空谷傳聲 虛堂習聽

From Han Wiki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천자문 | Previous 德建名立 形端表正 | Next 禍因惡積 福緣善慶


空谷傳聲하고 虛堂習聽[注 1]하니라 (空谷●傳聲하고 虛堂習●聽◉하니라)

() 빈 골짜기에 소리가 〈메아리쳐〉 전해지고 빈집에 들음이 〈울려져서〉 반복된다.

人在空谷에 有聲則谷自響應하여 而傳其聲하나니라 上言影之隨形하고 此言響之隨聲하니 蓋一義也라
虛堂有聲이면 亦可習聽이니 堂之有宖[注 2]은 猶谷之有谹[注 3]也라 易曰 出其言善이면 則千里之外應之라하니 卽此理也라

사람이 빈 골짜기에 있을 때에 소리가 있으면 골짜기에서 스스로 메아리쳐 호응하여 그 소리가 전해진다. 위에서는 그림자가 몸을 따름을 말하였고, 여기서는 메아리가 소리를 따름을 말하였으니, 같은 뜻이다.
빈집에 소리가 있으면 또한 소리가 울려서 중복될 수 있으니, 집이 울림이 있는 것은 골짜기가 울림이 있는 것과 같다. ≪周易≫ 〈繫辭傳〉에 이르기를 “그 말을 내는 것이 착하면 千里의 밖에서도 호응한다.” 하였으니, 바로 이러한 이치이다.

空谷傳聲

空谷傳聲

(韓) 소리를 산골짜기에서 치면 그대로 전해진다.

(簡) 빈깡통이 소리가 크니,

산골짜기에 크게 소리치면 그대로 전한다. 즉 악한 일을 당하게 된다. 이 뜻은 아무도 없는 대서 나는 소리가 전해지는 것처럼,악한 일이 벌어지면 험한 꼴을 당하고,좋은 일이 벌어지면 좋은 그대로 전해진다.(공허한 외로운 곳에서는 내 소리가 산울림되어 내 귀로 돌아오는 것과 같이, 있는 그대로 내게로 전해 들린다는 뜻이다) 빌 공(空), 골 곡(谷), 전할 전(傳), 소리 성(聲)

한자 유래

공곡전성(空谷傳聲)은 세상을 다스리는 자의 말이 훌륭하면 천리 밖에서도 따르고, 그렇지 않으면 천리 밖에서도 어기게 마련이라는 뜻이다. 공곡(空谷)에서 전성(傳聲)한다는 말은 곧 빈 골짜기에서는 메아리 소리가 한층 증폭(增幅)되어 되돌아 온다는 것이다.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는 속담(俗談)도 있고, 뿌린 대로 거둔다는 속담(俗談)도 있다. 우리는 자신(自身)의 행동(行動)에 대한 책임(責任)을 대부분 지게 된다. 어쩌면 인과응보(因果應報)를 얘기하는 것일 수도 있다.

빌 空(공)의 구성(構成)은 구멍 혈(穴)과 장인 공(工)으로 이루어졌다. 혈(穴)은 고대의 주거(住居)의 형태(形態)로 땅을 파내어 만든 동굴형태 집의 출입구를 본뜬 것으로 상형글자(象形字)이다. 그래서 그 의미(意味)는 ‘구멍’ ‘동굴’ ‘움집’ 등을 뜻하게 되었다. 공(工)자는 갑골문(甲骨文)과 금문(金文)에도 보이는 아주 오래된 글자인데, 대체적으로 장인(匠人)들이 일을 할 때 쓰던 길이를 재거나 뭔가를 깎아내고 구멍을 파는 ‘공구(工具)’로 보는 게 일반적이다. 한편으로는 소리를 내기위해 틀에 매달린 석경(石磬)으로 보기도 한다. 여러 음계(音階)의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각기 정교(精巧)하게 돌을 깎아 다듬어야 한다는 데서 ‘장인(匠人)’ ‘기교(技巧)’ ‘솜씨’ 등의 뜻이 발생(發生)하였다. 따라서 공(空)의 전체적인 의미(意味)는 땅을 파내(工) 만든 굴(穴)처럼 안이 텅 ‘비다’ ‘없다’ 등의 뜻이 생겨났다.

골짜기 곡(谷)자는 산기슭을 향해 갈라진(八) 채 주름져 흘러내리는 밑에 입구(口)를 본떠 골을 의미(意味)하는 상형자(象形字), 회의자(會意字)로 '골짜기(谷)'라는 뜻의 7획 글자이다. 곡(谷)자는 '골짜기'의 뜻으로 '두 산 사이에 깊숙하게 패어 들어간 곳'을 의미(意味)하는 외에도 산골짜기가 좁기 때문에 '좁은 길'을 뜻하기도 한다. "설문(說文)"에서는 “샘(泉)에서 흘러나와 하천(川)으로 통하게 하는 것이 곡(谷)이다. 물줄기가 굴(口)에서 나오는 것이 반쯤 드러나 보이는 모양(模樣)으로 구성(構成)되었다.”고 하였다. 갑골문(甲骨文)의 자형(字形)도 현재의 모양(模樣)과 거의 같은데, 산 사이의 골짜기로 난 물길이 아직은 완만(緩慢)하게 흐르는 하천(河川)이 아니라 바윗돌(口)과 같은 장애물(障碍物)을 비껴 흐르는 모양(模樣)이다.

전할 전(傳)의 구성(構成)은 사람 인(亻)과 오로지 전(專)으로 짜여 있다. 소리요소가 된 전(專)은 마디 촌(寸)을 제외(除外)한 부분(部分)이 실을 감거나 풀어주는 물레나 실패(失敗)를 의미(意味)하는데, 즉 물레에서 계속(繼續)해서 풀어져 나오는 실과 같이 한결같다는 뜻을 갖게 된다. 따라서 전(傳)의 전체적인 의미(意味)는 물레에서 풀어져 나오는 실과 같이 한결같은 마음(專)으로 오랜 세월동안 사람과 사람(亻) 사이로 전달(傳達)되어 온 유형무형(有形無形)의 역사적 사실(歷史的事實)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소리 성(聲)의 구성(構成)은 경쇠 경(磬)의 생략형(生略形)과 사람의 귀 모양(模樣)을 본뜬 귀 이(耳)로 짜여 있다. 경(磬)은 소리 성(聲)의 옛글자인 성(殸)과 돌 석(石)으로 이루어졌는데, 성(殸)의 좌변에 놓인 성(聲)의 간체자(簡體字)이기도 한 성(声)은 소리를 내기위해 돌이나 쇠로 만든 악기를 표현(表現)한 것으로 막대기를 손에 쥐고서 두드려(殳)서 난 ‘소리’를 뜻한다. 여기에 그 의미(意味)를 확실(確實)히 하기 위해서 석(石)을 더했는데, 바로 ‘ㄱ’자 형태(形態)의 돌을 다듬어 만든 편경(編磬)이라는 악기를 연상(聯想)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따라서 성(聲)이 의미(意味)하는 것은 돌이나 쇠로 만든 경쇠(磬)를 두들겨 나는 소리를 귀(耳)로 듣는다는 데서 ‘소리’라는 뜻을 지니게 되었다. 사람의 입을 통해 나오는 소리는 음(音)이고, 여타 다른 사물(事物)을 통해 생겨난 소리는 성(聲)으로 표현(表現)해 구별(區別)하고 있다.

주역

풀이= 빈 골짜기에서는 메아리가 산을 울려 소리가 크게 들린다. 속을 깨끗이 비운 마음 속에서 나오는 소리가 생생하게 잘 전해짐을 설명한 문구이다. 큰소리를 치면서 자신을 과시하고 뻐기는 이들의 마음 속에는 더럽고 추한 야심과 욕심이 가득해서 아무리 두드려도 소리가 나지 않으며, 사람들을 감동시키지 않는다. 택산함(澤山咸)괘는 백두산 위의 천지(天池)와 같이 산() 위에 못()이 처하여, 산택이 서로 기운을 통하고 처녀와 총각이 만나서 교감함을 나타낸다. 그 대상(大象)에도 "군자는 자신을 비워서 남을 받아들인다(君子 以하야 虛로 受人하나니라)"고 하였다.

字義= 空은 穴(구멍 혈)과 工(장인 공, 이을 공). 생명이나 물건을 생성하는 텅 빈 구멍을 뜻한다. 谷은 과 口(입 구). 산등성이의 갈라진 틈새()로 흘러내린 물이 연못(口)을 이룬 모습으로 골짜기를 가리킨다. 傳은 눇(人)과 專(오로지 전, 물레 전). 專은 본래 실을 감은 물레(실패)가 섞임 없이 한쪽 방향으로 계속 풀려 나아감을 나타내므로 할아비 아들 손자로 집안의 도가 계승되어 계속 이어져 내려옴을 뜻한다. 聲은 악기(북)를 채로 때릴 때의 소리를 귀(耳)로 들음, 즉 악기 등의 소리를 나타낸다. 馨(향기 형)은 소리가 아름다워 향기로운 내음이 풍긴다는 뜻이다. 대개 音(소리 음)은 입과 혀(曰: 가로 왈)를 움직여 내는 분명한(立) 소리, 聲은 귓전에 들리는 자연 그대로의 소리를 가리킨다.

참조= 천지만물을 생성변화하는 태극(太極)은 태허(太虛)한 무극(無極)에서 나온다. 시간과 공간의 집인 우주(宇宙) 속에서 삼라만상이 비롯되고 어머니의 자궁 속에서 생명이 잉태되는 것이다. 텅 빈 우주로부터 한줄기 밝은 생명의 빛이 비춰 형형색색의 갖가지 물상이 나왔다가 다시 본래의 우주로 되돌아가 쉬므로 불가(佛家)에서도 색즉시공(色卽是空)과 공즉시색(空卽是色)을 말하였다.

虛堂習聽

虛堂習聽

(韓) 빈방에서 소리를 내면 울리어 다 들린다. 즉 착한 말을 하면 천리밖에서도 응한다.

(簡) 빈집에서 듣는 것을 익힌다.

빈방에서 소리를 내면 울리여 다 들린다.즉 착한 말을 하면 천리 밖에서도 응한다. 비록 빈방에서 익힌 것이라 할지라도 좋은 내용이라면 천리 밖에서도 호응을 하고 전파된다는 뜻이다. 빌 허(虛),집 당(堂), 익힐 습(習), 들을 청(聽)여기에서 특기(特記)할 만한 내용은 소리의 전(傳)함이라든가, 들여오는 익힘의 청(聽)들은 모두가 직접 보지는 못한 일들을 근거하여 그 사실들을 간파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하고 있음이 라는 것. 예 큰데 저주파나, 고주파들을 이용한 탐지기에 의하여 머나 먼 곳에서 그 기점 정황을 판단 한다는 것과 무선 전화기로서 의사표시를 다 한다는 것들은 공곡전성(空谷傳聲), 허당습청(虛堂習聽) 등에서 합리적으로 압축된 학문임을 알 수 있다.

한자 유래

허당(虛堂)에서 습청(習聽)한다는 것은 즉 비어 있는 집에서 어떤 소리를 듣는 연습(練習)을 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 천자문(千字文)을 지은 주흥사(周興嗣)가 심오(深奧)한 철학(哲學)을 담으려고 이 글을 쓴 것 같지는 않다. 다만, 공곡전성(空谷傳聲) 허당습청(虛堂習聽)이란 뜻은 그냥 골짜기 안에서는 메아리가 잘 울려서 소리가 전(傳)해지고, 빈 집에서는 작게 말해도 잘 들리므로 듣는 연습(練習)을 한다는 것이다.

빌 허(虛)는 호피무늬 호(虍)와 언덕 구(丘)의 변형(變形)으로 구성(構成)되었다. 호랑이의 모습(模襲)을 그대로 본뜬 虎(호)는 자형상부는 머리를, 가운데 '장(厂)'과 '칠(七)'는 늘름(凜凜)한 몸통을, 그리고 하부는 사람의 발(儿)을 가차(假借)하여 그려낸 상형글자(象形字)이다. 다른 부수(部首)에 더해 새로운 자형을 만들 때는 보통 하부의 발(儿)을 생략한 채 虍(호)만을 사용(使用)하는데, 그래도 호랑이라는 본뜻은 그대로 있다. 구(丘)는 요즘에는 주로 ‘언덕이나 무덤’과 같이 낮은 흙더미를 뜻하지만, 갑골문(甲骨文)을 살펴보면 높은 산에 둘러싸인 분지(盆地)와 같은 개념(槪念)이었다. 따라서 허(虛)의 전체적인 의미(意味)는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울창(鬱蒼)한 산림의 구릉(丘)에 모든 짐승의 왕(王)인 호랑이(虍)가 살게 되면 그 일대에는 사람은 물론 어떤 다른 동물(動物)들도 무서워 살지 않기 때문에 텅 빌 수밖에 없다는 뜻을 담고 있다.

집 당(堂)의 구성(構成)은 높일 상(尙)과 흙무더기를 쌓아올린 모양(模樣)을 상형한 흙 토(土)로 짜여 있다. 상(尙)은 여덟 팔(八)과 향할 향(向)으로 이루어졌는데, 향(向)은 벽면을 길게 늘어뜨린 모습(模襲)과 지붕을 본뜬 집 면(宀)과 집의 입구를 뜻하는 입 구(口)로 구성(構成)되었다. 고대 마을의 가옥구조(家屋構造)는 중앙의 광장(廣場)이나 신전(神殿)을 중심으로 외곽(外郭)에 배치(配置)되어 있는데, 집(宀)의 입구(口)가 모두 중앙의 신전(神殿)이나 특정 건물(建物)을 향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래서 ‘향하다’라는 뜻과 함께 방향(方向)을 나타낼 때 주로 쓰인다. 이에 따라 상(尙)의 의미(意味)는 집(向) 중에서도 신전(神殿)과 같은 특별(特別)한 건물은 일반 가옥(家屋)과는 달리 지붕위에 깃발(八)과 같은 표식(標識)을 하여 모든 사람이 신성(神聖)하게 ‘받들어 모시다’ ‘높이다’는 뜻이 담겨 있다. 따라서 당(堂)의 전체적인 의미(意味)는 흙(土)을 돋우어 높다랗게 지은 신전(神殿)과 같은 집(尙)을 말한다.

익힐 습(習)의 구성(構成)은 깃 우(羽)와 스스로 자(自)의 간략형(簡略形)인 흰 백(白)으로 짜여 있다. 알에서 깨어난 어린 새가 날개(羽)를 펼치며 스스로(自) 부단한 날개 짓을 통해 ‘스스로 나는 법(法)을 익힌다’는 뜻이 담겨 있다. "설문(說文)"에서는 “습(習)은 빈번하게 날개 짓 한다는 뜻이다. 우(羽)로 구성(構成)되었으며 자(白)가 소리요소이다.”고 하였다. 자형하부의 백(白)은 스스로 자(自)의 생략형(省略形) 글자로 보며 발음(音) 또한 ‘자’로 한다. 즉 어린 새가 날개 짓(羽)을 하며 스스로(自) 나는 법(法)을 익힌다는 뜻이 담겨 있다.

듣을 청(聽)자는 귀 이(耳)와 북방 임(壬), 그리고 열 십(十)과 옆으로 뉘인 눈 목(目), 한 일(一)과 마음 심(心)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이를 해석(解釋)해보면 여러 사람들(十)이 보아도(目) 한 결 같은(一) 마음(心)으로 귀(耳)를 곧추 세워(壬) 듣는다는 뜻이 함축(含縮)되어 있다. 즉 눈(眼)과 귀(耳)를 딴 짓거리 하지 않고 상대방(相對方)을 향해 집중(集中)하여 들어준다는 것이다.

주역

풀이= 空谷傳聲과 마찬가지로 고요한 빈 집에서 경전의 글을 익히고 성인의 말씀을 배워 듣는다는 내용이다. 빈 골짜기에 소리를 전한다는 것은 진짜 가르침을 전할 만한 사람이 전함을 말하고, 빈 집에서 익히고 듣는다는 것은 속을 비워 놓은 사람만이 많은 것을 받아들일 수 있음을 이른다. 주역 山天大畜괘의 대상(大象)에도 '옛날 성인의 말씀을 많이 듣고 배워서 그 덕을 쌓으라(多識前言往行 以畜其德)'고 하였다.

字義= 虛는 본래 (호피무늬 호)가 없는 상태로 큰 언덕(大丘)을 뜻하는데[說文], 뒤에 를 더하여 산중의 범을 잡기 위해서 파놓은 큰 구덩이를 가리키게 되었다. 속에 아무 것도 없다는 뜻에서 텅 빈 상태를 나타낸다. 艸(풀 초)와 비슷한 받침()은 땅속(一)을 깊이 파서 함정을 만들고 그 위를 풀로 덮어 가림을 보여준다. 堂은 尙(숭상할 상, 높일 상, 오히려 상)과 土(흙 토). 흙(土) 위에 높다랗게(尙) 세운 집. 사당(祠堂)이나 묘당(廟堂) 등은 대개 높고 양지바른 곳을 골라 짓는다.

習은 羽(깃 우)와 白(흰 백). 새끼 새가 창공을 날고자 거듭 날갯짓을 하여 열심히 익힘을 뜻한다. 모든 색의 바탕인 白은 순진무구(純眞無垢)하여 아직 때가 묻지 않은 어린 생명을 상징한다. 聽은 耳(귀 이)에 壬(짊어질 임, 아홉째 천간 임, 북방 임)과 悳(덕 덕 →). 내면의 마음에서 울리는 곧은 소리 또는 정직한 마음으로 알려주는 사람들의 말에 대해 귀를 기울여 듣는다는 뜻이다. 壬(→任: 맡을 임)은 등에 짐을 짊어진 형태로 무거운 책무(짐)를 감당해내려면 내면의 참 소리와 외부의 직간(直諫)을 들어야 한다는 경계를 담고 있다.

참조= 날랜 범이 뛰면 바람이 따라 일어난다(風從虎). 큰 언덕(산)에 숨어있는 범은 바람처럼 종적이 표홀하여 포획하기 어려우므로 '허탕치다(헛수고하다)'는 뜻이 나온다. 서방의 신수인 백호(白虎)는 연못 또는 입을 상징하는 태괘(兌卦:)에 해당한다. 연못의 물은 하늘로 향하여 증발하는데, 맨 위가 음효인() 또한 밖(위)을 향해 입을 벌리고 있다.

  1. 空谷傳聲 虛堂習聽 : 空은 즉 비운다는 뜻이다. 谷은 두 산 사이의 서로 낀 곳이다. 傳은 잇는다는 뜻이다. 堂은 집이 높으며 큰 것이다. 習은 거듭한다는 뜻이다. 聽은 귀로 듣는 것이다. 이는 말하기를 “소리가 빈 골짜기 안에 있으면 서로 전해져서 그치지 않고 빈집 안에 있으면 소리가 여기에서 나서 메아리가 저기에서 호응하여 듣는 이에게 중복되도록 한다.”고 한 것이다.(≪釋義≫)
  2. 宖 : 집 울림이다.(≪說文≫)
  3. 谹 : 골 울림이다.(≪說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