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61
edits
Line 101: | Line 101: | ||
<ol start="82"> | <ol start="82"> | ||
<li>[[治本於農 務玆稼穡#治本於農|治本於農]] (치본어농) 다스리는 것은 농사를 근본으로 하니 중농정치를 이름.<br/>[[治本於農 務玆稼穡#務玆稼穡|務玆稼穡]] (무자가색) 때를 놓치지 말고 심고 거두는데 힘써야 한다.</li> | <li>[[治本於農 務玆稼穡#治本於農|治本於農]] (치본어농) 다스리는 것은 농사를 근본으로 하니 중농정치를 이름.<br/>[[治本於農 務玆稼穡#務玆稼穡|務玆稼穡]] (무자가색) 때를 놓치지 말고 심고 거두는데 힘써야 한다.</li> | ||
<li>[[俶載南畝 我藝黍稷#俶載南畝|俶載南畝]] (숙재남묘) 비로소 남양의 밭에서 농작물을 배양한다.<br/>[[俶載南畝 我藝黍稷]] (아예서직) 나는 기장과 피를 심는 농사일에 열중하겠다.</li> | <li>[[俶載南畝 我藝黍稷#俶載南畝|俶載南畝]] (숙재남묘) 비로소 남양의 밭에서 농작물을 배양한다.<br/>[[俶載南畝 我藝黍稷#我藝黍稷|我藝黍稷]] (아예서직) 나는 기장과 피를 심는 농사일에 열중하겠다.</li> | ||
<li>[[稅熟貢新 勸賞黜陟#稅熟貢新|稅熟貢新]] (세숙공신) 곡식이 익으면 부세하여 국용을 준비하고 신곡으로 종묘에 제사를 올린다.<br/>[[稅熟貢新 勸賞黜陟#勸賞黜陟|勸賞黜陟]] (권상출척) 농민의 의기를 양양키 위하여 열심히 한 자는 상주고 게을리 한 자는 출척했다.</li> | <li>[[稅熟貢新 勸賞黜陟#稅熟貢新|稅熟貢新]] (세숙공신) 곡식이 익으면 부세하여 국용을 준비하고 신곡으로 종묘에 제사를 올린다.<br/>[[稅熟貢新 勸賞黜陟#勸賞黜陟|勸賞黜陟]] (권상출척) 농민의 의기를 양양키 위하여 열심히 한 자는 상주고 게을리 한 자는 출척했다.</li> | ||
<li>[[孟軻敦素 史魚秉直#孟軻敦素|孟軻敦素]] (맹가돈소) 맹자는 그 모친의 교훈을 받아 자사문하에서 배웠다.<br/>[[孟軻敦素 史魚秉直#史魚秉直|史魚秉直]] (사어병직) 사어라는 사람은 위나라 태부였으며 그 성격이 매우 강직하였다.</li> | <li>[[孟軻敦素 史魚秉直#孟軻敦素|孟軻敦素]] (맹가돈소) 맹자는 그 모친의 교훈을 받아 자사문하에서 배웠다.<br/>[[孟軻敦素 史魚秉直#史魚秉直|史魚秉直]] (사어병직) 사어라는 사람은 위나라 태부였으며 그 성격이 매우 강직하였다.</li> | ||
Line 129: | Line 129: | ||
<li>[[嫡後嗣續 祭祀蒸嘗#嫡後嗣續|嫡後嗣續]] (적후사속) 적실 즉 장남은 뒤를 계승하여 대를 잇는다.<br/>[[嫡後嗣續 祭祀蒸嘗#祭祀蒸嘗|祭祀蒸嘗]] (제사증상) 제사하되 겨울제사는 증이라하고 가을제사는 상이라 한다.</li> | <li>[[嫡後嗣續 祭祀蒸嘗#嫡後嗣續|嫡後嗣續]] (적후사속) 적실 즉 장남은 뒤를 계승하여 대를 잇는다.<br/>[[嫡後嗣續 祭祀蒸嘗#祭祀蒸嘗|祭祀蒸嘗]] (제사증상) 제사하되 겨울제사는 증이라하고 가을제사는 상이라 한다.</li> | ||
<li>[[稽顙再拜 悚懼恐惶#稽顙再拜|稽顙再拜]] (계상재배) 이마를 조아려 선조에게 두번 절한다.<br/>[[稽顙再拜 悚懼恐惶#悚懼恐惶|悚懼恐惶]] (송구공황) 송구하고 공황하니 엄숙하고 공경함이 극진하다.</li> | <li>[[稽顙再拜 悚懼恐惶#稽顙再拜|稽顙再拜]] (계상재배) 이마를 조아려 선조에게 두번 절한다.<br/>[[稽顙再拜 悚懼恐惶#悚懼恐惶|悚懼恐惶]] (송구공황) 송구하고 공황하니 엄숙하고 공경함이 극진하다.</li> | ||
<li>[[牋牒簡要 顧答審詳#牋牒簡要|牋牒簡要]] (전첩간요) 글과 편지는 간략함을 요한다.<br/>[[牋牒簡要 顧答審詳]] (고답심상) 편지의 회답도 용건을 잘 알수 있게 써야 한다.</li> | <li>[[牋牒簡要 顧答審詳#牋牒簡要|牋牒簡要]] (전첩간요) 글과 편지는 간략함을 요한다.<br/>[[牋牒簡要 顧答審詳#顧答審詳|顧答審詳]] (고답심상) 편지의 회답도 용건을 잘 알수 있게 써야 한다.</li> | ||
<li>[[骸垢想浴 執熱願凉#骸垢想浴|骸垢想浴]] (해구상욕) 몸에 때가 끼면 목욕하기를 생각하며.<br/>[[骸垢想浴 執熱願凉#執熱願凉|執熱願凉]] (집열원량) 더우면 서늘하기를 원한다.</li> | <li>[[骸垢想浴 執熱願凉#骸垢想浴|骸垢想浴]] (해구상욕) 몸에 때가 끼면 목욕하기를 생각하며.<br/>[[骸垢想浴 執熱願凉#執熱願凉|執熱願凉]] (집열원량) 더우면 서늘하기를 원한다.</li> | ||
<li>[[驢騾犢特 駭躍超驤#驢騾犢特|驢騾犢特]] (여라독특) 나귀와 노새와 송아지 즉 가축을 말함.<br/>[[驢騾犢特 駭躍超驤#駭躍超驤|駭躍超驤]] (해약초양) 뛰고 달리며 노는 가축의 모습을 말함.</li> | <li>[[驢騾犢特 駭躍超驤#驢騾犢特|驢騾犢特]] (여라독특) 나귀와 노새와 송아지 즉 가축을 말함.<br/>[[驢騾犢特 駭躍超驤#駭躍超驤|駭躍超驤]] (해약초양) 뛰고 달리며 노는 가축의 모습을 말함.</l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