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 Difference between revisions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add 墨悲絲染 詩讚羔羊 & 景行維賢 剋念作聖 & a section titled 筆者之基督千字文
add 墨悲絲染 詩讚羔羊 & 景行維賢 剋念作聖 & a section titled 筆者之基督千字文
Line 1: Line 1:
__FORCETOC__
<div class="blockhanja">千字文</div>
<div class="blockhanja">千字文</div>


Line 34: Line 33:
<li>[[罔談彼短 靡恃己長#罔談彼短|罔談彼短]] (망담피단) 자기의 단점을 말 안하는 동시에 남의 단점을 욕하지 말라.<br/>[[罔談彼短 靡恃己長#靡恃己長|靡恃己長]] (미시기장) 자신의 특기를 자랑말라. 그럼으로써 더욱 발달한다.</li>
<li>[[罔談彼短 靡恃己長#罔談彼短|罔談彼短]] (망담피단) 자기의 단점을 말 안하는 동시에 남의 단점을 욕하지 말라.<br/>[[罔談彼短 靡恃己長#靡恃己長|靡恃己長]] (미시기장) 자신의 특기를 자랑말라. 그럼으로써 더욱 발달한다.</li>
<li>[[信使可覆 器欲難量#信使可覆|信使可覆]] (신사가복) 믿음은 움직일 수 없는 진리이고 또한 남과의 약속은 지켜야 한다.<br/>[[信使可覆 器欲難量#器欲難量|器欲難量]] (기욕난량) 사람의 기략은 깊고 깊어서 헤아리기 어렵다.</li>
<li>[[信使可覆 器欲難量#信使可覆|信使可覆]] (신사가복) 믿음은 움직일 수 없는 진리이고 또한 남과의 약속은 지켜야 한다.<br/>[[信使可覆 器欲難量#器欲難量|器欲難量]] (기욕난량) 사람의 기략은 깊고 깊어서 헤아리기 어렵다.</li>
<li>[[墨悲絲染 詩讚羔羊#墨悲絲染|墨悲絲染]] (묵비사염) 흰 실에 검은 물이 들면 다시 희지못함을 슬퍼한다. 즉 사람도 친구를 조심하여야 함.<br/>[[墨悲絲染 詩讚羔羊#詩讚羔羊|詩讚羔羊]] (시찬고양) 시전 교양편에 문왕의 덕을 입어 남국 대부가 정직하게 됨을 칭찬하였으니 사람의 선악을 말한 것이다.</li>
<li>[[景行維賢 剋念作聖#景行維賢|景行維賢]] (경행유현) 행실을 훌륭하게 하고 당당하게 행하면 어진 사람이 된다는 것을 말함.<br/>[[景行維賢 剋念作聖#剋念作聖|剋念作聖]] (극년작성) 성인의 언행을 잘 생각하여 수양을 쌓으면 성인이 될 수 있다.</li>
</ol>
</ol>
= 筆者之基督千字文 =


= References =
= References =

Navigation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