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月盈昃 辰宿列張: Difference between revisions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add footnotes
add a link to 천자문
add footnotes
Line 3: Line 3:
----
----


日月盈昃하고 辰宿列張이라
日月盈<ref group="注">日月盈昃 : ≪註解≫에 의해 ‘日(中 則)昃 月盈(則 虧)’으로 괄호 부분이 생략된 互文이고, 이 ‘日昃月盈’을 재정리하면 ‘日月昃盈’이 되는데, 압운인 張이 出句末字와 함께 昃(仄)․張(平)으로 仄․平의 대응을 이루기 위해 ‘盈昃’으로 도치되었다.(해제 참조)</ref>昃<ref group="注">昃 : ★{日/夨}(햇살 기울 측)과 같다.(≪檀≫)</ref>하고 辰<ref group="注">辰 : 地支와 관련될 경우에는 ‘진’으로 독음하고, 나머지의 경우는 ‘신’으로 독음한다. 중국의 諸字書에는 1音만 제시되고 있으나, 우리나라 字書 등에는 ‘신’과 ‘진’ 2音으로 나타난다. 본래 중국에서 1音이던 것을 우리나라에서 2音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形≫에서는 ‘辰 匙寅切 音晨’이라 하고, 의미를 ‘地支名……例 戊辰 壬辰 甲辰 時曰辰 星名……北辰曰辰’으로 제시했다. ≪漢≫에서는 ‘辰 植隣切’이라 하고, 의미를 ‘地支的第五位 北極星’으로 제시했다. ≪佩文韻府≫에서는 眞韻에 ‘辰 植隣切’이라 하고, 용례로 ‘星辰, 北辰, 甲辰, 庚辰, 日辰’ 등을 들었다. 이에 의하면 辰은 ‘地支 신, 때 신, 별 신’으로 一音多義를 제시할 수 있다.
한국의 ≪訓蒙字會≫에서는 ‘辰 별 신 日月會次 又北辰 北極也 又미르 진 地支屬龍’이라 하고, ≪新增類合≫에서는 ‘辰 별자리 신’이라 하였다. 이에 의하면 ‘신’은 ‘별’과 관련되고, ‘진’은 ‘地支’와 관련되는바, 오래 전부터 2音으로 구분하여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校正廳本 ≪經書諺解≫ 初刊本에 ‘北辰(븍신)’(≪論語≫ 〈爲政〉), ‘星辰(셩신)’(≪書經≫ 〈洪範〉), ‘戊辰(무진)’(≪書經≫ 〈洛誥〉), ‘壬辰(임진)’(≪書經≫ 〈武成〉) 등에서 더욱 확실하게 증명된다. 그러나 1音으로만 처리한 것도 있어, ≪全韻玉篇≫에 ‘辰 신 時也 支名……北辰’, ≪字典釋要≫에 ‘辰 신  신, 지지 신, 북극 신’, ≪新字典≫에 ‘辰 신 , 다섯재디지, 별, 북두셩’, ≪註解千字文≫에 ‘辰 별 신,  신, 地支’라 하였다.
또 혼란상을 보이는 것도 있어, ≪新字海≫에 ‘辰 다섯째지지 진, 별이름 진 「北辰」(※ 本音 신), 일월성 신, 날 신, 때 신’이라 하였다. 그리고 音이 다른 이유에 대해, ≪六書尋源≫에서는 辰을 “厂(언덕 한)을 따르고 示(귀신 기)의 생략자형인 二(귀신 기)를 따르고 止(발 지)를 따랐다.[人人 厂 人人 示省(二) 人人 止]”고 설명하고, 辰은 神事이기 때문에 音을 神(신)으로 하고, 혹은 止가 初聲―ㅈ―이 되었다고 설명하였으나, 공감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地支인 경우 ‘진’으로 표음하면 申과의 혼동을 피할 수 있다. 壬辰ㆍ壬申 등이 모두 ‘임신’으로 나타나면, 어느 해인지 구별하기 어려우므로, 辰을 ‘진’으로 變音하여 구별한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辰ㆍ申은 中國字書에 ‘辰 植鄰切 平眞禪’ 그리고 ‘申 失人切 平眞書’(이상 ≪漢字典≫)라 하여, 두 글자가 平聲ㆍ眞韻인 점은 같으나, 聲類(字母)는 禪(辰)과 書(申)로 다르게 나타난다. 결국 辰ㆍ申이 中國에서는 音이 구분되었으나, 한국에서는 同音이므로 地支인 경우 辰을 ‘진’으로 차별화한 것으로 보인다.</ref>宿<ref group="注">辰宿 : 해와 달이 만나는 곳과 사방 가운데의 별이 모두 28宿*이다. 사람의 눈에 보이는 것을 들면 星*으로 말하고 해와 달이 만나는 곳을 논하면 辰으로 말하지만 실상은 한 물건이므로 星辰으로 함께 쓴다.(≪尚書要義≫ 卷1 〈堯典〉 21 〈星與辰實一物 鄭玄書禮自異〉)
*宿 : 本字는 㝛(별자리 수)이다.(≪中≫)
*星 : 형체를 가리켜서 말하면 星이라 말하고 해와 달이 星에서 만나는 것은 바로 宿라 하고 또한 辰이라 하고 또한 次라 하고 또한 房이라 한다.(≪御定孝經衍義≫ 卷43 〈天子之孝〉 〈事天地〉)</ref>列張<ref group="注">日月盈昃 辰宿列張 : 日은 陽의 정수이고, 月은 陰의 정수이다. 盈은 月光이 가득한 것이고, 昃은 日이 기울어진 것인데, 月은 보름에 이르면 차고 日은 낮이 지나면 기운다.
辰은 해와 달이 만나는 자리이다. 둥근 하늘을 12宮으로 나누니, 子ㆍ丑ㆍ寅ㆍ卯ㆍ辰ㆍ巳ㆍ午ㆍ未ㆍ申ㆍ酉ㆍ戌ㆍ亥가 그것이다.
宿는 해가 운행하는 곳의 별이다. 해가 하늘을 운행하며 지나는 별자리를 명칭하기를 宿라 한다. 모두 28宿인데 東方 七宿는 角ㆍ亢ㆍ氐ㆍ房ㆍ心ㆍ尾ㆍ箕이고, 北方 七宿는 斗ㆍ牛ㆍ女ㆍ虛ㆍ危ㆍ室ㆍ壁이고, 西方 七宿는 奎ㆍ婁ㆍ胃ㆍ昴ㆍ畢ㆍ觜ㆍ參이고, 南方 七宿는 井ㆍ鬼ㆍ柳ㆍ星ㆍ張ㆍ翼ㆍ軫이다.
列은 진열함[陳]이고 張은 늘어놓음[布]이니, 辰宿가 하늘에 분포됨을 말한다. ≪淮南子≫에 말하기를 “하늘이 해와 달을 베풀고 星辰을 늘어놓아 음양을 조화하며 四時를 펼친다.” 하였다.(≪釋義≫)</ref>이라 (日●月●盈昃●하고 辰宿◑列●張◎이라)


([http://db.cyberseodang.or.kr/front/sabuList/BookMain.do?mId=m01&bnCode=jti_5a0901&titleId=C4#self 註]) 해는 기울며 달은 차고, 12辰(신)과 28宿(수)가 벌려 있다.
([http://db.cyberseodang.or.kr/front/sabuList/BookMain.do?mId=m01&bnCode=jti_5a0901&titleId=C6 註]) 해는 기울며 달은 차고, 12辰(신)과 28宿(수)가 벌려 있다.


≪註解≫에 의해 ‘日(中 則)昃 月盈(則 虧)’으로 괄호 부분이 생략된 互文이고, 이 ‘日昃月盈’을 재정리하면 ‘日月昃盈’이 되는데, 압운인 張이 出句末字와 함께 昃(仄)․張(平)으로 仄․平의 대응을 이루기 위해 ‘盈昃’으로 도치되었다.(해제 참조)
易曰 日中則昃이요 月盈則虧<ref group="注">易曰 日中則昃 月盈則虧 : 虧는 ≪十三經注疏≫本 등에 食으로 되어 있다.</ref>라하니 日은 一日之內에 中而昃하고 月은 一月之內에 盈而虧하여 經緯錯綜이 如環無端이라<br/>
 
周天之度를 分爲十二次하면 是爲辰<ref group="注">辰 : 신</ref>이요 而日月會를 分爲二十八次하여 而二十八宿行하여 環列而分張也라
易曰 日中則昃이요 月盈則虧(注6)라하니 日은 一日之內에 中而昃하고 月은 一月之內에 盈而虧하여 經緯錯綜이 如環無端이라<br/>
周天之度를 分爲十二次하면 是爲辰(注7)이요 而日月會를 分爲二十八次하여 而二十八宿行하여 環列而分張也라


≪周易≫ 〈豊卦 彖傳〉에 이르기를 “해는 中天에 있으면 기울고 달은 차면 이지러진다.” 하였다. 해는 하루 안에 중천에 떠 있다가 기울고, 달은 한 달 안에 찼다가 이지러져 이리저리 왔다 갔다[經緯錯綜]함이 고리와 같아 끝이 없다.
≪周易≫ 〈豊卦 彖傳〉에 이르기를 “해는 中天에 있으면 기울고 달은 차면 이지러진다.” 하였다. 해는 하루 안에 중천에 떠 있다가 기울고, 달은 한 달 안에 찼다가 이지러져 이리저리 왔다 갔다[經緯錯綜]함이 고리와 같아 끝이 없다.
Line 113: Line 122:
* 그림 설명
* 그림 설명
** 위 그림은 윷판에다 하늘에 펼쳐진 28수를 배치한 것이다. 윷판은 모두 29개의 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운데 있는 점은 북극성에 해당하고 나머지 28점은 북극성을 중심으로 펼쳐진 28수에 해당된다.
** 위 그림은 윷판에다 하늘에 펼쳐진 28수를 배치한 것이다. 윷판은 모두 29개의 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운데 있는 점은 북극성에 해당하고 나머지 28점은 북극성을 중심으로 펼쳐진 28수에 해당된다.
== 注 ==
<references group="注"/>

Navigation menu