釋紛利俗 竝皆佳妙

From Han Wiki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천자문 | Previous 恬筆倫紙 鈞巧任釣 | Next 毛施淑姿 工顰姸笑


釋紛利俗하니 [注 1][注 2]皆佳妙[注 3]라 (釋●紛利◑俗●하니 竝◑皆佳妙◉라)

()〈위 8사람은〉 어지러움을 풀고 세속을 이롭게 하니, 아울러 모두 아름답고 오묘하였다.

上文八子는 技術之巧가 固有長短得失이나 而要之皆能釋紛而利俗也라
言其技術俱佳美也라

위 글에 나온 여덟 사람은 기술의 精巧함이 진실로 長短과 得失이 있으나, 요컨대 모두 어지러움을 풀어주고 세속을 편리하게 한 것이다.
그 기술이 모두 아름다움을 말한 것이다.

[節旨] 이것은 기물 사용의 날카로움과 伎藝의 정밀함을 집에 거처하는 이는 모두 갖추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한 것이다.(≪釋義≫)
[節解] 이 몇 가지는 모두 번잡한 것을 풀고 어지러운 것을 다스릴 수 있어서 세상의 쓰임에 편하고 우수하며 아름답다고 말한 것이다.(≪釋義≫)

釋紛利俗

釋紛利俗

(韓) 이상 팔인의 재주를 다하여 어지러움을 풀어 풍속에 이롭게 하였다.

(簡) 분주함과 이익됨을 해석하여

註釋:以上 八人의 재주를 다하여 어지러움을 풀어 풍속에 이롭게 하였다. 글 뜻풀이:1. 풀어서 3. 이롭고 2. 많은 4. 풍속을 이루었다. 要略:아래에 표기한 八人의 각각 다른 장기를 이롭게 풀어서 행하는 俗을 만들었다. 낫 글 뜻 : 釋은 置也에서 둘 석(釋), 註解에는 주낼 석(釋).본문의 뜻을 알기 쉽게 註解를 달아 풀이함. 또는 (註釋; 이해하기 쉽도록 풀이함.(notes). (annotation), 몇 사람의 연구가 풀어서 발명품이 나온 결과로 많은 이들이 이익을 보게 되니 미풍양속도 함께 전해진다는 뜻이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229句에서 呂布의 화살 잘 쏘는 뛰어난 武藝와 宜遼의 환 잘 던지는 놀이의 개발은 민속놀이로 즐기는 가락을 보였다. 230句에는 혜금완소(혜琴阮嘯)에서 혜康은 거문고를 잘 타고 阮籍은 휘 바람을 잘 불어 口技를 보여 즐겁게 했다 魏國 혜강(혜康)은 거문고를 잘 타고 阮籍은 휘파람을 잘 불었다 231句에서 몽염(蒙恬)은 토끼털로 붓을 만들었고, 蔡倫은 종이를(製紙技術)개발. 232句에서 마鈞은 指南車를 만들고, 任公子는 낚시를 만들었다. 염필륜지(恬筆倫紙) 진구의 蒙恬은 토끼털로 처음 붓을 만들었고 후한(後漢) 蔡倫은 처음 종이를 만들었다. 여기에서는 앞에 읊은 230句에서 234句까지가 즉(115對句~117對句)의 技巧人들의 發明 業積을 높이評價함과 그로 因하여 어려운 亂局을 풀고 이로운 風俗을 남겨 豊饒로 움을 나타낸 것으로 小數人의 기발한 發明品들로 하여금 많은 분을 이롭게 하고 좋은 풍속을 남게 했다는 뜻이다. 놓을 석(釋), 풀 석(釋). 의심이나 오해가 사라지다 , 벗을 석(釋).석의(釋衣;옷을 벗음), 석가 석(釋). 널리 승려라는 뜻으로도 쓰임, 번잡할 분(紛), 어지러울 분(紛). 분분(紛紛), 많을 분(紛), 이로울 리(利). 편리(便利), 날카로울 리(利). 예리(銳利), 이익 리(利). 사리(私利), 힘 리(利). 권리(權利), 승전 리(利). 승리(勝利), 풍속 속(俗), 익을 속(속), 속될 속(俗). 속악(俗惡; 고상하지 못하고 천하게 보임),

한자 유래

석분이속(釋紛利俗)에서 '분(紛)'은 많은 물건(物件)이 이것 저것 섞이어 어지러운 모양(模樣)이다. 석분(釋紛)은 그 어지러운 것을 해결(解決)한다는 뜻이다. 이속(利俗)은 세상의 사람들을 이롭게 하다는 뜻이다. "사기(史記)" '노중련전(魯仲連傳)'에 보면 평원군(平原郡)이 1000금을 보내서 노중련의 장수(長壽)를 축하(祝賀)하자 노중련(魯仲連)이 말하기를, '천하(天下)의 선비들이 귀(貴)하게 여기는 일은, 남을 위하여 근심을 없애주고 어려운 일을 풀어주며 시끄럽고 어지러운 것을 해결해주고서도 사례(謝禮)를 받지 않는 것이다'라고 했다는 내용(內容)이 있다. 옛 사람들이 생각하는 진정(眞正)한 선비의 품성(品性)이란 이렇듯 고매(高邁)하다.

풀 석(釋)의 구성(構成)은 분변(分別)할 변(釆)과 엿볼 역(睪)으로 이루어졌다. 변(釆)은 차례로 난 짐승의 발자국 모양(模樣)을 본뜬 상형글자인데, 즉 그 발자국을 보고서 어떤 짐승인지 ‘분별하다’는 뜻이 담겨 있다. 역(睪)은 사람 눈을 상형한 목(目)을 옆으로 뉘인 모양과 다행 행(幸)으로 구성되었다. 행(幸)은 갑골문(甲骨文)에도 보이는데, 죄수(罪囚)들의 목과 팔다리에 채우는 형구(刑具)의 일종인 ‘칼’로 보여 진다. 그러나 대부분 소전체(小篆體)에 그려진 자형을 보고서 일찍 죽을 요(夭)와 거스를 역(逆)자에서 쉬엄쉬엄 갈 착(辶)이 생략(省略)된 글자로 파악(把握)해 일찌감치 죽는 요절(夭折)을 거절(拒絶)하여 면했으니(逆) 다행이라는 의미(意味)로 풀이한다. 갑골문(甲骨文)에 그려진 자형대로 풀이하자면 아마도 ‘목과 팔다리에 칼을 채우지 않았음을 다행’으로 여긴다는 교훈(敎訓)적 의미가 담긴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역(睪)은 형구의 일종인 칼(幸)을 채운 죄수가 눈(目)을 힐끔거리며 눈치를 본다는 데서 ‘엿보다’의 뜻을 지니게 되었다. 따라서 석(釋)의 전체적인 의미는 죄를 지은 죄인이 찬 형구인 칼(睪)을 풀어주니 발걸음을 놓아 간다(釆)는 데서 ‘풀다’ ‘놓아주다’는 뜻을 지니게 되었으며, 또한 죄인의 입장(立場)에서는 풀려나니 ‘기뻐하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어지러울 분(紛)의 구성(構成)은 뜻을 나타내는 실 사(糸) 부(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나누어지다는 뜻의 분(分)으로 이루어진 형성문자(形聲字)이다. 실(糸)이 흩어져 엉클어진다는 뜻이다. 헝클어질 분(紛)자는 '실(糸)이 헝클어지다'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실 사(糸)'가 의미요소로 씌였다. 후에 '뒤엉키다', 어수선하다', 어지럽다' 등으로 쓰임새가 넓어진다. 분(分)자는 나눈다는 의미의 '八'이 숫자 '8'로 가차(假借) 되어 쓰이자 칼(刀)을 더해 '나눌 분(分)'자를 만들었다. 그러니 분(分)자는 칼로 '나눈다'라는 뜻이다. 관련 한자인 분규(紛糾)은 실타래(멱)가 나뉘어(分, 풀려)있는 모습(模襲)이다. 자연히 실은 복잡(複雜)하게 엉키게 된다. 그래서 '어지럽다'는 뜻을 가진다.

이로울 리, 이(利)의 구성(構成)은 벼 화(禾)와 칼 도(刂)로 이루어졌다. 화(禾)는 볏 대(木)에서 이삭이 여물어 드리워진(丿) 모양(模樣)을 본떠 만든 상형글자로 ‘벼’를 뜻한다. 특히 벼는 곡식 (穀食) 중에서도 가장 으뜸인 점을 감안(勘案)하여 모든 곡식(穀食)의 총칭으로 쓰이기도 한다. 도(刂)는 刀(도)의 간략형으로 한 쪽 날만을 세운 칼이다. 오늘날 주로 주방(廚房)에서 쓰는 칼과 같이 한 쪽 면만 날을 세우고 다른 한 면은 양념 등을 다질 수 있도록 등을 만든 것을 ‘도(刀)’라고 한다. 이에 비해 여럿이라는 뜻을 지닌 다 첨(僉)과 칼 도(刀)로 짜인 검(劍)은 양 날을 지닌 칼을 뜻한다. 따라서 리(利)의 전체적인 의미(意味)는 잘 여물어 고개 숙인 벼이삭(禾)을 날카로운 칼(刂)로 알곡을 수확(收穫)한다는 데서 ‘이롭다’는 뜻뿐만 아니라 도(刂)의 뜻을 살려 ‘날카롭다’는 뜻도 아울러 지니게 되었다.

풍속 속(俗)은 사람 인(亻)과 골짜기 곡(谷)으로 구성(構成)되었다. 여기서 곡(谷)은 자연스레 생긴 계곡(溪谷)이나 강물을 의미(意味)한다. 요즘처럼 다리가 건설(建設)되기 전에는 강이나 계곡(谷)을 경계로 사람들(亻)이 모여살기 마련인데, 교통이 원활(圓滑)하지 않기 때문에 강 건너편과 관습(慣習)이나 풍속(風俗)이 다를 수밖에 없었다. 성부인 곡(谷)자는 '풍속 속(俗)'자의 본의(本義)를 담고 있다. 곡(谷)자는 산등성이에서 산기슭으로 향한 주름을 겹쳐 그리고 그 입구(入口)를 그렸거나 계곡의 물줄기가 계곡의 입구를 통해 평원(平原)으로 흐르는 '골짜기'를 뜻하는 상형자(象形字), 회의자(會意字)이다. 그런데 곡(谷)자는 골짜기가 두 산 사이에 깊숙하게 패어서 좁기 때문에 '좁은 길'을 뜻하기도 한다. 이런 장소(場所)에서 사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흔한 일들을 나타내는 속(俗)자는 사람(亻)이 사는 골짜기(谷)의 '풍속, 속되다, 범속(凡俗)하다, 속인(俗)'을 나타낸다.

竝皆佳妙

竝皆佳妙

(韓) 모두가 아름다우며 묘한 재주였다.

(簡) 모두가 아름답게 하며

註釋:모두가 아름다우며 묘한 재주였다. 글 뜻풀이:1. 아름답고 3. 아름다운 2. 다가 4. 묘한 재주였다. 要略: 위의 八人의 펼친 재주는 다 아름답다. 낫 글 뜻:아우를 병(竝), 다 개(皆), 아름다울 가(佳), 묘할 묘(妙) 學習考:위의 학습은 매우 힘 드는 내용이다. 그 이유는 229句에서 232句까지 읊은 內容을 두글句에 나타냈다는 것은 풀이를 매우 어렵게 했지만 뜻풀이의 원칙에 따라 많은 글 뜻을 깔아 놓고 보면 가장 합리적이고 정확한 표현과 요약을 할 수 있었다.이 대목은 위에서 擧名된 8名의 技巧人들이 中國의 梁나라 周興嗣의 敍事詩을 타고 後世에 까지 그 이름이 傳해지는 구나.

한자 유래

석분이속(釋紛利俗)하고 병개가묘(竝皆佳妙)라 함은, 얽힌 것을 풀며 나누고 베풀어 세상을 이롭게 한다는 뜻이다. 즉 모두 다 아름답고 오묘하여 빈틈없다. 따라서 앞절의 여포의 사술과 웅의료의 농환은 적으로 하여금 싸움을 중지하게 하고 적의 허점을 이용 우리 편을 승리로 이끌었고, 몽염, 채륜. 마균, 임공자는 세상 사람들에게 편리함을 주었으니 이런 일은 착하고 아름다워서 지극히 절묘한 행위 였다고 할 수 있다. 분란을 해결하여 세상 사람들에게 편리함을 주었으니 이 사람들은 모두가 다 아름답고 묘한 자들이다.

나란히 병(竝)의 구성(構成)은 두 사람이 가로 늘어선 모양(模樣)으로 나란히 하다의 뜻이다. 병(並)과 동자(同字)이다. 아우를 병(竝)은 설 립(立) 변(邊)에 설 립(立)을 한 문자이다. 훈(訓)이 닮은 문자로는 어우를 병(幷)과 나란히 할 병(倂)이 있다. 병(竝)의 자원(字源)은 '立+立'의 결합(結合)으로 사람이 땅 위에 서있는 모양인 '립(立)'을 두개 겹쳐놓아 나린히 서있다는 의미를 생성(生成)한다.주의한자인 '병(倂)'은 '사람이 아우르다'는 의미에서 '나란히 하다'는 뜻으로, '竝'과 통용(通用)해서 사용된다. 그 예로 합병(合倂)이다. 또 다툴 경(競)은 본래 '言言' 밑에 '人人'의 결합으로 두 사람이 서로 말로 다툰다는 의미에서 '겨루다'는 뜻을 생성한다. 예로 경쟁(競爭)이다. 관련 성어(成語)로는 걸불병행(乞不竝行)인데, 거지도 나란히 서서 다니지 않는다는 뜻이다. 따라서 성부인 병(並)자는 ‘널리 보(普)’자의 본의(本義)를 담고 있다. 이에 병(並)자는 땅 위에 나란히 서있는 두 사람 꼴로 ‘나란하다, 아우르다(竝)’라는 뜻이다. 따라서 멀리서 보기에는 해가 작게 보이지만 나란히 서있는 만인에게 두루 똑같이 비추는 해의 규모(規模)를 나타내는 병(竝)자는 해(日)가 모두에게 나란히(並) 똑같이 비출 정도로 ‘넓다(普)’라는 뜻이다. 병(竝)자는 사람이 서있는 모습(模襲)을 본떠 만든 립(立)자가 두개 나란히 있는 글자로, '나란히 하다'는 뜻이다. 병렬(竝列)은 나란히 늘어서 있다는 뜻을 나타낸다.

다 개(皆)는 견줄 비(比)와 고백(告白)에서처럼 ‘말하다’는 뜻으로 쓰인 말할 백(白)으로 이루어졌다. 比(비)는 두 사람이 어깨를 나란히 하고서 앉아(匕) 있다는 데서 ‘견주다’ ‘나란히 하다’의 뜻이 발생했다. 여기서 개(皆)자는 본디 그릇에 숟가락들이 드나드는 꼴로 공통생활(共通生活)에서 한 솥 음식(飮食)을 모두 함께 먹는다는 의미(意味)에서 ‘모두, 다, 두루 미치다(皆)’라는 뜻이다. 그런데 후에 국자 꼴은 사람이 서서 줄을 지어 견주는(比) 꼴로, 그릇은 말(白)로 바뀌어 모두 함께 말을 늘어놓는다는 의미에서 ‘모두, 다, 함께(皆)’라는 뜻이 되었다. 이에 따라 개(皆)는 여러 사람(比)이 다 같이 찬동(讚同)하며 말한다(白)는 데서 ‘모두’ ‘다’라는 뜻을 지니게 되었다.

아름다울 가(佳)의 구성(構成)은 사람이 서있는 모양(模樣)을 상형한 사람 인(亻)과 홀 규(圭)로 이루어져 있다. 규(圭)는 흙 토(土)를 겹쳐 쓴 형태(形態)인데, 고대인들이 하늘에 제(祭)를 올리기 위해 흙을 쌓아 만든 제단(祭壇)을 의미(意味)한다. 천제와 같은 제의는 천자가 직접 올리는 중대사였기 때문에 참가자가 엄격히 제한될 뿐만 아니라 반드시 신분을 표시한 홀을 들어야 한다는 데서 ‘홀’이라는 뜻을 지녔지만, 본래 홀을 뜻하는 글자는 ‘홀 규(珪)’와 ‘홀 홀(笏)이었다. 한 자 쯤의 길이에 두 치 폭의 홀은 그 신분에 따라 1품부터 4품까지는 상아나 옥으로 만든 홀(珪)을 들었고, 5품 이하는 대나무나 나무로 만든 홀(笏)을 들어 신분표시를 하였다. 이 홀은 조례(朝禮)나 주요행사 때면 항상 지녀야 되는 신분 표식이었다. 따라서 佳(가)의 전체적인 의미는 홀(圭)을 들고 있는 사람(亻)은 의복을 모두 잘 갖추어 입기 때문에 ‘아름답다’ ‘좋다’는 뜻을 지니게 되었다.

묘할 묘(妙)의 구성(構成)은 여자 여(女)와 적을 소(少)로 짜여 있다. 여(女)는 무릎을 꿇고서 두 손을 모아 신에게 기도하는 사람을 그려낸 상형글자이다. 모계사회 때 만들어진 글자로 당시에는 남자보다는 여자가 중심이 되어 제사를 주도하게 되었는데, 이후 부계사회로 넘어오면서 여자를 지칭하는 대명사로 남게 되었다. 아직 어리다는 뜻도 함께 지닌 소(少)로 만들어졌다. 초기글자인 갑골문(甲骨文)을 살펴보면 ‘작다’는 뜻을 지닌 ‘소(小)’는 세 개의 점으로, 그리고 소(少)는 네 개의 점으로 표시되었다. 두 글자 모두 작은 뭔가를 표시한 것으로 새겨져 있다. 이러한 소(小)에 대해 허신(許愼)은 "설문(說文)"에서 “소(小)는 사물(事物)이 아주 작다는 뜻이며 팔(八)로 구성되었다.”고 하였다. 즉 어떤 사물(丨)을 반으로 나누었기(八) 때문에 작아졌다는 의미로 해석(解釋)하고 있다. 또한 소(少)에 대해서는 소(小)를 의미요소로 ‘丿’모양을 소리요소 파악(把握)하였다. 일반적으로 소(小)는 어떠한 사물(事物)이 ‘작다’는 뜻으로, 그리고 소(少)는 ‘적다’는 의미로 구분(區分)하여 활용하고 있으나 고대에는 거의 동일한 의미로 쓰였다. 이 묘(妙)자 는 한나라 때 제작된 "설문해자(說文解字)"에 수록(收錄)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그 이후에 제작된 글자로 보인다. 이에 따라 묘(妙)의 의미는 체구가 작고 젊은(少) 여자(女)라는 데서 ‘예쁘다’ ‘오묘하다’ ‘젊다’의 뜻을 지니게 되었으며, 묘령(妙齡)이라 하여 스물 안팎의 꽃다운 나이의 여자를 말하기도 한다.

  1. 釋紛利俗 竝皆佳妙 : 釋은 푼다는 뜻이다. 紛은 煩亂스럽다는 뜻이다. 利는 편하다는 뜻이다. 俗은 세속이다. 竝은 아울러이다. 皆는 모두이다. 佳는 아름답다는 뜻이다. 妙는 좋음이다.(≪釋義≫)
  2. 竝 : 並(아우를 병)과 같다.(≪中≫)
  3. 妙 : 竗(묘할 묘)와 같다.(≪註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