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mbers/Utmost/10-1: Difference between revisions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한글: 믿음의 분별: update Korean version with the right content for the date
iwu
 
→‎한글: 믿음의 분별: update Korean version with the right content for the date
 
Line 22: Line 22:




== 한글: 믿음의 분별 ==
== 한글: 산 정상의 영역 ==


''마 17:20 “너희가 만일 믿음이 한 겨자씨 만큼만 있으면….”''
''막 9:2 “엿새 후에 예수께서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을 데리시고 따로 높은 산에 올라가셨더니”''


우리는 하나님께서 우리의 믿음을 보시고 상을 주신다고 생각합니다. 아마 믿음의 초기 단계에서는 그럴 있습니다. 그러나 믿음에 의해서는 아무 것도 벌 수 없습니다. 믿음은 하나님과 바른 관계를 맺게 하는 것이며 하나님께서 일하실 수 있는 기회를 드리는 것입니다. 만일 당신이 성도라면 하나님께서는 당신이 하나님과 접하도록 하기 위해 종종 당신의 삶의 밑바닥을 흔들어 놓으실 것입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당신이 주님의 축복만을 누리는 감상적인 삶을 살지 않고 믿음의 삶을 살기를 원하시기 때문입니다. 믿음 생활의 초기에는 약간의 태양 빛이 내리쬐는 체험에 자리를 잡고 그 안에 믿음이 있다는 느낌과 함께 좁고 뜨거운 믿음을 갖게 됩니다. 그때는 빛이 가득하고 달콤하였습니다. 그런데 하나님께서는 오직 믿음으로만 걷는 것을 가르치시기 위해 주의 뚜렷한 축복들을 거두십니다. 이제 당신은 오직 믿음으로 걷게 되는데 이때 당신은 과거에 하나님의 축복으로 인해 기쁨을 느꼈던 때와 스릴 넘치는 간증의 때 보다 훨씬 하나님께 귀중한 사람이 됩니다.
우리는 모두 정상에 있었던 때가 있습니다. 그곳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관점에서 모든 것을 볼 있었으며 그곳에 거하길 원하였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거기에 머무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십니다. 우리의 영적 삶의 시험은 내려올 줄 아는 능력입니다. 만일 우리가 오르는 능력만 있다면 뭔가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물론 하나님과 함께 변화산 정상에 머무는 것도 위대한 일입니다. 그러나 사람이 그곳에 이르게 되는 이유는 마귀로 가득찬 이 세상에 내려와 이 세상 사람들을 영적으로 들어올리기 위함입니다. 우리는 변화산 정상에서의 체험, 해 돋는 새벽, 아름다움에 대한 애착 같은 것들을 위하여 지음을 받은 자가 아닙니다. 그러한 것들은 오직 영감을 얻기 위한 순간들일 뿐입니다. 그것이 전부입니다. 우리는 오히려 계곡을 위하여 지음을 받았습니다. 곧 일반적인 삶 속에서 우리의 실력을 증거해야 하는 것입니다. 영적 이기심은 언제나 정상에만 머물기를 요구합니다. 그래서 천사처럼 말을 하고 천사처럼 살고 싶어합니다. 그러면서 계속 산 꼭대기에만 있으려고 하는 것입니다. 정상의 시간들은 특별한 시간으로서 우리가 하나님과 동행하는 가운데 특별한 의미를 지닌 때입니다. 그러나 영적 이기심은 우리의 모든 시간을 그러한 예외적인 시간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이를 유의하십시오.


믿음은 그 본질상 시험을 거쳐야 합니다. 믿음의 실제 시험은 하나님을 신뢰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발견하는 데 있지 않고 우리 마음이 하나님의 성품을 분명하게 이해하고 있는가 하는 데 있습니다. 현실 속에서 역사하는 믿음이 되려면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어떤 고립된 기간들을 통과해야 합니다. 이때 믿음의 시험을 일상적인 삶의 훈련과 혼동하지 마십시오. 사실 우리가 믿음의 시험이라고 부르는 것들 중에는 삶 가운데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인 것들도 많습니다. 성경에서 말하는 믿음은 하나님과 모순되는 일들이 벌어지는 모든 상황 가운데서도 하나님을 믿는 것을 뜻합니다. “하나님께서 나를 죽이시더라도 여전히 나는 주를 의지하리라.” – 이것이 성경 전반에 걸쳐서 말하는 가장 고상한 믿음의 고백입니다.
우리는 이 세상에 발생하는 모든 일들은 유익한 교훈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사실 모든 일들은 교훈 이상의 것을 줍니다. 즉 인격을 빚어낸다는 사실입니다. 산 위의 정상은 우리에게 뭔가를 가르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우리를 뭔가로 “만들기” 위한 것입니다. “이 경험이 무슨 유익이 있지?”라는 질문은 가장 위험한 함정을 안고 있습니다. 영적인 세상에서는 이러한 질문에 답이 없습니다. 산 정상의 순간들은 드문 기회들이며 그 기회들은 하나님의 목적을 이루는 데에서만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Navigation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