罔談彼短 靡恃己長: Difference between revisions

m
no edit summary
mNo edit summary
 
Line 5: Line 5:
罔<ref group="注">罔 : 網(그물 망)과 같다.(≪註解≫)
罔<ref group="注">罔 : 網(그물 망)과 같다.(≪註解≫)
罔의 本義는 ‘그물’이고, 여기서는 ‘말다’로 쓰인 것이다.</ref>談彼短하고 靡恃己長<ref group="注">罔談彼短 靡恃己長 : 罔은 경계하는 말[戒之之辭]이다. 談은 말한다는 뜻이다. 彼는 나를 상대하여 말한 것이다. 短은 잘못이다. 靡는 말라[無]는 뜻이다. 恃는 자랑한다는 뜻이다. 長은 능하다는 뜻이다. 남이 五常에 과실이 있으면 비방하지 말고, 자기가 오상에 능한 것이 있으면 자랑하지 말 것을 말하였다.(≪釋義≫)</ref>하라 (罔◯談彼◯短◯하고 靡◯恃◯己◯長◎하라)
罔의 本義는 ‘그물’이고, 여기서는 ‘말다’로 쓰인 것이다.</ref>談彼短하고 靡恃己長<ref group="注">罔談彼短 靡恃己長 : 罔은 경계하는 말[戒之之辭]이다. 談은 말한다는 뜻이다. 彼는 나를 상대하여 말한 것이다. 短은 잘못이다. 靡는 말라[無]는 뜻이다. 恃는 자랑한다는 뜻이다. 長은 능하다는 뜻이다. 남이 五常에 과실이 있으면 비방하지 말고, 자기가 오상에 능한 것이 있으면 자랑하지 말 것을 말하였다.(≪釋義≫)</ref>하라 (罔◯談彼◯短◯하고 靡◯恃◯己◯長◎하라)
상대방의 단점을 말하지 말고, 자기의 장점을 믿지 말라.
 
君子急於自修라 故不暇點檢人之長短也라 孟子曰 言人之不善하다가 其如後患何<ref group="注">如後患何 : 後患如何가 바뀐 모습이다. 따라서 ‘如……何’를 ‘如何’로 하여 ‘어찌할까’로 풀이한다.</ref>오하니 所當體念<ref group="注">體念 : 깊이 헤아리는 것[體諒]이다.(≪漢≫)</ref>이니라
([http://db.cyberseodang.or.kr/front/sabuList/BookMain.do?mId=m01&bnCode=jti_5a0901&titleId=C27 註]) 상대방의 단점을 말하지 말고, 자기의 장점을 믿지 말라.
 
君子急於自修라 故不暇點檢人之長短也라 孟子曰 言人之不善하다가 其如後患何<ref group="注">如後患何 : 後患如何가 바뀐 모습이다. 따라서 ‘如……何’를 ‘如何’로 하여 ‘어찌할까’로 풀이한다.</ref>오하니 所當體念<ref group="注">體念 : 깊이 헤아리는 것[體諒]이다.(≪漢≫)</ref>이니라<br>
己有長이라도 不可自恃니 恃則無所進益이라 書曰 有厥善이면 喪厥善이라하니 最宜警省이라 知此二句면 則可以修己矣리라
己有長이라도 不可自恃니 恃則無所進益이라 書曰 有厥善이면 喪厥善이라하니 最宜警省이라 知此二句면 則可以修己矣리라
君子는 스스로 수련하기에 급하기 때문에 남의 장점과 단점을 점검할 겨를이 없다. ≪孟子≫ 〈離婁 下〉에 말하기를 “남의 착하지 않음을 말하다가 그 후환을 어찌하겠는가!” 하였으니, 마땅히 留念하여야 할 것이다.
 
君子는 스스로 수련하기에 급하기 때문에 남의 장점과 단점을 점검할 겨를이 없다. ≪孟子≫ 〈離婁 下〉에 말하기를 “남의 착하지 않음을 말하다가 그 후환을 어찌하겠는가!” 하였으니, 마땅히 留念하여야 할 것이다.<br>
자신이 장점을 가졌더라도 스스로 믿어서는 안 되니, 믿으면 진전하는 바가 없다. ≪書經≫ 〈說命 中〉에 이르기를 “그 장점을 가졌다고 생각하면 그 장점을 잃는다.” 하였으니, 가장 경계하고 살펴야 할 일이다. 이 두 글귀를 알면 자기 자신을 수련할 수 있다.
자신이 장점을 가졌더라도 스스로 믿어서는 안 되니, 믿으면 진전하는 바가 없다. ≪書經≫ 〈說命 中〉에 이르기를 “그 장점을 가졌다고 생각하면 그 장점을 잃는다.” 하였으니, 가장 경계하고 살펴야 할 일이다. 이 두 글귀를 알면 자기 자신을 수련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