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Difference between revisions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14 bytes removed ,  30 April 2018
Line 39: Line 39:
明明德이란 무엇인가? 물론 明德을 밝힌다는 말이다. 明明德은 字意대로 이미 「밝은 德」인데 왜 「밝은 德」을 또 밝힌다는 것인가? 明德을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德字의 뜻부터 풀어 본다. 德의 古字는 悳이다. 悳字는 直과 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直心, 곧 곧은 마음을 德이라 했다. 孔子는 「사람이 살아가는 것은 直으로 사는 것이다」라고 했다. 삶의 외부적 현상은 食, 色으로 살아가는 것이지만, 삶의 내부적 본질은 直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 孔子의 人生觀이라고 말할 수 있다. 孔子가 말한 「直한 마음」이 곧 悳이다. 그것은 사람이 모두 공동으로 가지는 마음이므로 뒤날에 文字사용할 때 悳字에다가 두 人偏(久)을 加하여 德字가 되었다. 또한 그것은 사람이 태어날 때에 하늘로부터 얻은 것이라 하여 德字는 得의 뜻도 갖게 되었다. 《周易》 繫辭에 「天地의 큰 德을 生이라 한다」고 했다. 사람은 天地의 큰 德인 生을 얻어서 자기의 德을 삼았다. 그러므로 孔子가 말한 直은 곧 生의 德이라고 할 수 있다. 生의 德인 直은 단순한 正直의 뜻만이 아니다. 孔子가 말한 直은 自然한 것, 인간의 本性에서 나온 것, 사람의 「眞情의 흐름」을 의미하는 것이다. 자연한 진정의 흐름을 孔子는 仁이라고 생각했고 孟子는 좀 더 나아가 仁義라고 하여 이것은 하늘이 준 인간의 본성이라고 했다. 인간이 본성으로 지니고 있는 이 生의 德은 본래 순수하고 깨끗하다 하여 明德이라 했다.
明明德이란 무엇인가? 물론 明德을 밝힌다는 말이다. 明明德은 字意대로 이미 「밝은 德」인데 왜 「밝은 德」을 또 밝힌다는 것인가? 明德을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德字의 뜻부터 풀어 본다. 德의 古字는 悳이다. 悳字는 直과 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直心, 곧 곧은 마음을 德이라 했다. 孔子는 「사람이 살아가는 것은 直으로 사는 것이다」라고 했다. 삶의 외부적 현상은 食, 色으로 살아가는 것이지만, 삶의 내부적 본질은 直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 孔子의 人生觀이라고 말할 수 있다. 孔子가 말한 「直한 마음」이 곧 悳이다. 그것은 사람이 모두 공동으로 가지는 마음이므로 뒤날에 文字사용할 때 悳字에다가 두 人偏(久)을 加하여 德字가 되었다. 또한 그것은 사람이 태어날 때에 하늘로부터 얻은 것이라 하여 德字는 得의 뜻도 갖게 되었다. 《周易》 繫辭에 「天地의 큰 德을 生이라 한다」고 했다. 사람은 天地의 큰 德인 生을 얻어서 자기의 德을 삼았다. 그러므로 孔子가 말한 直은 곧 生의 德이라고 할 수 있다. 生의 德인 直은 단순한 正直의 뜻만이 아니다. 孔子가 말한 直은 自然한 것, 인간의 本性에서 나온 것, 사람의 「眞情의 흐름」을 의미하는 것이다. 자연한 진정의 흐름을 孔子는 仁이라고 생각했고 孟子는 좀 더 나아가 仁義라고 하여 이것은 하늘이 준 인간의 본성이라고 했다. 인간이 본성으로 지니고 있는 이 生의 德은 본래 순수하고 깨끗하다 하여 明德이라 했다.


「」 《》
일찌기 學者들은 明德의 해석에 대하여 각기 다른 見解를 보였다. 漢代 鄭玄은 明德을 「至德」이라 풀이했고 孔穎達은 「자기의 光明한 德」이라 했다.
일찌기 學者들은 明德의 해석에 대하여 각기 다른 見解를 보였다. 漢代 鄭玄은 明德을 「至德」이라 풀이했고 孔穎達은 「자기의 光明한 德」이라 했다.


Navigation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