(손톱 조)와 木(나무 목). 본래는 풀을 캐거나 나무에 달린 열매를 딴다는 뜻인데, 여기선 풀이나 열매를 우려내 만든 염료로 옷감()에 물들임을 이르는 綵(채색할 채)와 같은 글자로 쓰였다. 仙은 人(사람 인)과 山(메 산). 속세를 벗어나 산에 올라가 사는 사람 또는 늙어도 죽지 않고 장생불사(長生不死)한다는 신선(神仙)을 뜻한다. 본 글자는 이며, 뒤에 仙이나 僊으로 변하였다. 靈은 (비 내릴 령)과 巫(무당 무). 천지음양의 조화로 비가 내리듯이 신이 내린 무당이 신과 통하여 '신령하다'는 뜻을 나타낸다. 은 주룩주룩 많은 소리를 내며 비가 내림을 이른다.

[참조] 仙은 본래 신선사상을 위주로 한 우리나라의 풍류도(風流道)와 관계된 글자로서, 우리 동이민족을 상징하는 뜻이 담겨있다. 산은 방위상 동북에 처한 간(艮: )에 해당하는데, 우리나라를 예로부터 동북의 간방조선(艮方朝鮮)으로 일컬어 왔다. 국호를 새벽의 신선(新鮮)함을 뜻하는 조선(朝鮮)으로 정한 것도 우리나라가 새벽을 상징하는 동북방위에 속하기 때문인데, 곱고 깨끗하며 맑음을 뜻하는 鮮 또한 仙의 발음과 같다. 순결한 백의민족의 善(착할 선), 가장 먼저 동트는 곳의 先(앞 선) 등도 같은 경우이다.

  1. 畫 : 俗字는 ★{聿/(冂*人/一)}(그릴 화)이다.(≪註解≫) 畵(그릴 화)는 畫의 俗字이다.(≪中≫) 畫는 본래 音義가 ‘그을 획’이고, 異音義로 ‘그릴 화’가 추가된 것이다.
  2. 綵 : 采(채색할 채)와 같다.(≪註解≫)
  3. 仙 : 僊(신선 선)으로도 쓴다. 屳(신선 선)과 같다. 仚과는 다르다. 仚은 음이 ‘헌’이고 가볍게 든다는 뜻이다.(≪註解≫)
  4. 圖寫禽獸 畫綵仙靈 : 圖와 寫는 모두 그린다는 뜻이다. 나는 짐승을 禽이라 하고 달리는 짐승을 獸라 한다. 五色으로 물건의 모양을 나타내는 것을 畫라고 한다. 綵는 색칠한다는 뜻이다. ≪釋名≫에 말하기를 “오래 살아 죽지 않는 이를 仙이라 한다.” 하였다. 靈은 神이다. 이 궁전과 높은 집 속에는 모두 채색으로 나는 새와 달리는 짐승 및 신선의 모양을 그렸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釋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