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61
edits
日本語ほんやく |
mNo edit summary |
||
Line 1: | Line 1: | ||
[[천자문]] | Previous [[日月盈昃 辰宿列張]] | Next [[閏餘成歲 律呂調陽]] [ | [[천자문]] | Previous [[日月盈昃 辰宿列張]] | Next [[閏餘成歲 律呂調陽]] [https://papago.naver.net/website?locale=en&source=ko&target=ja&url=https%3A%2F%2Fwiki.michaelhan.net%2F%25E5%25AF%2592%25E4%25BE%2586%25E6%259A%2591%25E5%25BE%2580_%25E7%25A7%258B%25E6%2594%25B6%25E5%2586%25AC%25E8%2597%258F 日本語で翻訳] | ||
---- | ---- | ||
Line 17: | Line 17: | ||
== 寒來暑往 == | == 寒來暑往 == | ||
[[File:Tc-3-1.png|left]] | [[File:Tc-3-1.png|left]][[File:ClipCapIt-190531-115501.PNG|right]][[File:ClipCapIt-190531-115522.PNG|left]] | ||
<div class="blockhanja-haeseo">寒來暑往</div> | <div class="blockhanja-haeseo">寒來暑往</div> | ||
Line 40: | Line 40: | ||
갈 왕(往)자의 상형문자(象形字)를 보면, 소리를 나타내는 임금 왕(王)자 위의 점이 원래는 발의 상형인 그칠 지(止)자이다. 따라서 갈 왕(往)자는 '발(止→丶)로 걸어서(彳) 가다'는 뜻이다.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은 '다섯(五) 개의 천축국(天竺國)을 가보고(往) 쓴 전기(傳)'로, 신라(新羅)의 승려 혜초(慧超, 704∼787년)가 고대 인도(印度)의 다섯 천축국(天竺國)을 답사(踏査)하고 쓴 여행기이다. 다섯 천축국(天竺國)은 오늘날 인도의 동부, 서부, 남부, 중부, 북부를 말한다. 천축국(天竺國)은 손오공(孫悟空)으로 알려진 중국 소설 "서유기(西遊記)"에도 나오는데, "서유기(西遊記)"는 손오공(孫悟空)과 함께 삼장법사(三藏法師)가 황제의 명령으로 불경(佛經)을 구하러 천축국(天竺國)으로 가는 이야기다. | 갈 왕(往)자의 상형문자(象形字)를 보면, 소리를 나타내는 임금 왕(王)자 위의 점이 원래는 발의 상형인 그칠 지(止)자이다. 따라서 갈 왕(往)자는 '발(止→丶)로 걸어서(彳) 가다'는 뜻이다.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은 '다섯(五) 개의 천축국(天竺國)을 가보고(往) 쓴 전기(傳)'로, 신라(新羅)의 승려 혜초(慧超, 704∼787년)가 고대 인도(印度)의 다섯 천축국(天竺國)을 답사(踏査)하고 쓴 여행기이다. 다섯 천축국(天竺國)은 오늘날 인도의 동부, 서부, 남부, 중부, 북부를 말한다. 천축국(天竺國)은 손오공(孫悟空)으로 알려진 중국 소설 "서유기(西遊記)"에도 나오는데, "서유기(西遊記)"는 손오공(孫悟空)과 함께 삼장법사(三藏法師)가 황제의 명령으로 불경(佛經)을 구하러 천축국(天竺國)으로 가는 이야기다. | ||
=== 주역 === | === 주역 === | ||
Line 63: | Line 61: | ||
== 秋收冬藏 == | == 秋收冬藏 == | ||
[[File:Tc-3-2.png|left]] | [[File:Tc-3-2.png|left]][[File:ClipCapIt-190531-115719.PNG|right]][[File:ClipCapIt-190531-115748.PNG|left]] | ||
<div class="blockhanja-haeseo">秋收冬藏</div> | <div class="blockhanja-haeseo">秋收冬藏</di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