寒來暑往 秋收冬藏: Difference between revisions

m
no edit summary
mNo edit summary
mNo edit summary
 
(2 intermediate revisions by the same user not shown)
Line 1: Line 1:
[[천자문]] | Previous [[日月盈昃 辰宿列張]] | Next [[閏餘成歲 律呂調陽]]
[[천자문]] | Previous [[日月盈昃 辰宿列張]] | Next [[閏餘成歲 律呂調陽]]      [https://papago.naver.net/website?locale=en&source=ko&target=ja&url=https%3A%2F%2Fwiki.michaelhan.net%2F%25E5%25AF%2592%25E4%25BE%2586%25E6%259A%2591%25E5%25BE%2580_%25E7%25A7%258B%25E6%2594%25B6%25E5%2586%25AC%25E8%2597%258F 日本語で翻訳]


----
----
Line 17: Line 17:
== 寒來暑往 ==
== 寒來暑往 ==


[[File:Tc-3-1.png|left]]
[[File:Tc-3-1.png|left]][[File:ClipCapIt-190531-115522.PNG|left]]


<div class="blockhanja-haeseo">寒來暑往</div>
<div class="blockhanja-haeseo">寒來暑往</div>
Line 40: Line 40:


갈 왕(往)자의 상형문자(象形字)를 보면, 소리를 나타내는 임금 왕(王)자 위의 점이 원래는 발의 상형인 그칠 지(止)자이다. 따라서 갈 왕(往)자는 '발(止→丶)로 걸어서(彳) 가다'는 뜻이다.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은 '다섯(五) 개의 천축국(天竺國)을 가보고(往) 쓴 전기(傳)'로, 신라(新羅)의 승려 혜초(慧超, 704∼787년)가 고대 인도(印度)의 다섯 천축국(天竺國)을 답사(踏査)하고 쓴 여행기이다. 다섯 천축국(天竺國)은 오늘날 인도의 동부, 서부, 남부, 중부, 북부를 말한다. 천축국(天竺國)은 손오공(孫悟空)으로 알려진 중국 소설 "서유기(西遊記)"에도 나오는데, "서유기(西遊記)"는 손오공(孫悟空)과 함께 삼장법사(三藏法師)가 황제의 명령으로 불경(佛經)을 구하러 천축국(天竺國)으로 가는 이야기다.
갈 왕(往)자의 상형문자(象形字)를 보면, 소리를 나타내는 임금 왕(王)자 위의 점이 원래는 발의 상형인 그칠 지(止)자이다. 따라서 갈 왕(往)자는 '발(止→丶)로 걸어서(彳) 가다'는 뜻이다.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은 '다섯(五) 개의 천축국(天竺國)을 가보고(往) 쓴 전기(傳)'로, 신라(新羅)의 승려 혜초(慧超, 704∼787년)가 고대 인도(印度)의 다섯 천축국(天竺國)을 답사(踏査)하고 쓴 여행기이다. 다섯 천축국(天竺國)은 오늘날 인도의 동부, 서부, 남부, 중부, 북부를 말한다. 천축국(天竺國)은 손오공(孫悟空)으로 알려진 중국 소설 "서유기(西遊記)"에도 나오는데, "서유기(西遊記)"는 손오공(孫悟空)과 함께 삼장법사(三藏法師)가 황제의 명령으로 불경(佛經)을 구하러 천축국(天竺國)으로 가는 이야기다.
천자문(千字文)은 중국 남조(南朝)의 주흥사(周興嗣)가 양무제(梁武帝)의 명(命)을 받아 지은 책(冊)으로, 모두 다른 한자(漢字) 1000자로 1구 4자의 사언 고시(四言古詩) 250구로 되어 있다. 동진(東晉) 왕희지(王羲之)의 필적(筆跡)에서 해당(該當)되는 글자를 모았다고 하는데, 더 오래전에 중국 위(魏)나라 종요(鍾繇)의 필적(筆跡)을 모은 것이라는 설(說)도 있고 천자문(千字文)을 종요(鍾繇)가 손수 만들었다는 설(說)도 있다. '천지현황(天地玄黃)'으로 시작해서 '언재호야(焉哉乎也)'의 어조사(語助辭)로 끝나는데, 자연 현상(自然現象)부터 인륜 도덕(人倫道德)에 이르는 넓은 범위(範圍)의 글귀를 수록(收錄)하여 한문(漢文)의 입문서(入門書)로 널리 쓰였다. 당(唐)나라부터 빠르게 보급(普及)되어 여러 판본(版本)이 만들어졌는데, 가장 유명(有名)한 것은 왕희지(王羲之)의 7대손 왕지영이 진서(眞書)와 초서(草書)의 두 서체(書體)로 만든 "진초천자본(眞草千字本)"으로 1109년에 새긴 석각(石刻)이 남아 있으며 둔황(敦煌)에서 발견(發見)된 문서(文西)에 그 필사본(筆寫本)이 많다고 한다. 송(宋)나라부터는 완전(完全)히 정착(定着)되어 "속(續)천자문"을 만들기도 하고 "서고천자문(敍古千字文)"과 같이 전혀 다른 글자를 이용(利用)한 새로운 천자문(千字文)이 생기기도 했으며, 천자문(千字文)의 순서(順序)를 이용(利用)해 문서 번호를 붙이는 풍습(風習)도 생겼다. 전설(傳說)에는 주흥사(周興嗣)가 무제(武帝)의 명(命)에 따라 하룻밤 사이에 만들어야 했으나 마지막 4자를 짓지 못하여 고심(苦心)하고 있는데, 홀연히 귀신(鬼神)이 나타나서 어조사(語助辭) 언재호야(焉哉乎也)의 마무리를 알려주었으며, 완성(完成)한 후에 보니 머리털이 하얗게 세었다고 하여 "백수문(白首文)"이라는 별명(別名)이 붙었다. 천자문(千字文)은 모든 한자(漢字)가 없어서 팬그램이 아니다. 드라마에서 한자(漢字) 교육(敎育) 장면(場面)이 나오면 꼭 천자문(千字文)을 읽게 하고 읽지 못하면 체벌(體罰)을 내리는 장면(場面)이 나온다.


=== 주역 ===
=== 주역 ===
Line 63: Line 61:
== 秋收冬藏 ==
== 秋收冬藏 ==


[[File:Tc-3-2.png|left]]
[[File:Tc-3-2.png|left]][[File:ClipCapIt-190531-115748.PNG|left]]
 


<div class="blockhanja-haeseo">秋收冬藏</div>
<div class="blockhanja-haeseo">秋收冬藏</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