庶幾中庸 勞謙謹勅

천자문 | Previous 孟軻敦素 史魚秉直 | Next 聆音察理 鑑貌辨色


庶幾中庸이면 勞謙謹[注 1][注 2]하라 (庶◑幾中庸이면 勞謙謹◯勅◉하라)

()〈힘써〉 거의 中庸에 이르려면, 근로하고 겸손하며 삼가고 경계해야 한다.

中庸은 不偏不倚無過不及而平常之理니 人所難能이나 而亦庶幾勉而至也라
勤勞謙遜하고 畏謹勅勉이면 則可以戒愼恐懼[注 3]하여 而庶幾中庸也리라

中庸은 치우치지 않고 기울지 않으며 지나치거나 못 미침이 없어서 평상의 이치이니, 사람이 능하기 어려우나 또한 거의 힘써 이르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근로하고 겸손하며 삼가고 힘쓰면 戒愼恐懼(경계하고 조심함)하여 중용에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다.

庶幾中庸

庶幾中庸

(韓) 어떠한 일이나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일하면 안 된다.

(簡) 기이한 일은 떳떳한 가운데 이루어져야 하며

어떠한 일이나 한쪽으로 기우러 지게 일하면 안 된다.[여러 서(庶):이것.저것, 무리 서(庶):때지어 모임, 많을 서(庶):다수 풍성할 서(庶):넉넉하고 많음]이 모두가 바라건대 서(庶) 로 집약됨. [중 중(中):과불급(過不及)이 없는 道]로 풀이 되는 고로 어떠한 일이든 한쪽으로 기우러 지게 하면 안이된다. 귀결(歸結:어떤 일의 결과)을 말함. 여러 서(庶), 무리 서(庶), 많을 서(庶), 1.바라건대 서(庶), 풍성할 서(庶), 서자 서(庶).몇 기(幾), 바랄 기(幾), 2.거의 기(幾), 얼마 기(幾), 어찌 기(幾), 어찌 기(豈)와 통용, 빌미 기[(豈:조짐(兆朕)].가운데 중(中), 3. 중 중(中)은. [과불급(過不及)이 없는 道]. 4.중용(中庸)을 이름, 안 중(中), 뚫을 중(中).꿰뚫음. 백발백중(百發百中).떳떳할 용(庸). 보통임, 어리석을 용(庸).우매함, 어찌 용(庸). 어찌 기(豈)와 뜻이 같다.

한자 유래

서기(庶幾)란 많은 사람이나 또는 많은 부분(部分)이 장차 어떤 정해진 방향(方向)으로 움직이거나 변화(變化)하려는 조짐(兆朕)을 뜻한다. 중용(中庸)'은 글자 그대로 양쪽 가장자리가 아닌 가운데에, 그리고 주요한 역할(役割)이 아닌 보조적인 역할을 미덕(美德)으로 여기는 자기 통제 의식(統制意識)을 뜻한다. 고대 중국인들은 그들의 경험(經驗)에서 사물은 무한히 발전(發展)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한계(限界)에 이르면 다시 처음으로 회귀(回歸)하는 순환 운동(循環運動)을 반복한다는 이른바 '물극필반(物極必反)'의 변증법(辨證法)적 원리를 터득(攄得)하였다.

여러 서(庶)의 구성(構成)은 집 엄(广)과 스물 입(卄) 그리고 불 화(灬)로 짜여 있다. 엄(广)은 한쪽 벽면이 트인 우마차를 보관(保管)하는 창고(庫)나 관공서(廳)와 같은 건물(建物)을 뜻한다. 입(卄)은 열 십(十) 두 개가 겹친 것으로 스물을 뜻한다. 화(灬)는 불 화(火)와 같은 뜻으로 주로 자형의 하부에 놓이며 모닥불이란 뜻을 지닌다. 따라서 그 의미(意味)는 한쪽 벽면이 트인 건물(广) 안에 따뜻한 모닥불(灬)을 피우고 많은 사람(卄)들이 불을 쬐고 있는 모습(模襲)을 본떠 ‘무리’나 ‘여러 사람’이란 뜻을 지니게 되었다.

몇, 기미 기(幾)는 두 가닥의 실(絲)을 나타내는 작을 요(幺)와 사람 인(人), 창 과(戈)가 합(合)쳐진 형태(形態)로 창을 든 사람이 작은(么么) 기미(幾微)를 경계(警戒)하여 살피는 모습(模襲)이다. 또 기(幾)자는 사람(人)이 베틀(戈)에서 실(么)을 짜는 모습으로 보기도 하는데, 베틀의 섬세(纖細)한 움직임이나 조그만 기미(幾微)를 살펴 베를 짜는 것에서 의미(意味)가 파생(派生)되어 '몇, 얼마'의 의미(意味)가 생(生)겨난다.

가운데 중(中)은 간단한 자형(字形)임에도 다양(多樣)한 의견(意見)이 제시(提示)되고 있다. 갑골문(甲骨文)에 새겨진 모양(模樣)은 어떠한 공간(空間)을 나타낸 ‘口’모양에 긴 장대(丨)를 세워둔 모양(模樣)인데, 장대의 상부에는 두세 가닥의 깃발도 함께 그려져 있다. 현재의 자형(字形)은 소전(小篆)에서 보다 간략(簡略)하게 이루어진 것이다. 문제(問題)는 가운데 쓰인 ‘口’모양(模樣)에 대해 부족(部族)이 모여 사는 마을이라는 설, 바람의 방향을 측정(測定)하기 위한 판이라는 설, 장대의 그림자로 시간을 알기위해 달아 놓은 나무틀이라는 설, 해의 변형(變形)으로 정오(正午)를 뜻한다는 설 등이다. 갑골문(甲骨文)과 금문(金文)을 참조(參照)할 때, 마을(口)의 중앙광장에 부족(部族)의 상징(象徵)인 깃발을 단 장대(丨)를 세웠다는 데서 ‘중앙’ ‘가운데’라는 뜻을 지닌 것으로 유추(類推)할 수 있다.

쓸 용(庸)자는 엄부(广部) 글자로 형부인 '고칠 경(庚)'과 성부인 '쓸 용(用)'으로 된 형성자(形聲字)로 '고쳐서 쓰다(庸)'라는 뜻이다. 물자(物資)가 부족(不足)할 때처럼 평소에 고쳐 쓰는 행위(行爲)는 범상(凡常)하고 떳떳하여 그 수고가 공적(功績)이 된다. 그러나 물자가 풍족(豊足)하면 고쳐 쓰는 것을 어리석게 생각한다. 이와 같은 배경(背景)에서 용(庸)자는 '쓰다, 평소, 범상하다, 떳떳하다, 공적, 수고, 어리석다'라는 뜻이 있다. 또한 '쓸 용(用)'과 '다시 고칠 경(庚)'으로 이루어졌으므로 자형적 의미(意味)는 '두번째로(또는 보충적으로)쓰는 물건이나 사물'이 된다. 옛날에는 성곽(城郭)을 축조(築造)할 때 주성(主城)을 먼저 쌓고 그 바깥에 제2의 보조 성을 다시 쌓았다. 이것을 '용(庸)' 또는 '부용(附墉)'이라고 불렀다. 그러니까 '담 용(墉)'자는 '용(庸)'자의 후출자(後出字)가 되는 셈이다.

勞謙謹勅

勞謙謹勅

(韓) 근로하고 겸손하며 삼가고 신칙하면 중용의 도에 이른다.

(簡) 지나침을 삼가고, 겸손함에 노력하며

근로하고 겸손하며 삼가 하고 타이르면 중용의 도에 이른다.(이것은 중용의 도를 말 함이다) 1.勤勞하고, 3.삼가 하고, 2.겸손하며, 4.신칙 하면 앞의 구(句) 뜻에 이른다.[신칙(申飭):단단히 일러서 경계함] 1.수고할 로(勞). 힘 드림. 애씀, 노곤할 로(勞).고달픔, 괴로워할로(勞).근심함. 노심초사(勞心焦思), 위로할 로(勞). 수고한 것을 치하함, 2.겸손할 겸(謙). 제 몸을 낮춤. 또는 남에게 양보함, 3.삼가 할 근(謹). 사물에 주의함, 근신(謹愼). 자성(自省)함. 칙서 칙(勅), 삼갈 칙(勅). 조신(操身)함. 조심함, 4.신칙할 칙(勅).타이름. 경계함, 조서 칙(勅). 제왕의 선지(宣旨: notion a royal command privately). 임금의 명령을 널리 펴서 알림. 또는 그것을 적은 문서. 學習考:句解에서 庶幾(庶)는 대중이라는 뜻이고 기(幾)는 미소(微少)한 것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庶幾는 바란다는 뜻을 갖는다. <<맹자>>공손축(公孫丑)에 "왕은 이를 개정 할 것을 바라노라(王庶幾改之) " 고 하는 구절이 있다. 중용(中庸) 中은 과불급(過不及)이 없다는 뜻이고, 용(庸)은 불역(不易) 이라고 했다. 또 中과 용을 구별하여 中은 불편불의(不偏不倚:치우침이 없고,의지함이 없다), 용은 보통(平常) 라고 했다. 故로 中庸은 "어느 쪽으로도 치우침이 없는 중정(中正)이라는 뜻이다 (moderation). 또 하나의 뜻은 재능이 보통임. 또는 사람 (mediocrity) 로겸(勞謙)은 힘써 일하며 겸손 하다는 뜻이고, 근칙(謹勅)은 삼가 경계하다. <<한서>>원후전(元后傳)에 사대부라(士大夫)라면 감히 죽음으로써 근칙(謹勅)을 보지(保持)한다. 는 글이 있다. 四書中의 하나인 中庸은 儒敎의 經典이다.(著者:公子의 孫子인 子思이다)

  • 위의 역사적 배경에서 표현되는 사안들은 후일에 깊이 마음속에 새겨 두고 항상 자기의 직무에 부지런 하며 결코 자기가 남 보다 잘났다고 자만 하지말고 자기 분수에 맞추어 겸손하고 과실이 없도록 자기 몸을 경계하고 바로 자바라는 경고(警告)임을 자각 할 것이다.

한자 유래

서기중용(庶幾中庸이면 노겸근칙(勞謙謹勅)에서 중용(中庸)에 가까워지려면, 부지런히 일하고 겸손(謙遜)하고 삼가고 경계(警戒)하는 것이 중용(中庸)을 실천하고 이루는 길이 ;험난함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또 부지런히 일하고 겸손하고 삼가고 경계해야 하는 일을 실천(實踐)하는 것도 보통(普通) 일이 아니다. 단지 중용(中庸)에 가까워질 뿐 결코 중용(中庸)을 이룬 것은 아니다는 ;말이>다.

일할 노, 로(勞)의 구성(構成)은 등불 형(熒)의 생략형(省略形)과 힘 력(力)의 짜여 있다. 형(熒)은 불꽃 개(炏)와 덮을 멱(冖) 그리고 불 화(火)로 구성(構成)되었는데, 등잔(燈盞)에 감싸인(冖)인 심지(火)에서 불꽃(炏)이 타올라 사방을 환하게 비추는 모양(模樣)을 그려내고 있다. 력(力)에 대해 허신(許愼)은 "설문(說文)"에서 “력(力)은 힘줄이라는 뜻이다. 사람의 근육 모양(筋肉模樣)을 본떴다. 공적(功績)을 다스리는 것을 력(力)이라 하는데 큰 재앙(災殃)을 막을 수 있다.”고 하였다. 갑골문(甲骨文)의 자형(字形)은 밭을 가는 쟁기나 끝이 세 갈래인 오늘날의 쇠스랑과 같은 농기구(農器具)를 본뜬 것이다. 즉 논밭(田)에서 가래나 쇠스랑과 같은 농기구(力)를 사용(使用)하기 위해서는 사내(男)와 같은 힘이 요구(要求)됨을 표현(表現)한 것이다. 따라서 노(勞)의 전체적인 의미(意味)는 낮에는 물론 어둠이 내린 밤에도 등불(熒)을 밝히고 힘써(力) 일한다는 데서 ‘일하다’ ‘수고롭다’의 뜻이 발생(發生)했다.

겸손할 謙(겸)의 구성(構成)은 말씀 언(言)과 겸할 兼(겸)으로 짜여 있다. 언(言)은 입(口)에 나팔모양의 악기(辛)를 대고서 소리를 낸다는 뜻을 담았는데, 언(言)이 들어가는 글자는 입을 통해 소리로 묘사(描寫)하는 다양(多樣)한 행동적 양식(樣式)을 나타내게 된다. 겸(兼)은 두 개의 벼 화(禾)로 이루어진 력(秝)과 손으로 뭔가를 움켜쥔 모양(模樣)을 본뜬 우(又)의 변형(變形)인 ‘계(彐)’로 구성되었다. 여기서 화(禾)는 볏단을 뜻하는데 하나의 볏단(禾)을 손으로 잡으면(彐) 잡을 병(秉)이 되고, 두 개의 볏단(秝)을 손으로 아울러 잡으면(彐) 겸할 겸(兼)이 된다. 따라서 겸(謙)의 전체적인 의미(意味)는 할 말이 많을지라도 가능(可能)한 한데 아울러(兼) 간단명료(簡單明瞭)하게 그 핵심(核心)만을 말(言)하는 것이 곧 ‘겸손(謙遜)’이라는 뜻이다.

삼갈 근(謹)의 구성(構成)은 말씀 언(言)과 진흙 혹은 조금 근(堇)으로 짜여 있다. 근(堇)은 미세(微細)한 입자(立子)로 이루어진 진흙을 뜻하며 그래서 약간이나 조금이란 의미(意味)도 담겨 있다. 따라서 최대한 말(言) 수를 줄이고 간단히(堇) 예(禮)만 표시(表示)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삼갈 근(謹)은 ‘언(言)’과 ‘근(堇)’이 합쳐진 글자다. ‘근(堇)’은 원래 ‘붉은색’이라는 뜻인데, 중국의 고대 농경사회에서는 ‘붉은색’은 곧 ‘황토’를 의미(意味)한다. 비가 오면 대지는 푸르지만 가뭄이 들면 그 푸름은 붉은 황토(黃土)로 변한다. 그러므로 ‘근(堇)’은 ‘황토, 가뭄’을 의미(意味)한다. ‘가뭄(旱)’이 들면 농산물의 수확이 줄어든다. 이에 따라 ‘堇’은 또한 ‘부족’이라는 의미를 갖게 된다. ‘근(勤)’은 ‘진흙 근(堇)’과 ‘힘·력(力)’이 합쳐진 자(字)이므로 ‘가뭄이 든 때의 힘’을 나타낸다. 가뭄이 들게 되면 다른 때보다 더 많은 힘을 써야 하므로 ‘勤’은 ‘부지런하다’라는 뜻을 가진다. ‘근(僅)’은 ‘사람 인(人)’과 ‘근(堇)’이 합쳐진 글자다. 그러므로 ‘근(僅)’은 ‘가뭄을 만난 사람’을 나타낸다. 가뭄을 만난 사람에게는 모든 물자가 부족(不足)해진다. 따라서 ‘근(僅)’은 ‘조금, 겨우, 간신히’라는 뜻을 갖는다. ‘근(謹)’의 ‘근(堇)’은 ‘부족’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근(謹)’은 ‘말이 부족하다’, 즉 ‘말이 적다’라는 뜻이다. 사람은 조심(操心)해야 할 때, 상대를 존중(尊重)할 때, 공손(恭遜)한 자세를 취할 때 말이 적어진다. 그러므로 ‘근(謹)’은 ‘조심(操心)하다, 공손(恭遜)하다, 삼가다’라는 뜻을 함께 갖는다.

칙서 칙(勅)은 칙(敕)이 동자(同字)이다. '팔의 모양(模樣)', '힘써 일을 하다'의 힘 력(力) 부(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속, 칙(束)이 합(合)하여 이루어진 형성문자(形聲字)다. 훈계(訓戒)하여 바르게 '하다'의 뜻이다. 전(轉)하여 훈계의 말이다. 한초(漢椒)부터는 천자(天子)의 말로, 명령(命令)을 칙(勅)이라고 하게 되었다. 관련 한자로는 채찍질할 책, 칙서 칙, 신칙할 칙(敕)의 통자(通字)이다. 즉 칙(勅)은 힘 력(力) 변(邊)에 묶을 속(束)을 한 문자로 신칙하다(誡), 칙령(天子制書) 등의 뜻이 있으며, 속(束)은 나무 목(木) 몸에 입 구(口)를 한 문자이다. 따라서 칙(勅)의 전체적 의미(意味)는 묶을 속(束)자와 힘 력(力)자를 더해 '왕이 신민(臣民)들을 어떤 명령이나 금칙(禁則) 안에 묶어서 꼼짝 못하게 한다'는 뜻을 나타낸 '칙서 칙, 칙령 칙(勅)'자의 뜻을 담고 있다.

  1. 庶幾中庸 勞謙謹勅 : 庶幾는 가깝다는 말이다. 치우치지 않음을 中이라 한다. 바뀌지 않음을 庸이라 한다. 勞는 부지런하다는 뜻이다. 謙은 공손하다는 뜻이다. ≪周易≫ 〈謙卦 九三〉에 “공로를 세우고 겸손하니, 군자가 좋은 마무리를 두어 길하다.” 하였다. 謹은 신중하다는 뜻이다. 勅은 경계한다는 뜻이다.(≪釋義≫)
  2. 勅 : 敕(경계할 칙)ㆍ勑(경계할 칙)과 통한다.(≪中≫)
  3. 戒愼恐懼 : ≪中庸≫ 1장의 “君子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경계하며 들리지 않는 곳에서 두려워한다.”에서 줄여 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