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Difference between revisions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3,293 bytes added ,  30 April 2018
Line 38: Line 38:


明明德이란 무엇인가? 물론 明德을 밝힌다는 말이다. 明明德은 字意대로 이미 「밝은 德」인데 왜 「밝은 德」을 또 밝힌다는 것인가? 明德을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德字의 뜻부터 풀어 본다. 德의 古字는 悳이다. 悳字는 直과 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直心, 곧 곧은 마음을 德이라 했다. 孔子는 「사람이 살아가는 것은 直으로 사는 것이다」라고 했다. 삶의 외부적 현상은 食, 色으로 살아가는 것이지만, 삶의 내부적 본질은 直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 孔子의 人生觀이라고 말할 수 있다. 孔子가 말한 「直한 마음」이 곧 悳이다. 그것은 사람이 모두 공동으로 가지는 마음이므로 뒤날에 文字사용할 때 悳字에다가 두 人偏(久)을 加하여 德字가 되었다. 또한 그것은 사람이 태어날 때에 하늘로부터 얻은 것이라 하여 德字는 得의 뜻도 갖게 되었다. 《周易》 繫辭에 「天地의 큰 德을 生이라 한다」고 했다. 사람은 天地의 큰 德인 生을 얻어서 자기의 德을 삼았다. 그러므로 孔子가 말한 直은 곧 生의 德이라고 할 수 있다. 生의 德인 直은 단순한 正直의 뜻만이 아니다. 孔子가 말한 直은 自然한 것, 인간의 本性에서 나온 것, 사람의 「眞情의 흐름」을 의미하는 것이다. 자연한 진정의 흐름을 孔子는 仁이라고 생각했고 孟子는 좀 더 나아가 仁義라고 하여 이것은 하늘이 준 인간의 본성이라고 했다. 인간이 본성으로 지니고 있는 이 生의 德은 본래 순수하고 깨끗하다 하여 明德이라 했다.
明明德이란 무엇인가? 물론 明德을 밝힌다는 말이다. 明明德은 字意대로 이미 「밝은 德」인데 왜 「밝은 德」을 또 밝힌다는 것인가? 明德을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德字의 뜻부터 풀어 본다. 德의 古字는 悳이다. 悳字는 直과 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直心, 곧 곧은 마음을 德이라 했다. 孔子는 「사람이 살아가는 것은 直으로 사는 것이다」라고 했다. 삶의 외부적 현상은 食, 色으로 살아가는 것이지만, 삶의 내부적 본질은 直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 孔子의 人生觀이라고 말할 수 있다. 孔子가 말한 「直한 마음」이 곧 悳이다. 그것은 사람이 모두 공동으로 가지는 마음이므로 뒤날에 文字사용할 때 悳字에다가 두 人偏(久)을 加하여 德字가 되었다. 또한 그것은 사람이 태어날 때에 하늘로부터 얻은 것이라 하여 德字는 得의 뜻도 갖게 되었다. 《周易》 繫辭에 「天地의 큰 德을 生이라 한다」고 했다. 사람은 天地의 큰 德인 生을 얻어서 자기의 德을 삼았다. 그러므로 孔子가 말한 直은 곧 生의 德이라고 할 수 있다. 生의 德인 直은 단순한 正直의 뜻만이 아니다. 孔子가 말한 直은 自然한 것, 인간의 本性에서 나온 것, 사람의 「眞情의 흐름」을 의미하는 것이다. 자연한 진정의 흐름을 孔子는 仁이라고 생각했고 孟子는 좀 더 나아가 仁義라고 하여 이것은 하늘이 준 인간의 본성이라고 했다. 인간이 본성으로 지니고 있는 이 生의 德은 본래 순수하고 깨끗하다 하여 明德이라 했다.
「」 《》
일찌기 學者들은 明德의 해석에 대하여 각기 다른 見解를 보였다. 漢代 鄭玄은 明德을 「至德」이라 풀이했고 孔穎達은 「자기의 光明한 德」이라 했다.
다시 朱熹는 「사람이 하늘로부터 얻어 온 虛靈不昧한 것으로 모든 理致를 갖추어 온갖 일에 應해 가는 것」이라고 했다. 여기서의 「하늘」은 理의 根源으로서 本體論(ontology)的인 의미를 가진 形而上의 하늘을 말하고, 이에 「하늘」을 이끌어 오는 것은 人性을 우주 본체로써 근거짓는 태도이다. 「虛靈不昧」는 인간의 마음이 그렇다는 말이다. 하늘로부터 받아 온 인간의 마음은 昏闇하지 아니하고, 靈明하다는 것이다. 「모든 이치를 갖추었다」는 말은 仁, 義, 禮, 智의 범주로 통괄되는 인간 행위의 一切의 道理가 天賦로서 마음에 이미 內在해 있다는 뜻이다. 「온갖 일에 應해 간다」는 것은 外部의 事物을 接할 때에 內部의 理 (이 理를 「性」이라고 했음)가 實現되어 감을 말한다. 「모든 이치를 갖춘 것」이 明德의 本體이고, 「온갖 일에 應해 가는 것」이 明德의 運用이다. 그러니까 明德 곧 人性은 단순한 理象界의 사실이 아니라, 本體論的인 근거를 가진 것으로 倫理道德의 법칙 따위를 날때부터 갖추고 있으면, 靈明한 모습이 그 본연의 상태라는 것이다.
다음 王陽明은 《大學問》에서 明德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大人은 天地萬物로써 一體를 삼는 者라서 天下를 한 집같이 보며 中國을 한 사람같이 보나니 저 形骸로 사이하고 너, 나를 나누는 者는 小人이다. 大人이 能히 天地萬物로써 一體를 삼는 것은 그렇게 하려고 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그 마음의 仁이 원래 이렇듯이 천지만물과 더불어 하나가 되니, 어찌 大人만이 이러하겠는가. 小人일지라도 마음은 그러하지 아니함이 없는데, 제 스스로 적게 만들었을 뿐이다.
이러므로 철모르는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려는 것을 보고 반드시 惻隱한 마음이 드는 것도 이는 그 仁이 어린아이와 더불어 一體가 되기 때문이다. 어린아이는 같은 인간이므로 그렇다고 하자. 鳥獸가 슬피 울고 벌벌거리는 것을 보아도 반드시 不忍한 마음이 드는데 이는 그 仁이 鳥獸와 더불어 一體가 되기 때문이다. 鳥獸는 知覺이 있기 때문이라 하자. 草木이 꺾어지는 것을 보아도 반드시 애틋한 마음이 드는데 이것도 그 仁이 草木과 더불어 一體가 되기 때문이다. 草木은 차라리 生意가 있기 때문이라 하자. 瓦石의 毁壞를 보고도 애틋한 마음이 드는데 이것도 그 仁이 瓦石과 더불어 一體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一體의 仁은 비록 小人의 마음일지라도 반드시 있으니 이것은 실로 天命의 性으로 좇아 우러나 자연히 靈昭不昧한 것이다. 그래서 明德이라 한다」 王陽明은 이와 같이 明德을 天地萬物과 一體가 되는 길로서의 「커다란 仁」으로 풀이했다.


(more coming soon)
(more coming soon)

Navigation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